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얼마나 치열하게 살고 있는가.

자기 몫으로 주어진 삶을 매 순간 최선을 다해서 사는것이 우리가 사는 동안 해야할 가장 큰 사명이라는데,

난 과연 어떤 일에 최선을 다하며 살고 있는지.

그 어떤 일도 최선을 다하지 못한채 시간을 때우는 식으로 살고 있는 건 아닌지 모르곘다. 최선이 아니라 대충, 이정도면 되겠지 수준으로. 그러고서 과연 나중에 나의 삶은 어떻게 남을 것인가. 최소한 자식인 다린이의 가슴에는 어떤 모습으로 엄마의 모습이 남을 것인가...생각하니 부끄럽다.

내게 맞는 일, 내가 최선을 다 할수 있는 일을 얼마전 부터 조금씩 알겠는데, 현실은 그렇게 만만하지가 않다.

만만하지 않지 그럼, 이 세상이 그렇게 만만한 줄 알았더냐.

지금, 당장 눈 앞에 있는일부터 열심히 하고 보는거다. response letter쓰는 이 작업부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통큰 부모가 아이를 크게 키운다
이원숙 지음 / 동아일보사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아이를 낳고서 읽는 책은 단연 자녀 교육에 관한 책이 우세다.

별 탈 없이 일곱 남매를 키워 내었다는 사실 만으로도, 한 아이를 키우면서도

쩔쩔매는 이 엄마의 눈에는 경이롭기까지 한데,

일곱 남매 모두, 바른 품성, 성실하고 남을 배려 할 줄 아는, 또 사회적으로도 성공한 지성인, 예술인으로

성장 시킨 부모라면,

이런 책을 몇 권 쓰고도 남을 많은 할 얘기들이 부모된 사람에게 있을 것.

비결은, 이 책의 맨 마지막 문장에 나와 있다.

... 생명을 거둬 가시는 그 날까지 나는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 자기 몫의 삶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야말로 인간에게 주어진 가장 큰 사명이라 믿는 까닭이다 ...

이렇게 사는 엄마를 옆에 둔 자식이 잘 못 될 수 있을까.

자식이 하나면 하나, 셋이면 셋, 일곱이면 일곱...

연세가 많으신 분임에도 불구하고, 생각이 고루하거나 보수적이지 않으시고,

열린 마음을 가지고 계신 것 같다.

바이올리니스트로서의 생활이 너무 힘들어 그만 두고 싶다고 펑펑 울었다는 딸 정경화 씨에게,

'그래, 네가 행복하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니. 힘들면 하지 말거라. 네가 행복한 인생을 사는게 더욱 중요하단다' 라고 말해주어 오히려 딸을 어리둥절하게 했다는 얘기는 오랫동안 마음에 남는다.

자식에게 쏟는 애정이야 어느 부모인들 그렇지 않으랴만,  그것이 자식에 대한 애정인지 자식에 대한 투자인지 모를 정도로 아이의 의지와 생각과 상관없이 부모가 생각해서 좋다고 생각하면 아이에게 마구 쏟아 붓는 현재의 많은 엄마들. 그리고서 그만한 결과나 진척이 눈에 안 보이면 그것에 대해 조바심내고, 심하면 분해서 어쩔줄 몰라 하여, 보는 아이에게 상처를 주고 마는 엄마들...

진정으로 자식을 위하는 엄마란, 자식의 '행복'이 제일 중요해야 한다. 자식이 무엇이 되느냐보다는 어떻게 사느냐가 더 중요하게 생각되어야 한다.

최선을 다해라, 열심히 살아라...자식들에게 이렇게 말로 수백번 하는 대신, 저자는 예순이 훨씬 넘은 나이에도 새로 공부를 시작하고 매진하여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최선의 삶을 살았다.

존경스러운 어머니임에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프라이즈는 살다가 생기는 보너스 같은 것.

생기면 서프라이즈 감인 일을 미리 '기대' 해서는 안되겠지.

하지만,

너무 실망할 일들만 생겨왔기에,

꽤 오랫 동안

...

또 서프라이즈를 기대했다가

실망한다.

...

이제 달력 보며 기다릴 일도 없네

누구 생일, 제사, 성적 마감 등등

그런 일 말고는,

손꼽아 기다릴 일이란 이제

없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중에 더 사랑하지 못했음을 후회하지 말자'

더 사랑받지 못했음만 속상해 하며 사는 일상.

나중에 후회되는 것은 사랑받지 못했음이 아니라, 더 사랑하지 못했음이라...

오늘은 이 말 한마디 가슴에 넣고 다닐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엄마 마음 - 내 아이가 어른이 되기 전에 꼭 전하고 싶은 말
최승은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도서관에서 이미 고른 다른 책들을 모두 물리 치고 선택된 책.

자식을 키우는 엄마들은 모두 이런 책 한권 쓰게 되지 않던가.

이런 책이 아니더라도, 일기에, 수첩에, 아니면 마음 한 구석에...

어디 한 권의 분량만 되랴.

제일 좋은 것은 얼굴을 마주 하고, 서로의 말투와 표정을 읽어 가며 나누는 대화이겠지만,

저자처럼 자식과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야 하는 경우도 있고,

오히려 마주 하고는 마음 속 얘기를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

이 책을 대하기 전부터 나도 한번 해보리라 생각했었다. 나중에 먼저 갈 엄마가 아이에게 남겨 줄 것이 뭐가 있으랴. 아직은 아이가 어리니, 지금의 기록은 간간이 쓰고 있는 제 육아 일기를 보며 엄마 마음을 헤아릴테고, 좀 더 커서 엄마 품을 떠나게 되면 이런식의 편지를 주고 받으리라.

아! 한가지, 편지는 친구처럼 쓸 것. 너무 들려주고 싶은 얘기 중심의, 교훈적인 내용으로 쓰지 말 것을 나 자신에게 당부해본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샘 2005-11-13 15: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요. 들려주고 싶은 얘기, 교훈적인 얘기보다는 내가 듣고 싶은 이야기를 친구처럼... 그래야 되겠군요.
저도 요즘 아들에게 책을 한 권 만들어 주고 있거든요.
좋은 말을 듣고 갑니다. ^^

hnine 2005-11-14 0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시군요. 아이 인생에 그보다 더 좋은 선물을 없을것 같아요. 누군가 자기를 이토록 사랑했다는 것보다 더 든든한 재산이 있을까 싶어요. 궁금해지네요 내용이 ^ ^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샘 2005-11-14 1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매일 쓴 것을 제 서재에 자작나무라고 갈무리해 두었습니다.
제가 때때로 쓸 일이 많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