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 튜링의 최후의 방정식
다비드 라게르크란츠 지음, 조영학 옮김 / 박하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소설이 시작했을 땐 이미 그 속에서 튜링은 죽었다. 그러니 소설 속에 튜링은 등장하지 않는다. 주인공은 튜링의 죽음을 쫓는 형사이다.  수수께끼같이 알쏭달쏭한 논문들과 자취들을 남기고 간 그의 마지막은 그의 삶만큼이나 미스터리한 흔적들을 남겼다. 한 입 베어문 사과, 그 사과를 담궜던 청산가리 냄비, 그를 감시하던 시그마(대머리에 시그마 모양의 점이 있는 남자), 보내지 않은 편지, 꿈을 기록한 세 권의 노트. 사건을 맡은 코렐 경관은 튜링의 삶과 철학을 추적해가면서 동시에 자신의 과거와 이루지 못한 꿈과 방황의 나날들을 쫓는다. 코렐이 쫓는 것은 튜링의 삶인 동시에 그의 가지 못한 길이기도 하다. 튜링처럼, 수학에 천재적인 재능을 가졌던 자신, 튜링처럼 캠버리지 대학에 입학할 수도 있었을 삶. 


튜링의 관점에서 소설이 쓰이지 않았기 때문에, 튜링을 이해하는 일은 코렐 경관의 이해에 바탕이 된다. 작가이든 철학자이든, 그 누가 어떤 형태로 그를 조명하더라도 천재 튜링을 완벽하게 이해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그의 시점에서 소설을 쓰기에는 무리일 것이라 어쩔 수 없지만 현명한 선택으로 여겨진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그렇게 됨으로써 이야기의 흐름이 튜링에게 집중되지 않고, 코렐 경관의 삶과 인생과 그 주변인물들에게 집중되고, 소설의 전개에 해당하는 그의 인생과 주변 인물들에 대한 비중이 너무 길다는 점이다. 소설로 읽기는 하지만 앨런 튜링의 삶을 보다 소설적 차원에서 바라보고자 했던 독자로서는 빨리 본론으로 들어가지 않고 전개가 너무 길다는 느낌을 받았다. 


한편으로 이 책은 코렐이라는 남자에 대한 성장소설이기도 하다. 그는 당시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대다수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동성애에 대한 편견과 혐오를 숨기지 않았고, 쓰레기 투척자들이나 잡으러 다니는 자신의 직업을 한심하게 여기고, 시큰둥한 삶을 살지만, 자신감 결여로 맘에 드는 여성이 있어도 가까이 다가서지 못하는 소심한 성격이다. 최근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에 나온 형사와는 달리 튜링을 발견했을 때는 이미 죽은 후이므로, 튜링과 한 마디 대화도 나누지 못하고, 그가 동성애로 기소된 사건은 이미 2년전일이다. 그러나 부당하게 종료되는 사건을 캐는 과정에서 자신의 동성애에 대한 편견을 깨닫고, 자신을 발견하고 편견에 맞서고 새출발하게 되며, 좋아하는 여성에게도 조금씩 다가가게 된다.


"순간적으로 충동이 일었을 수도 있습니다." -224


그런 성격 유형이 있을 수 있다는 거다.  어디로 튈 지 모르는 유형. 순간적으로 자살을 선택할 수 있는 유. 순간적 충동으로, 그러니까 일시적 변덕 같은 걸로 자살을 선택하는 사람도 있을까? 코렐은 그의 실제 삶과 우리의 판단 사이엔 커다란 간극이 있을 수 있음을 간파했고, 그는 이미 종결된  사건을 가지고 그의 실제 삶과 알려진 삶 사이의 간격을 좁혀가기 시작한다. 그리고 기다리고 기다리던 본론은 이제부터 시작된다. 사건 종결 기자회견이 끝난 후, 앨런의 친구이자 숭배자인 프레드릭 크라우스와 앨런의 생전 모습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면서다. 여기가 232쪽부터 시작되는데, 코렐에게 큰 관심이 없는 독자라면 이부분 정도부터 시작해도 무방하다. 앨런 튜링의 사고에 대한 토론(?)은 거짓말장이의 역설부터 시작한다. 


