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8년 이야기입니다

.

.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불굿싸움 (2018.12.8.)

― 순천 〈골목책방 서성이다〉



  어릴 적부터 이 땅에서 마주하는 낯설고 새로운 모두가 궁금해서, 쉬잖고 둘레 어른이나 동무나 언니한테 물었습니다. “철은 뭐예요? 겨울은 왜 겨울이에요? 이 나무는 이름이 뭐예요? 나무에 앉아 노래하는 새는 이름이 뭐예요? 저 구름은 뭐라고 해요? 이 꽃은 먹어도 돼요? 왜 쉬운말을 안 쓰고 어렵게 말해요?” 같은.


  곰곰이 돌아보면, 우리 어머니를 빼고 거의 모두라 할 사람들이 대꾸를 안 했고, 꿀밤을 먹였습니다. 박정희는 스러졌지만 전두환이 서슬퍼렇던 무렵이라, 나이든 사람은 나어린 사람을 쉽게 때린 지난날이에요. 이를테면 마흔 살짜리는 서른 살짜리를 때리고서 돈을 뺏습니다. 서른 살짜리는 스무 살짜리를 때리고서 돈을 뺏습니다. 스무 살짜리나 대학생은 고등학생을 때리고서 돈을 뺏는데, 고 3·고 2·고 1로 또 벌어지고, 중 3·중 2·중 1뿐 아니라, 국 6부터 국 2까지 때리고서 돈을 뺏는 얼개였어요. 국 1은 예닐곱 살 아이를 때리고서 돈을 뺏더군요.


  이 바보스런 나라 한복판을 지켜보다가 열네 살 무렵부터 맞서기로 했습니다. 열세 살 봄부터 열네 살 봄까지 싸움솜씨를 익혔어요. 저는 으레 얻어맞고 돈을 빼앗긴 채 울면서 집에 들어왔는데, 우리 언니가 이 여린 동생을 보다 못해서 1988년 봄에 ‘특전무술 도장’에 억지로 집어넣었어요.


  그때에 싸움솜씨를 익혔지만, 여태 몸싸움을 한 일은 없습니다. 몸싸움을 할 뜻으로 싸움솜씨를 익히지 않았거든요. 그렇다고 내 몸을 지키려고 익히지도 않았습니다. 중 2 때부터 고 3에 이르기까지, 또 싸움판(군대)을 거치는 동안에도, 나이로 동생이나 또래를 억누르는 얼뜬 바보 앞에 서서 “그딴 바보짓 그만해! 넌 스스로 안 창피하냐?” 하고 따졌습니다. 그때에 주먹무리는 갖은 막말로 “니가 뭔데?” 하고 으르렁댔고, 저는 똑같이 “넌 뭔데? 넌 뭐길래 쟤 돈을 뺏으려고 해?” 하고 가로막았어요.


  겨울이 깊어가는 섣달에 순천으로 시외버스를 달립니다. 〈골목책방 서성이다〉에 들러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을 건넵니다. 오늘날 이 나라는 온통 싸움불굿입니다. 아이들은 배움불굿이고, 어른들은 서울불굿입니다. 서울을 즐겁게 떠나서 시골살림을 짓는 길로 거듭날 이웃은 어디 있을까요? 부릉부릉 쇳덩이는 그만 몰고서, 사뿐히 마당을 거닐고 풀꽃나무를 품는 이웃은 어디 있나요?


  겨울이기에 봄을 그립니다. 새봄빛을 꽃노래로 누리는 하루이기를 바랍니다. 겹겹 품고 돌보는 겨울이니, 빛나는 그림으로 겨울을 녹여 봄이 오는 이야기를 펴는 꿈씨앗을 헤아립니다. 쇳덩이에서 내려야 비로소 둘레를 알고 책을 읽습니다.


