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푸코 미공개 선집'이 하나 추가되었다. <자기해석학의 기원>(동녘). 앞서 두 권의 책이 나왔기에 세번째이고, 근간도 예정돼 있다. <비판이란 무엇인가>가 시리즈의 첫 책. <담론과 진실>은 2017년간이므로, 5년만에 한권이 추가된 셈이다. 















"1980년에 푸코가 행한 두 차례 강연과 한 번의 공개 토론 그리고 한 차례의 인터뷰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대 주체의 계보를 중심으로 체계화된 푸코의 기획 전반에 대한 개괄적 윤곽을 제시한다. 이 책을 구성하는 첫 번째 강연의 제목 <주체성과 진실Subjectivite et verite>은 푸코의 1980-1981년도 콜레주드프랑스 강연 제목과 동일하다."
















같은 주제를 다룬 콜레주 강의록은 <주체의 해석학>으로 나와있다. '자기'라는 주제는 <성의 역사>(3권)과 <자기의 테크놀로지>에서도 다루는 주제. 푸코의 여러 주제들 가운데 나로선 그간에 덜 관심을 가졌던 주제다. '자기해석학'의 그리스도교적 기원을 다룬다는 소개에서 짐작할 수 있지만 푸코가 주로 검토하고 있는 건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을 포함한 중세 문헌들이다. 기록된 고백과 기록된 역사가 극히 소수만 책에 접근할 수 있었던 시대에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가졌을지 궁금하다. 관심을 덜 갖는 이유다(중세문학에 관심을 덜 갖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렇지만 겸사겸사 지난해부터 나온 푸코 책들을 다시 소환하는 계기는 된다. 새로 구입한 책들도 많아서 시간을 내야 하는데, 여의치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가짜뉴스와 탈진실의 시대

3년전 페이퍼다. 한국 언론상황에서도 탈진실(포스트트루스)는 이제 기본값이 된 듯하다. 비유컨대 수돗물을 바로 먹을 수 없는 시대로 진입한 것 같다고 할까. 정수기로 거르거나 생수를 구입하듯 뉴스도 거르거나 제값을 치르고 구입해야 한다(대안 역할을 하는 인터넷언론을 후원한다든가 하는 식). 더불어 쓰레기뉴스들에 대한 처방으로 뉴스다이어트도 필요해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레지스탕스 사형수들의 마지막 편지

1년 전에 나온 책인데도 아득하게 느꺼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국의 마르크스주의 비평가 프레드릭 제임슨의 대표작(<정치적 무의식>과 함께) <포스트모더니즘,혹은 후기자본주의의 문화논리>가 상당히 늦게 번역돼 나왔다. 1992년 저작이니 30년만에 나온 셈. 1982년 저작인 <정치적 무의식>이 (90년대 내내 소문만 있다가) 지난 2015년에 번역된 것(33년만에!)과 비교하면 좀 나은 듯도싶지만 지각은 지각이다.

가장 중요한 포스트모더니즘론으로 회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90년대에 번역본이 나오지 않은 것은 기이한 일이었다. 늦게라도 나와서 다행이지만(예상밖으로 창비가 아닌 문지에서 나왔다. 아무리 마르크스주의 비평가라 해도 포스트모더니즘론은 창비와 안 맞아서일까?).

세계문학 강의에서 근대/근대성과 근대문학, 모더니즘을 해명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삼고 있는 터라 제임슨의 관점은 언제나 좋은 이론적 참고가 된다. 분량은 좀 얇은 <단일한 근대성>은 강의에서 다뤄볼까 하는 생각도 가졌다(다른 두 주저는 다루기 어렵다). 마르크스주의 문학론(나는 세계문학을 주로 반영론적 관점에서 다룬다)의 갱신을 위해서라도 참고대상이다(루카치부터 시작해, 골드만과 페터 지마, 프랑코 모레티 등이 이론적 검토대상이다).

에너지가 회복되는 대로(가능한가?) 이론적 전투에 나서보려 한다. 나대로의 전략은 짜두었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무굴제국과 오스만제국

6년 전 페이퍼다. 인도문학 강의차 인도사를 포함 인도 관련서를 상당히 구입했다. 현대문학을 다루기에 ‘타지마할과 무굴제국 이야기‘까지 관심이 거슬러올라가는 건 아니지만 참고거리는 되기에 다시 불러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