역설은 거짓임을 주장하는 진술이므로 따라서 거짓일 때 정확히 참이 된다. 역설 고유의 모순은 진리에 대한 고전적 개념을 부정하거나 잠정적으로 중지하게 만든다...역설의 창시자는 크레타의 철학자 에피메니데스다. ..'어느 크레타 시인이 내게 이르기를, 크레타인들은 항상 거짓말쟁이다' 이 문장은 다른 방식으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 언급은 거짓이다. 처럼... (148)



튜링은 거짓말쟁이의 역설을 이용해 로봇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어떤 기계가 논리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런 식의 문장에 걸리면 그대로 폭발할 수 밖에 없다. 계산은 돌고 돌다 결국 붕괴하고 마니까"(235). 튜링의 기계는 일반적인 기계와는 이렇게 완전히 다른 차원이었다.  오늘날 논리의 모순에 처해진 기계가 무한루프에 빠져 화면을 꼼짝없이 얼려 버리거나 윈도우의 그 유명한 블루 스크린으로 폭발시키는 예측을 그 기계가 이미 만들어지기도 전에, 그 기계가 설계되기도 전에, 그 기계에 대한 아이디어가 받아들여지기도 전에 예감했다는 거다. 


튜링의 기계는 인간의 두뇌를 닮은 것이었다. 두뇌가 전기 충격으로 움직이고 전기는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가는 것 말고 실제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단지 두 가지 설정, 두 개의 논리 상수만으로 복잡한 이론까지 표현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해했고, 단순함 속에서 위대함을 찾았다. 플라톤은 <소피스트>에서 딱 두 단어, 예와 아니오만 있으면 해답을 찾아낼 수 있다고 했는데, 그것이 오늘날 컴퓨터가 이해하는 0과 1, 예스와 노, 참과 거짓, on/off의 이진 체계, 디지털 세계이다. 그 단순하고 아름다운 원리를 이용해 존재했거나 존재할 수학 방정식 모두를 포괄하고, 추상화된 생각들을 그 이진의 세계로 변환시키는 발상을 해낸 것이다. 


기계는 이제 튜링에게 어떤 생명과도 같은 것이었다. 튜링은 기계에게 난수 생성 프로그램이 결정하는 어떤 우연의 요소를 더해 인간의 자유의지를 복제하고 싶어했다. 난수 요소기 돌발적이고 비합리적인 변수 가능성의 출발점이 된다고 믿었다는 것이다. 빅뱅의 순간에서부터 시작해서 우연이 아니었으면 불가능했을 우주와 생명의 탄생, 두뇌의 무작위성이 이끄는 진보 같은 것들을 기계에 적용한 것이다. 반대로 인간은 우리 인간이 때로 기계처럼 버릇과 반복적인 패턴을 습성화한다는 가설을 내세웠다. 인간과 같은 지능은 없는 곤충이지만 뭉쳐서 행동하면 지혜를 만들어내는 개미탑을 들여다보며 다수의 지식 조각들이 매우 정교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파했다. 빅데이터의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제대로 예감한 것이다. 


앨런 튜링은 여러가지로 남들과는 다른 삶을 살았는데 호모였다는 점, 수학자로서 뿐만 아니라, 철학과 논리학 생물학 등 다방면에 관심이 있었다는 점, 러시아 스파이 의심을 받고 지속적으로 감시를 받았다는 점, 2차대전 중 독일의 에니그마 해독 기계를 발견하고 암호를 해독한 성과를 인정받아 미국 유학도 다녀오고 훈장도 달았다는 점, 갑작스런 자살과 독사과를 이용한 자살방법의 의외성 등을 생각하면 더욱 미스터리하다. 