ㅅㄴㄹ


《제주의 3년 이하 이주민의 가게들: 원했던 삶의 방식을 일궜는가?》(편집부, 브로드컬리, 2018)

《내가 나눠줄게 함께하자》(일리아 그린/임제다 옮김, 책속물고기, 2013)

《통통공은 어디에 쓰는 거예요?》(필리포스 만딜라리스(글)·엘레니 트삼브라(그림)/정영수 옮김, 책속물고기, 2015)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이반 일리치/허택 옮김, 느린걸음, 2014)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년 이야기입니다

.

.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책숲마실 (2020.9.5.)

― 전남 순천 〈도그책방〉



  새로 여민 책을 들고서 순천마실을 갑니다. 어릴 적부터 ‘책숲마실’을 해왔고, 이 삶을 고스란히 《책숲마실》이라는 이름으로 담았습니다. 책을 사고파는 곳도 숲이고, 책을 빌려서 읽는 데도 숲입니다. 마음에 드는 책이 있다면, 마음에 안 드는 책이 있을 텐데, 뭇책이 어우러지기에 책숲입니다.


  사람은 숲을 품고서 살아가기에 사람답습니다. 숲을 품지 않고서 살아간다면 사람빛을 잊다가 잃습니다. 몸짓에 마음이 드러나고, 말씨에 마음이 나타납니다. 글줄에 마음이 퍼지고, 눈망울에 마음이 흘러요.


  책이 태어나려면 먼저 삶을 일굴 노릇입니다. 스스로 그려서 일구는 삶이 있기에, 이 삶을 누리는 하루를 마음에 담습니다. 삶을 마음에 담으니 날마다 천천히 가꾸고 돌봐요. 가만히 자라나는 마음에서 말이 피어납니다. 삶이 있기에 마음에서 말이 샘솟고, 삶이 없으면 마음에서 아무런 말이 안 나옵니다.


  고흥 시골집부터 순천책집을 오가는 길은 서울 오가는 길 못지않게 품과 돈이 듭니다. 시골에서 살며 이 대목을 또렷이 느낍니다. 서울에서야 인천이나 연천이나 남양주나 안산쯤 가볍게 오갈 만하고, 천안까지도 슥 다녀온다지요. 그러나 시골에서는 이웃 고장을 다녀오는 길이 드물고 비싸고 까다롭습니다.


  요즈막은 웬만한 사람들 누구나 부릉부릉 몰기에, 여느길(대중교통)이 어떤지 모르는 분이 수두룩하더군요. 걷지 않는 사람은 이웃을 안 사귀거나 겉치레로 사귑니다. 두바퀴로 느긋느긋 오가지 않는 사람은 동무를 모르거나 겉훑기로 스칩니다.


  〈도그책방〉에 《책숲마실》을 한 자락 드립니다. 시골버스랑 시외버스에서 새로 쓴 노래꽃도 드립니다. 버스로 오래오래 돌고도는 길에 아이를 토닥이고 도시락을 챙겨 줍니다. 이러고서 생각을 추슬러 붓을 쥡니다. 움직이는 길에 책을 두어 자락 읽고, 글도 몇 자락 씁니다. 돌아오는 길에는 책을 너덧 자락 읽고, 잠든 아이를 어깨에 기대라 하고 토닥이고는, 글을 몇 자락 천천히 여밉니다.


  모든 책은 처음 태어난 무렵에 어떤 삶이었는가 하는 이야기를 담습니다. 다 다른 삶을 다 다른 눈으로 읽고서, 다시 다른 눈으로 풀어냅니다. 어제하고 오늘을 잇는 실마리가 말 한 마디이면서 책 하나입니다. 여러 갈래 삶을 여러 눈망울로 돌아보기에 여러 목소리를 나누면서 깊고 넓게 마음을 북돋울 만합니다.


  갓 태어난 책조차 며칠 지나면 “묵은 책”입니다. 새책도 하루 뒤에는 이미 ‘헌책’입니다. ‘헌’이 ‘허허·하늘’하고 맞닿은 줄 알아채는 분은 얼마나 있을는지요. ‘새책’이란 ‘사잇책’이고, ‘헌책’이란 ‘하늘책’입니다.


