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물고기 남해편 한국 생물 목록 20
한정호 외 지음 / 자연과생태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5.4.

읽었습니다 316



  민물에도 바다에도 헤엄이가 살아갑니다. 물에서 살면 ‘물숨·물짐승’이라 하고, 바다에서 살면 ‘바다숨·바다짐승’이라 하면 될 텐데, 우리는 여태 이런 이름은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더 본다면, ‘민물헤엄이·바다헤엄이’처럼 새롭게 이름을 붙일 만합니다. 《바닷물고기 남해편》을 곰곰이 읽었습니다. 전남 고흥에서 터를 잡고서 살아가기에 마녘바다 헤엄이를 살펴보려고 했습니다. 여러모로 잘 엮은 꾸러미라고 느끼되, ‘헤엄이’ 아닌 ‘물고기’라고 하는 ‘수산자원’이라는 눈길로만 바라보는 대목은 아쉽습니다. ‘헤엄이책’은 헤엄이랑 동무하거나 이웃하는 마음과 눈길로 여밀 수 있을까요? ‘먹잇감’으로 보는 눈하고, ‘동무·이웃’으로 보는 눈은 확 다릅니다. 민물에서도 바닷물에서도 헤엄이나 동무나 이웃이라면, 섣불리 잡아서 보기(박제)로 삼지 않겠지요. 사람도 바다에서 함께 헤엄을 치면서 마주할 적에는 사뭇 다르게 글과 그림으로 여미리라 봅니다.


《바닷물고기 남해편》(한정호·정현호·홍영표·박찬서·안제원·백운기, 자연과생태, 2016.9.19.)


ㅅㄴㄹ


바다에서 태어난 치어들은 무리 지어 연안으로 몰려와 부유생물을 먹는다

→ 바다에서 태어난 새끼는 무리지어 바닷가로 몰려와 물톡톡이를 먹는다

107쪽


꼬리 쪽으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해진다

→ 꼬리 쪽으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하다

151쪽


방추형으로 짧고 통통하며, 체고가 높다

→ 베틀북꼴로 짧고 통통하며, 몸이 높다

195쪽


새우류와 같은 저서동물뿐만 아니라, 식물성 먹이도 먹는다

→ 새우붙이 같은 바닥살이뿐만 아니라, 풀밥도 먹는다

24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 발 달린 황소 겨레아동문학선집 6
안회남 외 지음, 겨레아동문학연구회 엮음 / 보리 / 199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5.4.

읽었습니다 321



  예부터 우리말 ‘아이’가 있으나, 굳이 한자로 ‘아동’이라 적는 글바치가 많았습니다. ‘아기’에서 ‘아이’로 가는 길을 말씨에 어떻게 담았는가 안 읽은 탓입니다. ‘아동문학선집’은 무늬만 한글인 일본말입니다. 일본에서 익히 쓰는 말씨를 슬쩍 따왔어요. 곰곰이 보면, 우리 겨레는 예부터 말로 아이를 가르치고 이끌었어요. 이른바 ‘이야기’로 풀어내고 북돋았습니다. 《겨레아동문학선집 6 세 발 달린 황소》를 스물 몇 해 만에 되읽었습니다. 문득 이 책을 우리 아이들한테 읽힐 만할까 하고 살피는데, 곰곰이 생각한 끝에 안 읽히기로 했습니다. 어린이가 스스로 소꿉놀이랑 집살림을 사랑하는 길로 줄거리를 짜지 못 하더군요. 배움터에서 부딪히는 말썽거리를 풀어내는 줄거리는 재미나지도 않고, 예나 이제나 틀에 박힙니다. 더 돌아본다면, ‘겨레이야기꽃’처럼 쓸 수 있을 텐데, 굳이 ‘아동문학 + 선집’이라는 허울을 아직도 붙잡는 얼거리는 매우 안타깝습니다.


《겨레아동문학선집 6 세 발 달린 황소》(안회남과 열세 사람, 보리, 1999.4.15.)


ㅅㄴㄹ


눈사람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 눈사람을 빚어 놓았습니다

23쪽


자기 아버지에 대하여 누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을 길동이는 들은 법하였다

→ 길동이는 누가 저희 아버지를 이리 말하는 줄 들은 듯하였다

71쪽


뜨거운 해님은 매일매일 아이들을 사뭇 덥게만 하였습니다

→ 해님은 날마다 아이들한테 뜨겁게 내리쬐었습니다

→ 해님은 날마다 내리쬡니다

146쪽


인환이는 옥수수들의 고마운 인사를 받으면서

→ 인환이는 옥수수한테서 고맙게 절을 받으면서

→ 옥수수는 인환이한테 고맙게 절을 하고

147쪽


점심때가 지나서

→ 낮이 지나서

14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원수 선생님이 들려 주는 김구 산하인물이야기
이원수 글, 허구 그림 / 산하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4.27.

