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돌보지 않는 2024.5.19.해.



사람이 “숲을 돌본다”고 할 적에는 ‘손보다·손대다’가 아니야. ‘돌아보다’가 ‘돌보다’야. 어른이나 어버이가 “아이를 돌본다”고 할 적에도 같아. 아이한테 손을 대거나 손을 잡아끌 적에는 ‘아이돌봄’일 수 없어. 아이를 “돌아보는 눈빛을 밝히”기에 ‘돌봄(돌아봄)’이라 할 테지. 동무처럼 보고, 도우면서 보고, 동글동글 보고, 도란도란 얘기하며 보고, 두루 헤아리는 마음으로 볼 때라야 ‘돌봄(돌아봄)’이란다. 이끌 적에는 ‘이끌다’이지. 잡아끄니까 ‘잡아끌다’이고, 가르치니까 ‘가르치다’이고, 길들이니까 ‘길들이다’이고, 들볶거나 다그치거나 억누르거나 때리니까 ‘들볶다’에 ‘다그치다’에 ‘억누르다’에 ‘때리다’란다. ‘돌보’지 않으면서 ‘돌봄(육아)’이라는 이름을 허울처럼 붙이는 사람이 아직 많구나. 네가 어릴 적에 네 둘레에서 너를 돌보지 않은 탓에, 너는 네가 어른이나 어버이로 선 오늘 그만 ‘돌봄길’을 모르니? 누가 너를 돌보지 않았으면 넌 이미 죽었어. ‘어른인 사람’만 널 돌보지 않아. 해가 돌본단다. 별이 돌보고, 바람이 돌보고, 비가 돌보고, 땅이 돌보고, 바다가 돌봐. 풀꽃이 돌보고, 나무가 돌보고, 새가 돌보지. 파리모기도 널 돌보고, 개구리와 풀벌레도 돌봐. 쌀과 밀과 달걀도 널 돌봐. 네가 먹을 수 있는 밥이 널 돌보고, 네가 못 먹는 밥도 널 돌봐. 너는 온누리 하늘빛이 돌보는 숨결을 늘 받아들이기에 몸을 이루고 마음을 편단다. 그러니 스스로 생각해 보렴. 넌 이미 ‘돌봄길’이 무엇인지 여태 끝없이 배웠단다. 이제 제대로 눈을 뜨고서 둘레를 다 돌아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살림하는 2024.5.18.흙.



살리니까 살고, 죽이니까 죽어. 펑펑 쏘고 꽝꽝 터뜨리고 팍팍 밟으니 죽겠지. 살살 북돋우고 슬슬 돌보고 가만히 기다리면 살아나. 사람도 뭇목숨도 ‘목’으로 ‘숨’을 이어. 다만 ‘목’이라는 모습은 모두 다르지. ‘목’이란 안과 밖을 잇는 길이야. 바깥것이 안쪽으로 들어올 적마다 거치고, 안엣것이 바깥쪽으로 나갈 적마다 거쳐. 안쪽으로 들어올 적에는 속에서 품고 살아날 만하게 숨을 담아. 바깥쪽으로 내놓을 적에는 밖에서 받아들여 풀어낼 만하게 숨을 실어. 사람과 풀꽃나무는 들숨과 날숨이 서로 다르기에 어울려. 사람과 뭇목숨도 ‘암수’가 서로 다르기에 어울려서 한집을 이루지. ‘목숨(생명)’을 이루려면, 바람하고 물을 섞어. 바람하고 물을 어떻게 맞추느냐에 따라서 ‘몸’이 달라. ‘몸’을 이루려고 ‘바람 + 물’이라는 길을 여는 ‘넋’인데, ‘빛’을 빛씨가 빛알로 탄단다. ‘씨’나 ‘알’로 고루 섞거나 타거나 심으니, 바람과 물이 살랑살랑 춤을 추면서 ‘꼴’을 갖추지. ‘꼴’은 곧 어느 ‘모습’으로 드러나고, 바야흐로 ‘몸’을 입는데, 이동안 섞거나 타거나 심는 빛(빛씨·빛알)에 맞추어 ‘마음’이 생긴단다. 아직 엄마몸에서 자라거나 ‘알’에서 클 적에는 “몸으로 입어서 마주할 삶”을 어떻게 마음에 담으려는지 생각하지. ‘생각’을 하도록 네 ‘넋’은 늘 새로 ‘빛’을 보탠단다. 그러니까 “몸 = 빛 + (바람 + 물)”이라 할 테고, 이 몸은 무엇이든 해보면서 무엇이든 ‘마음’에 담아서 ‘말’을 빚어. 아주 마땅히 모든 목숨은 몸·마음·빛이 다르니 말이 다르지만, 넋이 하나이기에 서로 마음이 만나는 말을 나눌 수 있어. “살림하는 길”이란, 네가 몸·마음을 제대로 보면서, 넋으로 빛(생각)을 지어서 늘 심고서 가꾸는 하루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듣는 스승 2024.5.13.달.