ㅅㄴㄹ


《꽃밥》(정현숙 글·김동성 그림, 논장, 2020)

《이 세상 최고의 딸기》(하야시 기린 글·소노 나오코 그림/고향옥 옮김, 길벗스쿨, 2019)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하늘이란 하나인 마음 (2023.5.19.)

― 부산 〈비온후〉



  마을책집 〈카프카의 밤〉부터 〈비온후〉까지 걸어갑니다. 마을을 알려면 마을에 깃들어서 하루를 누리고, 해를 보내고, 철을 돌아보면 됩니다. 마을을 사랑하려면 보금자리에 나무를 심고서 새를 부르고 풀벌레랑 동무하면 됩니다. 마을을 가꾸려면 아이를 낳거나 품어서 아이한테 슬기로이 살림짓는 하루를 물려주면 돼요.


  빨리 읽거나 많이 읽을 책이 아닌, 그저 읽고 새기면서 익히고 나눌 적에 아름다운 책입니다. 빨리 걷거나 많이 다닐 길이 아닌, 그저 하늘을 보면서 걷고 나무를 헤아리며 노래하다가 풀빛으로 물들기에 즐거운 길입니다.


  하늘이 왜 ‘하늘’이란 이름인지 어릴 적부터 열일곱 살 무렵까지 어림조차 못 했습니다. 옛말을 처음 배우던 무렵 ‘한울’을 들었으나 이뿐이에요. ‘한’이나 ‘울’이 어떤 숨결을 품는지 짚거나 밝히거나 알려주는 어른을 못 봤습니다. 혼자 책집마실을 다니다가 해묵은 《뿌리깊은 나무》를 하나씩 장만해서 읽던 어느 날, 한창기 님이 남긴 글에 “우리나라 이름은 ‘한국’이 아닌 ‘한나라’여야 옳다”는 대목이 있더군요. 1980년에 이런 목소리를 낸 분이 있어 놀랐고, 우리는 막상 우리말부터 하나도 안 배우거나 엉터리로 흘려넘기는 줄 알아차렸습니다.


  배움불굿이 말썽이고 아이들을 잡아먹는다고 하지만, 막상 큰책집에서는 곁배움책이 ‘잘 팔립’니다. 마음을 가꾸거나 살림을 익히는 길하고는 동떨어진 우리나라 배움터입니다. 어린이나 푸름이 스스로 책집마실이나 책숲마실을 거의 못 하거나 안 합니다.


  사람은 살아남으려고 밥을 먹지 않아요. 삶을 짓고 살림을 펴면서 사랑을 나누려고 즐겁게 밥을 차려서 먹습니다. 솜씨나 재주를 키우려고 책을 읽는다면, 오히려 틀에 갇힙니다. 삶을 노래하고 살림을 가꾸고 사랑을 그리는 마음밭을 누리는 길에 이바지하는 책을 쓰고 읽을 적에 아름다워요.


  하나인 마음을 아우르는 하늘처럼, 하늘빛으로 물드는 말 한 마디를 씨앗으로 여미기에 눈길을 틔운다고 느낍니다. 작은책집이란 작은씨앗 같습니다. 아직 잘 안 팔리는 책도 작은씨앗을 닮습니다. 작은씨 한 톨이 깃들어 들꽃이 피고 나무가 자라고 숲이 푸르게 우거집니다.


  빗방울 하나는 크기를 따질 수 없이 조그맣지요. 〈비온후〉에서 펴는 말빛수다 한 자리란, 두런두런 나누는 말 한 자락에 서로 주고받는 마음씨앗이라고 여겨요. ‘둘레’는 ‘두르다’와 ‘두루’가 바탕인 낱말이고, ‘두레’도 말밑이 같답니다. ‘둘’과 ‘두다’하고 나란한 결이고요. 둥글게 하나로 동무입니다.


ㅅㄴㄹ


《고양이 안전사고 예방 안내서》(네코넷코 편집부/전화영 옮김, 책공장더불어, 2023.5.13.)

《수원을 걷는 건, 화성을 걷는 것이다》(김남일, 난다, 2018.9.19.)

《재즈, 끝나지 않는 물음》(남예지, 갈마바람, 2022.4.25.)