튜링의 철학을 다룬 앤드루 호지스의 <이미테이션 게임 : 튜링>을 읽을 땐 이해하기 어려웠던 앨런 튜렁의 추상적 사고가, 코렐 경관이 튜링의 죽음을 추적하고 논쟁하는 과정 속에서 독자에게 잘 전달되고 지적으로 자극을 준다. 이걸 읽으니 이제 앤드루 호지스가 쓴 800쪽 넘는 그의 전기도 읽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일야화(千一夜話)〉[2]라는 제목이 붙은 아랍어 원작이 모두 서른여섯 부(部)로 되어 있으며, 이 책은 그중 일부의 번역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이 거대한 작품의 작자가 누구인지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분명히 한 사람은 아니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무수한 허구들을 산출한 것이 단 한 사람의 상상력이었다고는 믿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알라딘 eBook <천일야화 1 - 열린책들 세계문학 136> (앙투안 갈랑)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지 오웰

George Orwell

20세기 영문학에서 〈정치적 글쓰기〉로 독특한 문학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조지 오웰. 본명은 에릭 아서 블레어Eric Arthur Blair로 1903년 6월 25일 인도 벵골 지방의 모티하리에서 태어났다. 영국 행정부 소속 공무원인 아버지를 남겨 두고 어머니와 함께 영국으로 돌아온 오웰은 국왕 장학생으로 명문 이튼스쿨에 입학한다. 졸업 후 그는 버마(미얀마)로 건너가 〈인도 제국주의 경찰〉이 되지만 제국주의의 억압과 허구성에 환멸을 느끼고 영국으로 돌아와 사직서를 제출한다. 그의 작품인 수필 「코끼리를 쏘다」, 「교수형」 등에는 그 시절의 경험과 식민주의를 바라보는 그의 심경이 잘 묘사되어 있다.

-알라딘 eBook <버마 시절 - 열린책들 세계문학 103> (조지 오웰) 중에서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REBBP 2015-03-14 0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북리더의 밑줄긋기와 북플 연계 공유 기능을 시험해 보았습니다. 대만족

만병통치약 2015-03-14 09:45   좋아요 0 | URL
오~~북플에 연동이! / 다른사람 밑줄도 표시되요?

CREBBP 2015-03-14 1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건 아직 탐험해보지 않았는데 없다면 북플에서 연동하거나 곧 업그레이드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본진을 버린 이유가 바로 알라딘의 제법 발빠른 디지털 정책들
 
[eBook] [세트] 열린책들 180 세계문학 전집 세트
열린책들 편집부 엮음 / 열린책들 / 2015년 3월
평점 :
판매중지


하루 종일 어디에서 구입할까, 이북 리더를 구입할까를 고민한 끝에 드디어 질렀습니다.

종이로 된 같은 책을 정가제 대란 때 많이 구입했지만, 한 권에 1천원대라니요. 말도 안되는 가격 때문에 일단 질렀습니다.

행사는 4월 10일까지 입니다. 전체 180권에 가격은 22만원 대입니다.

200권 완료되면 또 행사하겠지만, 그 때 또 눈에 띌 지도 모르고, 그 때까지 돈이 있을지도 모르고 해서 어제부터 고민해서 오늘 질렀습니다.

 

이북을 읽을 때 가장 이슈가 되는 것은 이북 리더입니다. 전자 잉크로 된 아늑한 이북전용리더가 있으면 좋겠지만,

예전에 몇 번 주문했다가 속도랑 두루두루 답답하고 안맞아서 고민고민하다가 일단 그냥 안드로이드로 보자 라고 생각을 정했습니다.

제가 네이버 책쿠폰이 있는데 결제 되는 데가 두 군데가 있었습니다.  이걸로 할까, 열린책들 앱에서 바로 살까 고민하다가,

두 인터넷 서점의 이북앱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1. TTS가 되더군요. 소리도 들을만 해요. 눈 아플 때, 잠깐잠깐, 그리고 일할 때 잠깐잠깐 TTS로 들어도 되겠다 싶었습니다.