흔히들 “이 삶이 가장 대수롭다·크다·뜻있다” 하고 말하더구나. 그래, 무엇을 하든 ‘삶’이 대수롭거나 크거나 뜻있어. 그런데 ‘삶 = 살다 = 사람으로서 하다’야. 네가 날마다 ‘하는’ 무엇이건 어느 하나 안 대수롭거나 안 크거나 안 뜻있을 수 없어. 똥을 누거나 자더라도 대수로워. 말을 하거나 말을 들어도 커. 멍하니 있거나 잘못을 저질러도 뜻있어. “삶이란 네가 하며 보내어 흐르는 모든 하루”이기에, 이 짓을 하면 삶을 모르거나 저 짓을 하니 삶하고 동떨어지지 않아. 너는 갓난아기가 왜 바로 일어서지 않느냐고 나무랄 셈이니? 너는 아이가 왜 한달음에 수저질을 못한다고 타박할 셈이니? 너는 어린이가 왜 어른처럼 짐도 잘 나르고 돈도 벌 만한 나날을 안 보낸다고 꾸중하겠니? 다만, 15살이나 25살이나 45살이나 65살인데, 철들지 않은 채 또 허둥대거나 헤맨다고 나무라고 싶을 수 있어. 그러나 “네가 나무라는 사람”은 늘 너한테 스승이고 거울이야. 너는 왜 ‘거울’을 보면서 네가 못생겼다고 여기면서 거울을 나무랄 뿐 아니라, 거울을 깨니? 너한테서 꾸중이며 꾸지람이며 나무람을 듣는 사람은, 그이가 아이나 어른 누구라 하더라도 네 길잡이요 스승이야. 너는 늘 ‘스승’과 ‘길잡이’를 나무라는 셈이란다. 살다 보면 말이야, 스승이나 길잡이를 나무라거나 다그칠 때가 있고, 자꾸자꾸 꾸짖을 수 있어. 그러니까 네가 누구를 나무라려고 하는 마음이 불쑥 솟을 적마다 생각하렴. 네 거울이요 스승이라서, 네 나무람말을 고스란히 듣는 거울과 스승한테 어떤 ‘말씨앗’을 심을 셈인지 곰곰이 생각해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숨쉬는 2024.5.12.해.