《부산 문화 지리지》(김은영과 여덟 사람, 비온후, 2023.3.3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어울림길 (2023.5.19.)

― 부산 〈카프카의 밤〉



  수영나루부터 마을길을 걷습니다. 곳곳에 “칼 쥐고 돌을 내리찍으며 왜놈을 때려잡는 사람” 모습을 세웠군요. 놀랐습니다. 무슨 마음일는지, 아이들이 뭘 배우라는 셈인지, 도무지 어른스럽지 않은 짓을 목돈 들여 구경거리로 박은 셈입니다.

  봄볕을 누리면서 골목집 꽃찔레를 바라보다가, 제비가 휙 옆머리를 스치며 날아가는 꽁무니를 좇습니다. 부산에도 제비가 돌아오는군요. 이 고장 제비는 어디에 둥지를 틀었을는지 궁금합니다.


  마을길이 끝나면 큰길이고, 쇳덩이가 끝없이 부릉거립니다. 어느덧 다시 마을길로 접어들면 어린이랑 푸름이가 깔깔대며 수다를 떠는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부릉부릉 치달리는 손에는 책이나 붓을 쥘 틈이 없고, 호미나 낫을 잡을 겨를이 없습니다. 발바닥으로 땅바닥을 디디며 걸을 적에 비로소 책도 호미도 손으로 쥐면서 살림을 가꾼다고 느껴요.


  이제 〈카프카의 밤〉 앞에 이릅니다. 연산책숲 맞은켠에 깃든 마을책집에는 봄볕도 봄빛도 봄햇살도 물씬 스밉니다. 비오는 날에는 빗소리에 비빛을 품는 책집이자 마을길니다. 눈오는 날에는 눈빛에 눈바람을 담는 책집이고 골목입니다.


  여태까지 살며 아무도 안 믿습니다. 따로 믿음을 안 세웁니다. ‘믿다 = 밀다’인 말밑입니다. 믿음을 품으면 덮어놓고 밀거나 밀어붙이게 마련입니다. 믿음에 스스로 가두면, 우리 쪽이 아니면 ‘밉다’라는 씨앗을 뿌리고 말아요.


  이와 달리 ‘밑’을 볼 수 있다면, 밑바닥으로 스스로 깃들어 천천히 다스리고 다집니다. 밑바탕을 닦기에 기둥을 세우고 지붕을 올려 보금자리를 짓습니다. 말밑을 다독이기에 말빛을 펼 수 있어요. 말밑이 아닌 ‘믿음길’로 치달으면 아무 말이나 퍼뜨리면서 밉말에 싸움말로 쳇바퀴입니다.


  작은책집이란, 크지 않은 책집입니다. 크지 않은 책집이란, 느긋이 머무는 책뜰입니다. 느긋이 머물 적에는 눈길을 틔워 온갖 책을 고루 품을 만합니다. 온갖 책을 고루 품을 적에는, 이쪽이냐 저쪽이냐가 아닌 우리가 저마다 다르게 밑동을 가꾸어 줄기를 올리며 가지를 뻗는 나무로 서는 길을 연다고 느껴요.


  누구를 밀거나 뽑아야 하지 않아요. 서로 마음을 바라보고 밑싹을 돌볼 적에 아름답습니다. 누가 어느 자리를 맡더라도 대수롭지 않습니다. 온누리를 푸른숲으로 바라보면서 스스로 살림길을 짓는 사랑꽃을 피울 줄 알아야지 싶어요. 우리는 서로 숨빛을 보고, ‘어린씨(어린이)’하고 ‘푸른씨(푸름이)’를 사랑하고 어깨동무하는 참한 어른으로 오늘 이곳에 설 줄 알면 넉넉하다고 느낍니다.


ㅅㄴㄹ


《진실된 이야기》(소피 칼/심은진 옮김, 마음산책, 2007.1.25.)

《제주도는 가고 싶고 운전은 못 하고》(시와 글·그림, 시와, 2023.3.31.)

《말하기를 말하기》(김하나, 콜라주, 2020.6.30.)