2. 밑줄 긋기는 두 앱 비슷합니다.

3. 공유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알라딘이 좀 더 포괄적입니다. 다른 앱은 트위터만 되는데 말입니다. 알라딘은 선택한 문장을 페북과 트위터로 공유할 수 있고, 기타로 들어가면 기기에서 편집가능한 모든 앱에 공유가 됩니다. 자세히는 안해봐서 얼만큼 긴 문장이 공유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4. 알라딘의 북플 앱의 업계 선두적 위치를 볼 대 이북 리더가 북플과 연계해서 좋은 기능들을 더욱 발전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는 이 점을 크게 샀습니다.

 

노름꾼 - 열린책들 세계문학 097
네또츠까 네즈바노바 - 열린책들 세계문학 124
나의 안토니아 - 열린책들 세계문학 195
나사의 회전 - 열린책들 세계문학 192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 열린책들 세계문학 084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31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 (중) - 열린책들 세계문학 030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29
기탄잘리 - 열린책들 세계문학 151
기적의 시대 - 열린책들 세계문학 048
그리스인 조르바 - 열린책들 세계문학 021
교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96
곤충 극장 - 열린책들 세계문학 204
고리오 영감 - 열린책들 세계문학 041
거장과 마르가리따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76
거장과 마르가리따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75
개의 심장 - 열린책들 세계문학 213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 - 열린책들 세계문학 006
가난한 사람들 - 열린책들 세계문학 117
1984년 - 열린책들 세계문학 017
93년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188
93년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187
80일간의 세계 일주 - 열린책들 세계문학 147
무엇을 할 것인가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89
무엇을 할 것인가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88
무기여 잘 있거라 - 열린책들 세계문학 199
몽유병자들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62
몽유병자들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61
몰타의 매 - 열린책들 세계문학 063
목로주점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178
목로주점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177
모히칸족의 최후 - 열린책들 세계문학 203
모비 딕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215
모비 딕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214
메뚜기의 날 - 열린책들 세계문학 191
맥베스 - 열린책들 세계문학 155
말테의 수기 - 열린책들 세계문학 211
마의 산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219
마의 산 (중) - 열린책들 세계문학 218
마의 산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217
마야꼬프스끼 선집 - 열린책들 세계문학 064
리어 왕 - 열린책들 세계문학 201
루진 - 열린책들 세계문학 175
로빈슨 크루소 - 열린책들 세계문학 163
레우코와의 대화 - 열린책들 세계문학 153
등대로 - 열린책들 세계문학 212
드라큘라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66
드라큘라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65
동물 농장 - 열린책들 세계문학 053
도적 떼 - 열린책들 세계문학 055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152
더블린 사람들 - 열린책들 세계문학 216
댈러웨이 부인 - 열린책들 세계문학 008
대주교에게 죽음이 오다 - 열린책들 세계문학 145
대위의 딸 - 열린책들 세계문학 012
닥터 지바고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40
닥터 지바고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39
느릅나무 아래 욕망 - 열린책들 세계문학 171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206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205
노인과 바다 - 열린책들 세계문학 198
어머니 - 열린책들 세계문학 009
알코올 - 열린책들 세계문학 120
악어 외 - 열린책들 세계문학 131
악령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59
악령 (중) - 열린책들 세계문학 058
악령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57
아저씨의 꿈 - 열린책들 세계문학 123
아웃 오브 아프리카 - 열린책들 세계문학 087
아버지와 아들 - 열린책들 세계문학 142
아들과 연인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157
아들과 연인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156
아Q정전 - 열린책들 세계문학 162
신곡 (천국) - 열린책들 세계문학 095
신곡 (지옥) - 열린책들 세계문학 093
신곡 (연옥) - 열린책들 세계문학 094
시라노 - 열린책들 세계문학 027
스쩨빤치꼬보 마을 사람들 - 열린책들 세계문학 114
순수의 시대 - 열린책들 세계문학 077
수용소군도 - 열린책들 세계문학 018
소송 - 열린책들 세계문학 194
소네트집 - 열린책들 세계문학 190
세상이 끝날 때까지 아직 10억년 - 열린책들 세계문학 052
성 앙투안느의 유혹 - 열린책들 세계문학 110
서푼짜리 오페라 - 열린책들 세계문학 200
상처받은 사람들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130
