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런데 언어 마술사 같은 내 동행자는 대단한 재능으로 단단하게 지어진 하나의 건축물을 내게 보여주는 듯했다. 그 건축물은 그 자체로 규정되어 솟아오르는 듯이 보였고, 어떤 내적 필연성으로 존속하는 것처럼 보였다. 다만 내가 그 안에서 찾고 싶었던 것이 그 건축물 안에는 결여되어 있기에 아쉬웠고, 그저 단지 하나의 단순한 예술 작품처럼 느껴졌다. 그럴듯한 완결과 완성을 지닌 예술 작품이 흔히 사람들의 눈을 황홀하게 만들듯이 말이다. 어쨌든 나는 유창하게 떠드는 그 남자의 말을 기꺼이 경청했다. 그는 나로 하여금 자신에게 몰두하도록 했고, 그 덕분에 나는 고통을 잊을 수 있었다. 그가 내 정신과 주의력을 요구했더라도 나는 기꺼이 그를 받아들였을 것이다.
-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그림자를 판 사나이」, 101쪽.

언젠가 악마가 내게 이렇게 말했다. “신에게도 지옥이 있으니, 인간에 대한 신의 사랑이 그것이다.”
또 최근에 나는 악마가 이렇게 말하는 것을 들었다. “신은 죽었다. 인간에 대한 동정 때문에 신은 죽었다.”
그러므로 동정하지 않도록 조심하라. 그곳으로부터 인간들에게 짙은 먹구름이 몰려온다! 참으로 나는 뇌우의 징조를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다음의 말도 명심하라. 모든 위대한 사랑은 모든 동정을 넘어 선다. 위대한 사랑은 사랑의 대상조차도 창조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 프리드리히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55쪽.

완독회
이병률
(상략)
찬 소주를 앞에 놓고 대개의 우리가 반복하는 일이란
소매를 접고 접어도 별반 뒤집어지지 않는 질문 같은
것일지도
시 한 편씩을 돌아가며 읽는 낭독회를 마쳤지만 그래봤자
매번 그것으로 어제의 기분을 누르며 살려는 것
모두가 밤을 헤엄치는 기분에 빠져 있다
나만 혼자 바람 속을 달리고 있는 기분이 드는 것은
그곳으로부터 모두를 꺼내야겠다는 마음을 조금 섞고
싶어서겠다
- 이병률,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 61쪽.

시기와 질투에 관한 명언 :
거지는 거지를, 시인은 시인을 시기한다.(헤시오도스)
동정보다 시기의 대상이 되는 것이 더 낫다.(헤로도토스)
바보들을 우리는 시기가 아니라 경멸한다. 시기는 일종의 칭찬이기 때문이다.(J. 게이)
번영을 누리는 친구를 질투심 없이 칭찬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아에스킬로스)
사람은 칭찬을 가장 많이 받을 때 미움도 가장 많이 받는다.(J. 드라이든)
사람의 마음에 시기심만큼 강하게 뿌리 내린 감정은 없다.(R. B. 셰리든)
시기심을 드러내 보이는 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모욕이다.(예프투셴코)
시기하는 자는 자기 화살로 자기를 죽인다.(익명)
질투는 휴일이 없다.(베이컨)
질투 속에는 사랑보다 이기심이 더 많다.(라로슈푸코)
이 중 ‘질투 속에는 사랑보다 이기심이 더 많다’는 말이 와 닿는다. 상대편을 사랑해도 자존심을 챙기는 게 보통 사람이 아니던가. 보통 사람은 자존심이 더럽혀지는 것을 참을 수 없어할 만큼 이기적이다. 우리 대부분은 보통 사람들이다. 자신의 이기심 때문에 사랑하는 사람을 놓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만약 작가가 소설에서 사회적 강자가 사회적 약자에게 폭력을 휘두르거나 폭언을 해서 고통받는 모습을 그렸다면, 그 작가는 독자들에게 이런 세상이 되어서야 하겠는가, 하고 문제 제기를 하는 것이다. 그 고통에 독자가 공감하며 함께 슬퍼할 수 있을 때 바람직한 세상이 되기 위한 어떤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타인의 고통에 관심을 갖기 시작할 때 그 고통은 그저 타인의 것만이 아니라 자기 자신과 연결되어 타인에 대한 배려로 이어질 수 있다. 타인의 고통에 무관심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