《커피마시기》(홀프 디터 브링크만/이유선 옮김, 파란꽃, 2020.10.24.)

《독일문화의 이해》(이유선, 파란꽃, 2020.5.29.)

《뿌리주의자》(김수우, 창비, 2021.11.12.)

《동네 걷기 동네 계획》(박소현·최이명·서한림, 공간서가, 2015.12.28.첫/2020.8.25.3벌)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보이지 않는 (2023.4.25.)

― 인천 〈나비날다〉



  긁히고 터지고 부러지더라도, 들뜨거나 서두르거나 두려워하지 않고서, 가만히 생채기를 바라보면, 어느새 아물면서 한결 반짝이는 살이 새로 돋아나요. 일하고 움직이며 살아갈 적에 배가 고플 수 있는데, 배고파서 또 먹어야 하는구나 싶어 두렵다고 여긴다든지, 숨을 쉬면 뱉어야 하니 귀찮거나 두렵다고 여긴다면, 삶이란 없겠지요. 다친 모든 곳은 아물 수 있어요. 아물려면 스스로 마음을 사랑으로 다스리면 넉넉하지요. 남을 쳐다보지 말고 나를 늘 사랑으로 바라보면, 다쳐도 아물 뿐 아니라 다칠 일부터 사라진다고 느낍니다.


  보이는 곳에서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한결같이 햇살도 별빛도 스며듭니다. 보이는 자리에서도, 안 보이는 자리에서도, 언제나 꽃이 피고 나비가 날아요.


  어느새 어둡습니다. 저녁 19시부터 이은 ‘우리말 밑뜻 읽기’ 이야기는 21시를 훌쩍 넘어서 마칩니다. 긴긴 하루를 보내었으니 일찍 쉬어야지요. 며칠 뒤 4월 29일에는 《하루거리》를 그린 김휘훈 님이 꽃잔치를 하기에 다시 부천 언저리로 마실을 합니다. 이달 4월은 길에서 신나게 보내는구나 하고 돌아보면서 〈나비날다〉에서 숨을 돌립니다. 시골은 22시가 가까우면 서늘하지만, 인천은 22시가 가까워도 살짝 덥습니다. 푸나무가 얼마나 있느냐로 다릅니다.


  요사이 어린이를 보면, 배움터에서 배움책만 들여다보지 않습니다. 적잖은 어른들이 어린배움터를 찾아가서 여러모로 이야기꽃을 들려줍니다. 다만, 배움틀(제도권 교육)에서는 이런 자리가 있으나, 집에서 스스로 익히는 어린이한테 널리 이야기꽃을 들려주는 어른은 드뭅니다.


  더 들여다보면, 어린배움터는 여러 이야기를 들을 틈이 있되, 푸른배움터는 싹 닫아걸어요. 어린이가 푸름이를 지나 스무 살에 이르면, 이제 일자리를 찾아나서느라 바쁘고, 일자리를 찾으면 돈벌이뿐 아니라 집찾기로 빠듯하니, 스스로 살림길을 새로 배울 겨를이 없기 일쑤입니다.


  앞으로는 서른 살이며 쉰 살 어른들이 배울 이야기꽃이 늘어야지 싶어요. 일흔 살에도 우리말과 풀꽃나무와 골목빛을 새롭게 배우는 자리를 열어야지 싶어요. 눈으로 보는 길만 조금 배우면 얕습니다. 마음으로 보는 숲을 차근차근 넓고 깊게 바라보고 품는 살림길로 나아갈 적에 비로소 어른답다고 느껴요.


  어린이책은 어린이부터 어른이 함께 읽을 책입니다. 그림책은 아기부터 어버이 누구나 나란히 읽을 책입니다. 스무 살만 넘어도 어린이책을 등지는 분이 많은데, 오히려 스무 살부터 어린이책을 읽고, 서른 살부터 그림책을 읽어야지 싶습니다.


ㅅㄴㄹ


《지구를 항해하는 초록배에 탑니다》(김연식, 문학수첩, 2021.7.16.첫/2021.12.31.2벌)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