-
-
불필요한 것과 헤어지기 - 걱정거리의 90퍼센트를 없애는 46가지 마음 정리법
마스노 슌묘 지음, 장은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불필요한 것과 헤어진다?
무척 당연한 말이다.
그렇다면 정말 그렇게 하고 있을까?
'불필요한 것'에 대한 정의에 따라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듯 하다.
이 책은 '스님의 청소법'으로 만난 마스노 순묘 스님의 책이다.
지난번 책과 마찬가지로 '버리기'를 말하고 있다.
지금 내 주변을 천천히 둘러보자.
이번 달 말에 내야 할 고지서와 청첩장, 사진 몇 장, 각종 전기 관련 도구들, 책 몇 권...
음.. 모두 불필요한 것이라 생각되지 않는다.
그런데 조금씩 들춰보니 이미 납부한 고지서도 있고, 청첩장은 이미 내가 식장에 다녀온 곳이고, 사진은 거의 1년 이상 그 자리에 놓여있어 먼지가 쌓여있다.
지금 내 눈에 보이는 물건이 아니라, 마음에는 이런 것들이 없을까?
저자는 바로 그것들과 헤어지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가 걱정하는 것들의 대부분은 이뤄지지 않거나, 걱정을 통해 해결될 수 없는 것들이라고 한다.
그럼에도 마음 한구석에 떳떳히 자리를 잡고 나로 하여금 신경을 쓰게 만든다.
어떤 것들을 버려야 할까?
우선 남과의 비교하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잠깐의 생각으로 더욱 분발하는 마음을 갖는 것은 좋지만, 그 이상은 에너지 낭비일 뿐이다.
그리고 남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사실 이 부분이 가장 힘들 것 같다.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본의 아니게 신경쓰이는 부분이다.
외모나 복장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행동과 사고가 그들에게 부정적으로 보일까봐 두려운 것이다.
그리고 모든 인연을 소중히 할 것이 아니라 좋은 인연은 더욱 공고히 하고, 나쁜 인연은 과감히 잘라내라고 말하고 있다.
이는 분명 필요할 듯 하다.
필요 이상으로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과 항상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고 하는 것이 오히려 안 좋은 결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렇게 버림으로 해서 남은 공간은 무엇으로 채워야 할까?
바로 '진정한 나' 자신이다.
남을, 남에게 무언가를 하는 내가 아니라, 내가 원하는, 하고 싶은 것에 대해 집중해 보자.
버림으로해서 허전할 수 있는 무언가를 더욱 더 가득 채울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살아가면서 한번쯤-한번만 할 수 있다면 당신은 행운아이다-은 고민해 볼 것들에 대해 말하고 있다.
돈, 나이듦, 연애, 부부, 자녀, 죽음.
이 내용들은 앞의 추상적인 내용보다는 직접적인 내용들이여서 보다 많은 도움이 되었다.
앞에서 말했듯이 누구나 불필요한 것과는 헤어져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그 '불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결정해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