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투 친구의 주식이 오르면 무조건 따라서 산다. 그 친구만 부자가 되는 걸 볼 수는 없다.

오만 투자에 있어서 나보다 잘난 사람은 없다. 따라서 누구의 조언도 듣지 않는다.

욕정 한번 오른 주식은 영원히 사랑한다. 설혹 그 주식이 재생불가 상태가 된다 해도

탐욕 인생은 한 방이다. 나는 적어도 3배는 오를 것 같은 주식에만 투자한다.

분노 내 돈을 날려버린 언론, 시장, CEO, 펀드매니저에게 복수하고 말 테다!

대식 쉬지 않고 끊임없이 주식을 사고판다. 그것만이 나의 에너지이고 돈을 버는 방법이다.

게으름 내 돈 관리는 전문가에게 맡기는 게 좋다. 나는 그것 말고도 할 일이 너무나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승자는 문제 속으로 뛰어들고, 패자는 문제의 주변을 맴돈다. 승자는 눈 쌓인 벌판을 밟아 길을 만들고,  패자는 쌓인 눈이 녹기만을 기다린다. 
승자의 주머니 속에는 꿈이있고, 패자의 주머니 속에는 욕심이 있다. 
승자는 등수나 포상과는 상관없이 달리나,
패자는 포상만 바라보고 달린다. 
승자는 달리는 도중에 이미 행복감에 젖어 있으나,
패자는 경주가 끝나도 행복감을 느끼지 못한다.
《아들아, 인생의 큰 그림을 그려라》 중에서 - P94

"나는 세 개의 감사한 조건을 가지고 생을 살아왔습니다. 
첫째는 열한살에 부모를 여의었습니다. 그래서 남보다 일찍 철이 들 수 있었습니다.
둘째는 초등학교 4학년이 내 학력의 전부였습니다. 그래서 평생 공부할수 있는 행운이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나는 어려서부터 몸이 약했습니다. 그래서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여 이렇게 건강할 수 있는 행운이 있었습니다."
남들이라면 ‘그래서 난 성공할 수 없어.‘ 라고 생각할 만한 악조건을행운이었다고 말하는 고노스케 회장, 그에게는 강렬한 열망이 있었고,
그 열망이 세계적인 기업가이자 부자의 반열에 오르게 하는 원동력이된 것이다. - P1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60년 로마올림픽 복싱 라이트헤비급 금메달리스트, 무하마드 알리, 어느 날 흑인이라는 이유로 식당에서 쫓겨난 알리는 그 길로 금메달을 강물에 던져버린다. 인간으로서 존중받지 못하는 한 영광은 아무 쓸모가 없다." 라는 말을 남기고 말이다.
알리의 이런 까칠한 자존심이 마음에 든다. 1964년 WBC 헤비급 챔피언을 거머쥐면서 그는 백인 주인의 성과 노예의 이름을 강물에 던져버렸다. 또한 1967년 베트남전 징집명령 거부에 따른 3년간 출전금지와 챔피언 타이틀 및 권투선수 자격을 박탈당했을 때, "나는 당신들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챔피언이 되겠다. 베트콩은 우리를 검둥이라고 욕하지 않는다. 베트콩과 싸우느니 흑인을 억압하는 세상과 싸우겠다."라고 표명했다. - P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러/원 환율은 1달러에 대한 원화의 교환 비율이다. 
이제 환율이 1,100원에서 1,200원이 되었다면?
달러는 원화에 대해 어떻게 변한 것인가? 그렇다. 달러가 기준이니, 환율이 상승하면 ‘달러 강세다.

반대로 
유로/달러 환율이 기존 1.40에서 1.20으로 하락했다
면,유로화는 강세인가 약세인가? 마찬가지로 기준이 되는 통화가 앞에 오니, 환율의 하락은 유로화의 약세를 의미한다. 
이런 식으로 기준이 되는 통화는 앞자리에 온다는 것만 기억하면, 환율의 변동에서 즉각 통화 가치의 하락과 상승을 유추할수 있다.
- P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이야기는 영국 소설가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의 소설 『크리스마스 캐럴(A Christmas Carol)』(1843)이 원작이다. 디킨스는 이 작품을 통해 자본주의 초창기 영국 자본가들의 탐욕을 비웃고 인간답게사는 방법을 이야기하고자 했다. 이 이야기의 스크루지처럼 돈을 어떻게 쓸 것인가의 문제는 문학과 소설의 영역이기도 하고, 세상을 살아가는 가치관이 담겨 있는 것이므로 철학의 문제이기도 하고, 또 이웃과 내 재산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관한 사회학과 윤리학의 문제이기도 하다.
당연히 돈을 불리기보다 그렇게 불린 돈을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그것은 지금의 내가 이야기할 수 있는 영역은 아니다.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문학과 철학과 사회학과 윤리학을 아우르는, 돈을 어떻게 쓸 것인가‘라는 책을 한참 후에라도 쓸 수 있게되기를 소망한다.
- P2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