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칠판 왼편, 일터 정면...에 붙어있는
  2. [하면된다.]  급훈-사훈. 좌우명이 뭐죠? 라고 물으면 저어스럽다. 어제 저녁 동네 인근도서관에 들러 중용을 졸면서 훑어 본다. 깨어있는 사이 술술, 맞아맞아를 연발하며 책장을 넘긴다.
  3. 좌우명이 이러면 어떨까? '부드러우면서도 꿋꿋해라' '성실하면서도 공손해라' '바로잡을 줄 알면서도 공경해라' '온순하면서도 굳세라' '곧으면서도 온화해라''대범하면서도 염치가 있어라' '굳건하면서도  충실하자' '강하면서도 의로워라' - 공자의 아홉까지 덕이다.
  4. 중용에는 "지극히 충심함은 쉬는 일이 없다. 쉬지 않으면 오래가고, 오래가면 징험이 난다. 징험이 나면 멀리 번진다. 멀리 번지면 넓고 두터워진다. 넓고 두터워지면 높고 밝아진다. 넓고 두터움은 만물을  덮는 길이다...(중략 26장)" 등등으로 이어진다. 떨어진 듯 하며 하나이고, 하나 인 듯하며 전체이다.
  5. 우리의 좌우명은 왜?늘 하나이었을까? 하면되나? 서양학문이 분절적이고 분석적인 연유나, 해부에 익숙해진 우리의 교육 탓은 아닐까? 나무는 보되 늘 숲을 못 봐 헤매이고 있지 않을까?
  6. 과학적인 사고를 한답시고 가지 쳐 사라졌던 생각들을 동양 고전으로 모으고 있다. 유목적, 분열적인 사회에서, 충동을 조절 못해 허우적 거리는 우리의 일상은 좌우명도 한번 바꾸어야 되지 않을까? 종합적으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일터를 짊어지고,

자신만이 정확하게 보고 있으며,

늘 위기상황임을 조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벼랑끝으로 몰아

삶도, 여유도 없애

황폐함으로 만드는 사람이 있다.

 

일등만을 주장하기에

이등도 없고,

약육강식의  승자만 갈구하다.

 

사람도 잃고

몸도 잃고

왜 사는지도 잃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그 조직도 영원한 아류로 전락하고 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많은 모임들에 있어

곤혹스러운 것은,

들어주는 사람보다

말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많아진다는 것이다.

 

세상이 빨라져서일까?

일대일 토크,

각박함 만큼

토해내고 싶은 것이 많은 것일까?

 

그 많은 구슬을 꿰매고 싶다.

아니 그 만큼 큼직한 귀를 갖고 싶다.

 

행여, 세상은 같은 이야기를  들어줄 여유마저 없는 것은 아니겠지? 

------------------------------------------------------------ 

100112  나는 민주주의기술을 가르치고 배우고 있는가? - 나는 적극적으로 귀 기울이고, 갈등을 창조적으로 사용하며, 지속적 평가와 지도, 효과적인 근본 기술을 실천하고 가르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나는 한계가 있는 틀을 힘을 북돋아 주는 틀로 교체하고 있는가? - 나는 "부족함"의 핵심 가정을 "풍요함"이라는 가정으로 대체하는 일에 기여하고 있는가? - 나는 고정된 경제 법칙의 신념을 창의성에 대한 학신으로 대체하는 일에 기여하고 있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월평동 기장꼼장어, 카라로사 1930-2250  신,은산이네, 영하

 

1. 안주: 꼼장어(무, 양념) 술: 참이슬 4,선양1병

2. 호프집: 생맥주 500cc 3, 과일안주

3. 주요화제: 공부모임, 신-영하: 신화, 민족이란 정체성, 대청호 나들이-석호리,방아실 외,  명*형네 양주와 김경*여사님의 운동권 낯가림, 내적 성향에 대해

4. 음향: 어깨가 닿일 듯한 거리의 선술집-상쾌한 웅성거림/호프집도 30-40대의 만원

5. 맛: 달콤함, 맥주 시원함, 신-영하의 호들갑, 제수씨와 운동코드가 맞다.

6. 특이사항: 은산이 사진, 석호리 사전답사 뒤 주민모임 개최, 사전답사일정은 내가 정해 전달키로. 5km 1차장소까지 뛰어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리스마

희구하고 갈구하던

기대주의 주가가 오른다.

 

희열! 감동!

우리의 기대와 수준은

대선과 총선일뿐~

 

우리의 눈높이는 낮춰지질 않는다.

총선과 대선이전에

우리의 삶터는 일상의 개혁을 요구한다.

 

낮아지는 연습~ 반복된 연습~

끊임없는 계급적, 계층적 존재에 대한 자살~연습~

작은 담론을 만들고 익숙해지려는 끊임없는 노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