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로쟈 > 인간증발과 인간의 종말

4년전 책소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가냘픔에 대한 시

2년 전에 쓴 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일본의 양심과 일본의 망상

6년 전 페이퍼다. 광복절 전날이어서 다시 읽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국의 대학에서 강의하는 독일 철학자의 책이다. <왜 살아야 하는가>(추수밭). 원제는 '삶과 죽음의의미'. 비슷한 주제의 책들이 많은데, 10인의 작가와 사상가들의 생각(삶과 죽음에 대한 견해 내지는 통찰)을 정리해놓았다는 게 특징이다(그래서 부제가 '삶과 죽음이라는 문제 앞에 선 사상가 10인의 대답'이다). 분류하자면 5명의 철학자와 5명의 소설가이고 러시아작가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가 포함돼 있다(나머지 셋은 멜빌과 프루스트, 그리고 카뮈다). 
















"‘왜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변하기 위한 시도를 보여준 사상가 10인의 고전을 깊이 있게 읽고 알기 쉽게 해설한다. 철학과 문학을 오가며 ‘삶’과 ‘죽음’의 의미를 심도 있게 탐색하면서 목적과 방향을 잃은 현대인이 흔히들 갖게 되는 이익주의, 합리주의, 허무주의, 냉소주의 등의 태도를 반성한다."


미하엘 하우스켈러라는 저자의 이름은 생소하지만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건 아니다. 앞서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 입문>과 <예술 앞에 선 철학자>가 나왔었다. 다루는 주제가 다양하다는 걸 알게해준다. 강의도 하고 있는 김에, 이번 책에서는 먼저 도스토옙스키와 톨스토이의 견해부터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속'이란 제목의 소설과 상속을 주제로 다룬 법률서들이 있지만, 의외로 상속의 역사를 다룬 책은 드물다. 몇년 전의 백승종 교수의 <상속의 역사>(2018)를 서평강의에서 다루면서 든 생각인데, 그 뒤를 이을 만한 책이 나왔다. 권내현 교수의 <유유의 귀향, 조선의 상속>(너머북스)이다. 저자는 앞서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역사비평사)이라는 노작을 펴낸 바 있다. 
















"1556년 대구의 한 양반가의 가출 사건에 주목하면서 조선시대 상속의 역사를 담은 책. 소재가 된 사건은 이항복이 「유연전」이란 기록으로 남겼는데, 16세기 프랑스의 마르탱 게르 사건과 흡사하다. 균분 상속에서 장자 우대 상속으로 넘어가기 직전에 벌어진 소설보다 극적인 이 실화에는 ‘상속’을 둘러싼 당대인의 욕망과 갈등, 관습과 제도가 응축되어 있었다."
















소개에도 언급되지만 '유유의 귀향'은 영화로도 만들어진 내털리 데이비스의 역사서 <마르탱 게르의 귀향>을 상기시켜준다. 


백승종 교수의 <상속의 역사>가 전반적인 안내서 역할을 하지만 이 주제에 관해서는 좀더 묵직한 책이 소개되어도 좋겠다. 설마 드문 것일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1-07-28 16: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흔히 유교사회인 조선시대에 여성들을 많이 억압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조선 전기만 하더라도 상속의 경우 아들 딸 차별없이 균등하게 상속했따고 하더군요.다만 후기에 들어 주자중심의 성리학의 득세하면서 여성들을 차별하기 시작했다고 하더군.

로쟈 2021-07-29 20:59   좋아요 0 | URL
네, 한편으론 균등상속과 장자상속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가령 왕권이나 귀족권은 균등상속이 되지 않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