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다함이 없다'
주어진 사명의 끝은 죽음이다. 하지만, 이 죽음은 끝이 아니라 다음 생을 예비한다. 싹을 틔우고 꽃을 피워 열매 맺고 나면 그 열매는 자신의 사명을 위해 기꺼이 온 몸을 바친다. 열매를 위해 수고로움을 마다하지 않았던 새싹과 꽃이 그랬듯이 언제나 묵묵히 받아들인다.

하루를 다 내어주고도 아쉬움 남아 붉디붉은 노을로 타오르는 태양처럼 가슴에 품은 사람에게 내어준 마음도 다르지 않다. 

無盡무진, 
늘 아쉽고 또 아쉬운게 그대를 향한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다린다는 것'
막연함이 아니라 확신이다. 믿음에 기초한다는 말이다. 다소 시간이 걸리고 먼 길 돌아오게 되더라도 꼭 온다는 믿음으로 그 수고로움을 기꺼이 감수한다. 이때의 기다림은 고통이 아니라 오히려 기쁨의 다짐이다.


이 확고한 믿음 없이 꽃은 어찌 그 긴 시간을 견디며 민들레는 홑씨를 어찌 바람에 그 운명을 맞기겠는가?


이러한 믿음은 의지의 산물이라기 보다는 심장 박동이 가르쳐준 본래의 마음자리에 근거한다. 머리의 해석보다 더 근본자리인 가슴의 울림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대와 나 역시 이와 다르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빛에 기대어'
숲 속 모든 생명은 빛바라기를 한다. 다른 생명들의 잎과 가지 등이 만들어내는 가림막을 뚫고 들어오는 빛에 기대어 산다. 조금 더 많이 조금 더 빨리 빛에 기대기 위해 잎을 내고 키를 키우며 꽃을 피우는 등 필사적으로 애를 쓴다. 숲 속 평온은 이런 보이지 않은 빛에 대한 생명들의 간절한 열망의 산물이다.


사람이라고 다를까? 설렘. 온기, 평온, 위안, 희망ᆢ 등을 전해 주는 대상을 향해 주파수를 맞춰두고 시시때때로 대상의 기운을 감지하여 자신의 감정을 조절한다. 이렇게 대상에 의지해 자신의 감정 조절에 익숙해지는 것을 관계의 성숙이라 부르기도 한다.


시시때때로 저 산 너머 기운을 살피는 나 역시 이와 다르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연 짓다'
염두에 두지않았음에도 마음이 앞서며 발을 이끈다. 어디로 어느만큼 가야하는지도 모른다. 그렇게 가다보면 저절로 발걸음이 멈추는 곳에 반가운 만남이 있다. 오랜시간을 두고 준비해온 마음이 비로소 만남을 이뤄낸 것이다.

숲과 들에서 특별히 마음에 담아두었던 꽃을 만나는 과정이 이와같다. 무엇을 보자고 작정하고 나선 길에서 만나는 것보다 이렇게 자연스러운 이끌림의 과정에서의 만남이 깊은 인연을 맺어준다.

수많은 들꽃 중에서도 마음에 쏙 들어오는 꽃과의 만남은 이처럼 자연스럽게 경건한 의식을 치르는 것과 같다.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그대를 만나는 것도 오랜시간 마음이 준비한 뜻이다. 

돌아보면 그대와 만남도 이와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곁을 주다'
꽃은 꿀을 얻기 위해 찾아오는 벌과 나비를 기꺼이 반길 것이다. 다소 귀찮고 번잡스러움을 견디고 때론 상처를 내기도 하는 이 방문을 받아들여야 비로소 꽃의 사명에 이를 수 있다.


곁을 준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수고로움을 기꺼이 안고 자신을 내어주는 것이다. 이 수고로움은 상대가 때론 서운하여 아프고 힘들게하더라도 이는 곁을 내어주는 자의 사명이다. 곁을 더 많이 내어주는 자의 몫은 더 많은 수고로움을 감당하는 일이다.


이 사명이 있기에 그대를 곁에 두고 마음껏 그리워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