상처받은 사람들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129
산도칸 몸프라쳄의 호랑이들 - 열린책들 세계문학 047
뻬쩨르부르그 연대기 외 - 열린책들 세계문학 128
비숍 살인 사건 - 열린책들 세계문학 181
분신 - 열린책들 세계문학 116
부활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134
부활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133
보물섬 - 열린책들 세계문학 135
변신 - 열린책들 세계문학 010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 열린책들 세계문학 020
벚꽃 동산 - 열린책들 세계문학 022
버마 시절 - 열린책들 세계문학 103
백치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16
백치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15
백야 외 - 열린책들 세계문학 126
백년보다 긴 하루 - 열린책들 세계문학 044
배빗 - 열린책들 세계문학 169
밤으로의 긴 여로 - 열린책들 세계문학 111
바스커빌가의 개 - 열린책들 세계문학 102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150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중) - 열린책들 세계문학 149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148
미성년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109
미성년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108
미덕의 불운 - 열린책들 세계문학 159
허클베리 핀의 모험 - 열린책들 세계문학 132
햄릿 - 열린책들 세계문학 154
피그말리온 - 열린책들 세계문학 176
프랑켄슈타인 - 열린책들 세계문학 160
풀잎 - 열린책들 세계문학 167
페드르와 이폴리트 - 열린책들 세계문학 210
파우스트 - 열린책들 세계문학 073
투명 인간 - 열린책들 세계문학 186
테스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185
테스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184
타임머신 - 열린책들 세계문학 164
타르튀프 - 열린책들 세계문학 207
쾌걸 조로 - 열린책들 세계문학 074
캉디드 혹은 낙관주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54
최후의 유혹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100
최후의 유혹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99
최초의 인간 - 열린책들 세계문학 003
천일야화 6 - 열린책들 세계문학 141
천일야화 5 - 열린책들 세계문학 140
천일야화 4 - 열린책들 세계문학 139
천일야화 3 - 열린책들 세계문학 138
천일야화 2 - 열린책들 세계문학 137
천일야화 1 - 열린책들 세계문학 136
천로 역정 - 열린책들 세계문학 144
지하로부터의 수기 - 열린책들 세계문학 121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 열린책들 세계문학 174
죽음의 집의 기록 - 열린책들 세계문학 105
주홍 글자 - 열린책들 세계문학 202
죄와 벌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02
죄와 벌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01
제인 에어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166
제인 에어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165
젊은 예술가의 초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189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열린책들 세계문학 026
적과 흑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69
적과 흑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68
장미의 이름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81
장미의 이름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80
자성록 - 열린책들 세계문학 196
인형의 집 - 열린책들 세계문학 118
인간과 초인 - 열린책들 세계문학 209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열린책들 세계문학 019
이방인 - 열린책들 세계문학 172
의심스러운 싸움 - 열린책들 세계문학 060
유토피아 - 열린책들 세계문학 208
위대한 개츠비 - 열린책들 세계문학 161
웃는 남자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86
웃는 남자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85
우신예찬 - 열린책들 세계문학 182
우리들 - 열린책들 세계문학 037
오셀로 - 열린책들 세계문학 193
오만과 편견 - 열린책들 세계문학 143
오레스테이아 - 열린책들 세계문학 197
예브게니 오네긴 - 열린책들 세계문학 079
영혼의 자서전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036
영혼의 자서전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035
영원한 남편 외 - 열린책들 세계문학 119
엠마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180
엠마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179
비극의 탄생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 열린책들 세계문학 223
자살클럽 - 열린책들 세계문학 224
위대한 유산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221
위대한 유산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222
페스트 - 열린책들 세계문학 229
채털리 부인의 연인 (하) - 열린책들 세계문학 226
채털리 부인의 연인 (상) - 열린책들 세계문학 225
두이노의 비가 - 열린책들 세계문학 228
데미안 - 열린책들 세계문학 227
 