숨쉬는 나비를 늘 보는 사람이랑, 나비 그림·사진·영상을 보는 사람은 다를 테지. 숨쉬는 사람을 늘 이웃에서 볼 적하고, 그림·사진·영상으로 다른 사람을 지켜보거나 구경할 적이 다르지. 늘 나무 곁에 있지 않다면, “숨쉬는 나무”인 줄 느끼지 않아. 모기랑 파리를 얼른 때려잡거나 죽음물을 뿌릴 적에도 ‘모기·파리’가 “숨쉬는 이웃”인 줄 하나도 안 느낀단다. 네 피를 쪽쪽 빠는 모기조차 “숨쉬는 이웃”이야. 보렴! 이 별은 네가 밥을 먹겠다면서 땅에 삽질·호미질을 해대더라도 가만히 본단다. 네가 땅에 똥오줌을 누건 쓰레기를 묻건 그저 지켜보지. “숨쉬는 사람”을 느끼면서, 이 사람들이 무엇을 보고 배우고 느껴서 살아가는가 하고 돌아본단다. 사람을 바라보면서 사람한테서 배우고, 풀벌레를 바라보면서 풀벌레한테서 배우고, 새를 바라보면서 새한테서 배우는 별이야. 너는 무엇을 보고 무엇을 배우는지 돌아보렴. 너는 누구를 보고 누구한테서 배우는지 되새기렴. 너는 늘 어떤 숨결로 살면서 “숨쉬는 이웃”을 얼마나 어떻게 마주하고 맞아들이는지 헤아리렴. 너한테 길잡이가 아닌 숨결이란 없어. 들풀도 헤엄이도 먼지도 모래도 이슬도 길잡이야. 너한테 이웃이 아닌 숨결이란 없지. 개미도 거미도 비도 별도 이웃이야. 늑대도 쥐도 이웃이고, 뱀도 덩굴도 길잡이란다. 너는 ‘너를(나를)’ 바라볼 노릇이야. ‘너만(나만)’ 쳐다보는 눈이나 길이 아닌 ‘너를(나를)’ 바라보면서 받아들일 적에 빛난단다. 빛나지 않는 까닭을 알겠니? ‘너만(나만)’ 보는데 사슬에 갇히는걸.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든 것이 없어 2024.5.9.나무.



바람에 날리는 쓰레기는 어디로 갈까? 씨앗이라면 뿌리를 내려서 무럭무럭 자라날 새터로 가겠지. “든 것이 없는” 쓰레기는 이리 휩쓸리고 저리 휘날리면서 뒹굴기만 해. ‘씨앗’은 “알이 찬 작은 숨결”이야. ‘쓰레기’는 “알이 없이 빈 껍데기”야. 네가 ‘말씨앗’을 심을 줄 알면, 네 말씨로 스스로 빛나. 네가 ‘말씨앗’이 아닌, ‘쓰레말’을 자꾸 혀에 얹으면, 너는 네 말씨에 따라서 스스로 갉다가 사라져. ‘든 것’이란, “들인 것”일 텐데, 씨앗을 심어서 가꾸고 거든 알을 들이면 ‘알맹이’이지만, 아무것이나 그저 들여놓으면 “바람든 빈것”이야. 몸을 살리려면 ‘들숨’과 ‘날숨’이 있어야 할 테지. 살림숨을 들이고서, 네 몸빛을 담아서 내놓으니, 풀꽃나무하고 흙이 반겨. 풀꽃나무하고 흙은 너희 날숨을 들숨으로 삼고서, 기쁘게 ‘풀꽃나무·흙빛’을 날숨으로 내놓는단다. 같이 있으면서 같이 알알이 영글어서 알맹이가 그득그득 드는 결이야. 빈 껍데기라서 아무렇게나 날리는 쓰레기는 아무것도 살리지 않는 채 헤매고 떠돌다가, 쓰레기 스스로 낡삭으면서 둘레를 더럽혀. 그런데 해바람비와 바다와 흙과 풀벌레는 이런 쓰레기조차 천천히 두고두고 받아들여서 녹이고 풀어낸단다. 곰곰이 본다면, 사람도 무엇이든 녹이고 풀어내. 사람은 살림을 짓는 사랑으로 모든 앙금·미움·싫음·짜증·부아·시샘·아픔·수렁·싸움을 사르르 녹이고 풀어서, 다시 처음부터 새롭게 첫발을 내딛는 삶으로 나아가라고 할 수 있어. “살림을 짓는 사랑”을 마음에 말씨앗 한 톨로 심는단다. 너는 늘 맨 먼저 네 마음에 ‘꿈그림’이라는 밭을 일굴 말씨앗 한 톨부터 심고서, 이 말씨앗이 자라는 하루를 둘레에 이야기해 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