읽었습니다 318



  예부터 어른은 아이한테 이야기로 삶을 들려주고, 살림을 일깨우고, 사랑을 속삭였습니다. 어른이 아이한테 들려주는 이야기에는 ‘훌륭님’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스스로 하루를 짓는 어진 사람이 나오고, 스스로 사랑을 꽃피우는 어른이 나오며, 스스로 삶을 노래하고 살림을 일구는 숨결이 나올 뿐입니다. 《이원수 선생님이 들려 주는 김구》를 곰곰이 읽었습니다. 언뜻 보면 ‘위인전’이되, 가만히 보면 ‘작은이’ 이야기입니다. 대단하거나 놀라운 일을 한 분이라기보다는, 우리 곁에서 누구나 이처럼 ‘사랑’을 나라에도 쏟거나 마을에도 기울이거나 보금자리에도 펼 수 있다는 길을 보여준다고 느껴요. 집안에서 아늑하면서 아름다울 적에 마을에서도 알차고 빛납니다. 나라사랑만 할 수 없어요. ‘나사랑’에서 ‘너사랑’으로 잇고, ‘우리사랑’을 바라볼 줄 알기에, ‘누리사랑’으로 피어납니다. 누구나 사랑으로 일어나는 사랑누리를 그립니다.


ㅅㄴㄹ


《이원수 선생님이 들려 주는 김구》(이원수, 산하, 2002.8.23.)



길마를 머리에 이고 지붕 위에서

→ 길마를 머리에 이고 지붕에서

9쪽


상놈만도 못한 행실을 하는 어른이라고

→ 막놈만도 못한 짓을 하는 어른이라고

→ 만무방보다 못한 어른이라고

39


해주에서 과거를 보인다는 방(공고문)이 나붙었습니다

→ 해주에서 물음풀이를 보인다는 글이 나붙었습니다

→ 해주에서 글겨룸을 보인다는 알림이 나붙었습니다

48


글씨를 쓴 종이 위에 또 글씨를 썼습니다

→ 글씨를 쓴 종이에 또 글씨를 썼습니다

50쪽


객사(여관)에 들 형편이 못 되는

→ 길손채에 들 살림이 못 되는

51


창수의 뒤에는 우리 2천만 동포가 있습니다

→ 창수 뒤에는 우리 한겨레가 있습니다

81


아드님의 호령이 얼마나 당당하던지

→ 아드님 목소리가 얼마나 당차던지

→ 아드님이 얼마나 힘차게 외치던지

8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이의 여행법 - 불편하고 아름다운 것들을 사랑하는 마음에 관하여
이지나 지음 / 라이프앤페이지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4.25.

읽었습니다 319



  배우려는 사람은 자랍니다. 배우려 하지 않는 사람은 안 자랍니다. 안 배우려는 어린이는 몸뚱이는 불거나 늘지만 ‘자라’지 않아요. 배우는 어른은 몸뚱이가 줄거나 작아도 ‘자랍’니다. ‘자라다’하고 ‘크다’는 달라요. 안 배우더라도 얼마든지 ‘큽’니다. 안 배우더라도 ‘높다’는 자리를 거머쥐기도 합니다. 이와 달리, 배우는 사람은 높낮이나 크기를 안 가립니다. 배움길이란 ‘나음’이 아닌 ‘나다움’입니다. 《어린이의 여행법》은 퍽 알쏭합니다. 어린이 곁에서 배우는 길을 들려주지 못 하기도 하지만, 어린이로서 거니는 길을 짚지도 못 합니다. ‘어린이길’이란 ‘어린길’이면서, ‘씨앗길’입니다. 어린이는 힘으로 배우지 않아요. 마음으로 배웁니다. 이와 달리, ‘어른 아닌 꼰대’는 ‘마음 아닌 힘’으로 아이들을 붙잡거나 다그치거나 끌어가지요. 우리가 어른이기를 바란다면, 치레나 꾸미기나 만들기가 아닌, 사랑으로 짓는 하루를 바라볼 노릇입니다.


ㅅㄴㄹ


《어린이의 여행법》(이지나, 라이프앤페이지, 2023.5.22.)