 


댓글(6)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섬 2015-03-13 17: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크레마 말고 알라딘 전용앱으로 지르신 건가요?

CREBBP 2015-03-13 17:49   좋아요 1 | URL
PC에서 사고 스맛폰 알라딘 이북 리더 내서재에서 다운받고 있어요

이섬 2015-03-13 17: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하! 안드로이드 크레마 앱으로 알라딘 전자책 읽었는데 맛폰 캐시정리 하면 책갈피 등 저장 데이터가 싹 사라져서 저도 알라딘 전용앱으로 갈아탈까 생각 중이었거든요. 워낙 종이책 위주로 봐서 급하지 않기에 미루고 있긴 하지만요. 좋은 정보 고맙습니자!

CREBBP 2015-03-13 17:55   좋아요 0 | URL
안드로이드 전용 크레마 앱이 다 있군요. 이건 서로 다른 서점 책도 호환되는건가요?

이섬 2015-03-13 18: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네 크레마 지원하는 서점 계정 걸 다 관리할 수 있고 피씨 리더기 맛폰에서 다 가능합니다.

CREBBP 2015-03-13 18:04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저는 책방마다 따로 관리하는 줄... 좋은 정보였습니다. 크레마도 써봐야겠군요.
 
금속의 세계사 - 인류의 문명을 바꾼 7가지 금속 이야기
김동환.배석 지음 / 다산에듀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인류의 역사를 크게 나눌 때 금속의 사용을 기준으로 삼는다. 도구를 사용할 줄 아는 인간이 가장 처음으로 사용한 재료가 금속이 아니었을 때는 석기시대라고 이름붙였고, 돌도끼를 버리고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단한 청동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부터 청동기 시대라는 새로운 시대의 막이 열렸으며, 이후 강력한 철기 문명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이어지는 시대를 철기문화라고 칭했다. 인류에 있어 금속의 위상은 이렇게 강력하다. 


이 책은 금속에 대한 이야기를 인류 문명의 역사와 함께 쉽고 재미있게 엮은 책으로, 여기서 다루는 금속은 고대금속이라 불리는 구리, 납, 은, 금, 주석, 철 수은의 7가지이다. 오랜 인류 역사 속에서 이 금속들이 쓰여온 문명의 흔적을 찾아 세계사의 큰 자취를 돌아본다. 


그렇다면 금속이란 무엇일까. 고체 상태에서 금속 광택이 나고, 전기나 열을 전도하고, 연성(늘어나는 성질)과 전성(두드리면 펴지는 성질)을 가지면서 한가지 원소로 이루어진, 즉 주기율표에 당당히 자리 잡아있는 홑원소이어야 금속이다. 


이 책은 1. 이야기가 재미있다. 2. 2014년의 따끈따끈한 최신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있다. 3. 세계사 속에서 한국도 다룬다. 4. 본문에 나와 있는 지도와 유물 사진, 박스 처리된 주석 등 친절한 인포그래픽스가 이해를 돕는다. 5. 가독성이 매우 높다. 


재미있다는 것은, 금속이라는 딱딱한 주제를 다루지만 그 금속을 만들고 사용하고 퍼뜨리고 하는 인간의 문명이 바꾼 역사들이 이야기식으로 풀어져 있어서 어른과 청소년은 물론 초등학교 고학년까지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금속은 화학이라는 규칙 속에 갇히면 어렵고 까다롭지만 금속의 성질을 우리가 살면서 변화하고 발전해온 역사 속 이야기의 맥락 속에서 살펴보면 재미있어진다. 


