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51 | 25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구제역으로 매몰 처리된 동물들의 침출수가 지하로 스며드느니, 하천으로 흘러드느니 지금 말들이 많다. 수백만 마리의 동물들이 병에 걸렸거나, 걸릴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죽음이라는 처분을 받았는데, 죽음마저도 존엄하지 않고 이런 일이 생기고 있으니.  

마음이 무겁다. 결국 부메랑이 되어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으니. 

자식 같은 소, 돼지들을 매몰처분한 농부들의 울음소리도 그치지 않았는데... 

공장식 축산의 문제라고 하지만, 피해를 본 농민들은 이렇듯 공장식 축산을 한 사람들도 아닌데. 

세계화된 축산의 문제도 있지만, 육식이 보편화된 세상에서 조금이라도 상품이 되게 하려는, 상품이 아니면 가치가 없다는 생각이 구제역 대처를 제대로 못 하게 하지 않았을까 싶다. 

우리도 조금 줄여야지. 너무 육식으로 가는 건, 우리에게도, 농민들에게도, 그리고 동물들에게도 안 좋을테니. 베스킨 라빈스 사장의 아들로 그 자리를 포기한 사람이 육식에 대해 쓴 이 책, 쉽고도 명쾌하게 읽힌다. 요즘 같은 때 한 번 읽어보면 좋은 책이다. 더불어 다음에 나오는 리프킨의 육식의 종말과 싱어의 동물 해방, 그리고 직접 축산업자였다가 육식을 포기한 사람의 이야기인 성난 카우보이까지. 

육식을 거부하고 채식만 하라는 건 너무 극단으로 나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래도 지나친 육식은 삼가해야 하지 않을까. 최소한 20대 80으로 육식 대 채식의 비율을 유지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그게 우리도 살고, 농민도 살고, 동물도 살고, 결국 지구가 사는 길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10-13 1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오늘 한겨레 신문에 난 기사. 

강만수 "4대강은 치수사업 아닌 레저사업"  

어제 한겨레 신문에 난 기사. 

'4대강 밀어붙이기' 법원서 첫 제동 

최소한 양평 두물머리에서 유기농 농업을 해오던 농민들이 2012년까지는 농사를 지을 수 있을 듯이라고 한다. 

멀쩡한 강을 파헤쳐서 죽음의 강으로 만드는 사업, 그걸 강살리기라고 하는 사람들. 스스로 인정하고 있다. 강을 살리는 게 목적이 아니라 토목을 살리고, 있는 사람들, 더 있게 하려고 한다고. 

이책은 4대강에 대한 진실이 잘 드러나 있다. 너무도 명백하게 드러나서 언론에서 말하는 4대강 살리기가 얼마나 허구인지 쉽게 알 수 있다.  

가만히 놔두면 잘 살 강을 파헤치고, 콘크리트로 막고, 강 주변의 유기농 단지를 메꾸고, 레저시설을 만드는 행위, 이건 죄악을 넘어 자살행위다. 자연은 결코 가만히 있지 않는다. 명심하자. 인간이 살 길은 자연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연은 자연답게 놓아둘 때 생긴다는 것을. 

안도현의 연어에서 말하듯 우리는 낚싯대를 든 인간이 아니라, 카메라를 든 인간이 되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 읽으면서 얼마나 마음이 아팠는지.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권리를 찾기 위해 얼마나 힘들게 지냈는지 너무도 잘 나와 있어서. 

가끔은 자신의 권리를 찾은 이야기도 있지만, 주로 권리를 찾지 못해 지금도 찾으려고 노력하고 있거나, 다른 일을 하는 노동자들. 

오늘 신문에 보니 한진중공업에서 170여 명의 노동자를 정리해고 했단다. 말이 170여 명이지, 이들과 함께 생활하는 가족들을 3명이라고 하면 최소한 600여 명의 밥이 사라지는 거다. 단 한 순간, 당신은 해고야 라는 말로. 

이들이 어디 가서 쉽게 일자리를 구하겠는가. 누가 이토록 쉽게 남들의 밥을 빼앗을 권리를 주었는가. 이건 사회적 책이이다. 누군가가 피눈물을 흘리고 있는데, 어떻게 사회가 즐거울 수 있겠는가?  

이들에게는 지금 밥을 투쟁이 벌어지고 있다. 생활이 아니라, 생존 투쟁이다. 우리는 밥만으로는 살 수 없는데, 가끔은 장미도 필요한데. 

장미는 고사하고 밥마저도 빼앗아가는 이 현실, 부끄럽다. 그리고 힘들다. 최소한의 노동권, 사회권, 생활권을 확보하도록 해야 하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이 들끓고 있어. 

최근엔 이집트에서 독재정권이 무너졌지. 이집트 전에 이미 다른 나라들에서도 민주화 운동이 거세게 일어났고. 

99도까지 견디던 민중들이 한 순간 끓어올라 세상을 바꾸고 있지. 

역사는 단절되지 않고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유럽에서는 1968혁명을 통해, 우리나라는 4.19, 80, 87년을 통해, 그리고 다른 나라들에서도 이와 비슷한 일들이 계속 일어나고 있지. 

최규석, 좋은 작가야. 그의 작품은 소장가치가 있어. 

그가 그린 이 만화, 단지 우리나라만을 이야기할까? 그리고 단지 이 만화 과거만을 의미할까?  

우리는 한 번 100도를 겪었는데, 늘 100도일 수는 없잖아. 많이 식었는데... 

다시 끓어오르고 있지 않을까.  책 표지를 봐. 지금은 99도래. 타산지석(他山之石)이란 말을 모르면, 지금 세계에서 일어나는 민주화 운동이 꼭 남 나라 얘기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거야 실실 웃으면서 상대방을 놀리는 거지. 

그런데 그 웃음이 비꼼도 아니고, 자조적이지도 않고, 약한 사람들을 위해 강한 사람들을 웃음거리도 만드는 것이니. 

약자가 강자를 코너로 몰아넣고 강자의 위선을 만천하에 드러낼 때 나타나는 웃음. 그 웃음으로 세상을 위악을 드러내고자 하는 행위. 이름하여 명의 보정. 제 이름, 제 정체성 찾아주기. 

다른 말로 하면 네 칼로 너를 치리라. 

하여튼 상쾌하다. 

이러한 정체성 찾아주기, 또는 올바른 이름 찾아주기는 세계 어느 나라나 가능하지만, 가끔은 법적인 조치를 당한다는 부작용도 있지만. 마치 G20포스터에 쥐를 그려넣었다가 기소당할 뻔한 누구처럼. 

비정규직 보호법, 4대강 살리기, 한국자유총연맹,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모임 등 정체성이 헷갈리는 단체가 꽤 있다고 생각하는데, 예스맨 프로젝트, 아직 실행이 안 되었지 우리나라에서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51 | 25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