나는 운전에 대단한 로망을 가지고 있었다

→ 나는 부릉부릉 몰고 싶었다

→ 나는 손수 몰고 싶었다

17쪽


실제로 운전을 배우게 되었을 때 그 설렘은 말로 다 할 수가 없었다

→ 막상 어떻게 모는지 배울 적에 말로 다 할 수가 없이 설렜다

→ 그러니까 모는길을 배우면서 더없이 설렜다

18쪽


아이는 배울 게 참 많다

― 아이는 우리를 가르친다

→ 아이한테서 배운다

60쪽


하지만 고작 열 달 공부한 것으로 나의 스페인어는 일천했다

→ 그렇지만 고작 열 달 배운 스페인말은 얕았다

→ 그러나 고작 열 달 배운 스페인말은 허술했다

8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두나무 작업실
소윤경 지음 / 사계절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4.25.

읽었습니다 320



  아이가 나룻배를 그리려 한다면, 나룻배를 살펴볼 노릇입니다. 그러나 나룻배를 몸소 젓지 않고서는 나룻배를 알 길이 없고, 손수 나무를 켜고 다루고 만져서 뭇지 않았으면, 나룻배를 제대로 그리지 못 합니다. 글이든 그림으로든 누구나 스스로 살아내고 살림하며 사랑할 적에 담아낼 수 있습니다. 눈으로 얼핏 보면 허술하고, 몸으로 살아내지 않을 적에는 겉멋이고, 사랑으로 풀거나 녹이지 않으면 자꾸 꾸밉니다. 《호두나무 작업실》을 읽는 동안 갸우뚱했습니다. 왜 자꾸 글을 꾸미거나 ‘만들’려고 할까요? 가만히 보니, 글님은 시골에서조차 ‘서울처럼 살기’를 하더군요. 왜 헤엄터(수영장)에 가서 헤엄을 쳐야 할까요? 시골이라면 냇물이나 바닷물에서 헤엄을 칠 일입니다. 풀꽃을 그리려면 ‘식물도감’이 아닌 ‘풀꽃’을 들이며 숲이며 논둑에서 여러 해에 걸쳐 지켜보면서 그릴 노릇이에요. 남한테 내보이려고 하면 꾸밀 수밖에 없어요. 스스로 사랑할 적에라야 글이며 그림입니다.


ㅅㄴㄹ


《호두나무 작업실》(소윤경, 사계절, 2020.3.10.)


막상 글을 쓰기 시작하자 두려움이 고개를 들었다

→ 막상 글을 쓰자 두렵기부터 하다

→ 막상 글을 쓰려 하자 두렵다

5쪽


그림과 글들은 나의 몸과 시간을 먹고 자라난다

→ 그림과 글은 내 몸과 하루를 먹고 자라난다

6쪽


글들은 텃밭의 채소들처럼 무수히 열렸다

→ 글은 텃밭 남새처럼 숱하게 열린다

→ 글은 텃밭에서처럼 끝없이 열린다

6쪽


내가 통과하고 있는 오후의 시간

→ 내가 지나가는 낮

→ 내가 누리는 낮나절

7쪽


빛의 각도와 정원에 새로이 편 꽃들, 새들의 지저귐들

→ 빛길과 뜰에 새로이 핀 꽃, 지저귀는 새

→ 빛녘과 뜨락에 새로이 핀 꽃, 지저귀는 새

7쪽


집에 지나치게 돈을 쓰는 건 어리석은 짓이라는 걸 깨닫는다

→ 집에 지나치게 돈을 쓰면 어리석은 짓인 줄 깨닫는다

→ 집에 지나치게 돈을 쓰면 어리석다고 깨닫는다

18쪽


영법을 바꿔가며 레일을 왕복하다가

→ 헤엄길을 바꿔가며 줄을 오가다가

24쪽


레일 맞은편에서 건장한 남자가 접영으로 오고 있다. 반대 방향에서 개구리처럼 평영으로 가던 내 팔다리를 마구 치고

→ 줄 맞은쪽에서 듬직한 사내가 나비헤엄으로 온다. 건너쪽에서 개구리헤엄으로 가던 내 팔다리를 마구 치고

24쪽


내 눈에서 이글거리는 분노 레이저가 그의 머리를 조준한다. 발사!

→ 내 눈은 이글거리며 그이 머리를 겨냥한다. 쏴!

→ 이글거리는 눈으로 그 사람 머리를 겨누고 쏜다!

2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