예를 들어 주석이라고 하면 수메르 인에 의해 구리와의 합금으로 단단한 청동을 만들 수 있는 야금술이 발견되어 청동기 시대의 막을 연 금속이지만, 후에 나폴레옹의 패망을 부른 결정적 원인이 된 금속이기도 하다.  주석병이라고 불리는 주석의 성질 때문이었는데, 군복에 달린 단추에 포함된 주석이 모스크바의 추운 날씨 속에서 주석병이 걸려 모두 떨어져나가, 추위를 이기지 못하고 칼을 들어야 할 손으로 옷을 잡고 있어야 했다. 이 주석병이라는 현상은 추운 날씨에 주석의 성질이 썩은 것처럼 흉물스럽게 변해 쪼그라고 갈라지는 것을 말한다. 주석병은 노르웨이의 아문센과 영국의 스콧이 북극점에 도전할 때에도 운명을 결정했는데, 그것은 등유 보관용 깡통의 주입구에 주석이 섞여 있는 것을 간과한 스콧팀이 추운 날씨에 등유깡통의 주입구가 주석병에 걸려 등유가 모두 새어나간 걸 몰랐기 때문이었다. 


따끈따근한 최신 정보는 주로 고대사 유물의 분석 결과에 대한 것이었는데, 이미 학계와 교과서에 잘못 알려진 사실들을 많이 정정해준다. 납의 최초 사용이 기원전 3500년 경이었다는 기록은 현재 기원전 6500년으로 바뀌어지고 있는데, 이것은 차탈휘이크라는 터키의 고대 도시 집적 유적지에서 발견된, 제련되어 순수 납만 추출한 납으로 만든 납 비드가 기원전 6500년경이었다는 사실이 최근 알려지기 시작하면서다. 


또한 우리나라의 은 제련 기술이 일본에 전해져서 어떻게 우리의 역사와 일본, 그리고 세계사를 바꾸었는지도 이 책에서 처음 알게된 정보로, 안타까웠다. 단천연은법은 단천에서 채굴되는 납이 포함된 은을 제련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이 17세기 일본에 전해져 일본의 은 생산량을 세계 1/3 규모로 늘렸고, 그 덕분에 일본은 폭발적인 은 증가로 활발한 교역을 통해 아시아를 넘어선 세계무대로 나아가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일본의 이러한 아시아 거점 국가로서의 비약적 발전은 결국 우리나라에게 임진왜란에 이어 제국주의 침략을 가져오게 되었으니 말이다. 결국, 청동기 도구와 철기 도구의 사용과 마찬가지로 금속의 제련 기술의 발전과 그 확산은 실로 인류사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것이다. 


이런 류의 전문적인 책은 외국의 저자가 많은데, 문화의 차이, 번역문이라는 대체 불가능한 속성 등으로 인해 가독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특히, 빡빡하게 글로만 이루어진 책들이 대부분인데 이 책은 일단 우리 문화적 코드로 읽히는 국내 원저자인데다가 그림과 주석이 친절해서, 읽는데 전혀 지루하지가 않고 재미있게 읽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이런 쉬운 편집적인 특성이 흔한 주제, 기초적인 과학 책을 다룰 때에나 볼 수 있는데,  흔하지 않은 주제, 흔하지 않은 이야기들로 구성된 이러한 책임에도 전방위적인 배려로 꼼꼼한 편집작업을 한 것이 돋보인다. 


세계사와, 금속 두 가지가 그리 크게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주제이지만, 찹쌀 궁합으로 세계사 특히 고대사의 궁금하고 흥미로운 부분을 많이 다루고 있으므로, 이야기책으로 읽어도 무방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