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방을 밝히는 빛



  숲은 나무와 풀이 있어 빛납니다. 숲은 나무와 풀이 나란히 있기에 빛납니다. 나무만 있는 숲은 없습니다. 풀만 있는 숲도 없습니다. 나무는 풀을 부르고, 풀은 나무를 부릅니다. 모름지기 숲이란 나무와 풀이 사이좋게 어우러지면서 사랑스럽게 빛나는 터전입니다.


  책방은 책과 사람이 있어 빛납니다. 책방은 책과 사람이 함께 있기에 빛납니다. 책만 있는 책방은 없습니다. 사람만 있는 책방도 없습니다. 책은 사람을 부르고, 사람은 책을 부릅니다. 그러니까 책방이란 책과 사람이 살가이 얼싸안으면서 사랑스럽게 빛나는 쉼터입니다.


  책빛이 알록달록합니다. 이 책은 이 책대로 밝고 저 책은 저 책대로 환합니다. 다 다른 사람들이 다 다른 곳에서 즐겁게 살아오며 일군 땀방울과 웃음과 눈물이 책마다 그득 깃듭니다. 어느 책은 노랗게 빛납니다. 어느 책은 빨갛게 빛납니다. 어느 책은 푸르고, 어느 책은 파랗습니다. 어느 책은 까맣고, 어느 책은 잿빛입니다. 까만 빛깔이라 어둡지 않습니다. 하얀 빛깔이라 밝지 않습니다. 책에 담은 이야기가 밝을 때에 밝은 책이요, 책에 실은 이야기가 어두울 때에 어두운 책입니다. 그러나, 해가 지면 어둠이요, 해가 뜨면 아침이듯, 책에 어두운 이야기가 감돈다 하더라도 이 어둠이 밝히고 싶은 빛이 있으리라 느껴요. 책에 서린 밝은 이야기가 어루만지고 싶은 어둠이 있으리라 느낍니다.


  나무가 풀을 아끼고, 책이 사람을 아낍니다. 풀이 나무를 살리고, 사람이 책을 살립니다. 서로 아름답게 길동무가 되고 삶벗이 됩니다. 나무 한 그루와 풀 한 포기가 싱그럽게 웃습니다. 책 한 권과 사람 하나 맑게 노래합니다. 4347.4.30.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4-04-30 23: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4-30 23: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책방에 있는 책



  책방에는 팔려고 하는 책을 꽂는다. 책방은 책방이지 도서관이 아니다. 그런데, 책방을 찾는 발길이 차츰 줄면서, 책방은 책방이면서 도서관 같은 꼴로 달라진다. 아름다운 책손이 즐거이 알아보며 고르기를 기다리는 책들이 하나둘 모이니, 이 책들은 어느새 새로운 ‘도서관 책빛’을 뽐낸다.


  오랜 나날을 아로새기는 책들이 차곡차곡 꽂힌 헌책방 책꽂이를 보며 생각한다. 헌책방 책꽂이를 고스란히 옮기면 도서관 책꽂이가 되지 않을까. 요즈음 책과 묵은 책이 골고루 섞인 이 책들은 도서관이 할 몫을 맡은 모습이라고 할 만하지 않나. 거꾸로, 오늘날 도서관 책꽂이는 도서관 모습이라기보다 대여점 책꽂이 모습은 아닌가. 도서관이 도서관 구실보다는 대여점 구실만 하지 않는가.


  책방마실을 할 때마다 생각한다. 마음을 사로잡는 책을 알차게 갖춘 책방은 책방이면서 도서관 같다. 아니, 도서관은 바로 이런 모습이 되어야 한다고 느낀다. 이 책도 읽고 싶도록 이끌면서 저 책도 읽고 싶도록 이끌 때에 도서관이지 싶다. 이 책에 깃든 이야기로 마음을 살찌우고 저 책에 서린 이야기로 사랑을 북돋울 수 있으면 도서관이요 책방이며 책터이자 보금자리가 될 만하다고 생각한다. 4347.4.23.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방에 있는 컴퓨터



  책을 읽는 사람은 책이 그득한 곳에 셈틀을 놓는다. 책방에서도 책이 가득 쌓인 한켠에 셈틀을 둔다. 책방에서 책은 받침대 구실을 한다. 우리 집에서도 모니터를 책을 두 권 놓아 받친다. 때때로 책은 다람쥐 받침판 노릇을 하고, 마실을 다닐 적에는 작은 노트북을 작은 책 두 권을 엇갈려서 받침대로 삼는다.


  인터넷은 얼마나 많은 지식이나 정보를 들려줄 수 있을까. 인터넷을 켜는 셈틀은 얼마나 너른 곳까지 골골샅샅 돌아다니도록 길을 열어 줄까. 책에는 어떤 지식이나 정보가 있을까. 책을 펼치는 사람은 책에서 어떤 길을 느끼거나 배우거나 깨달을까.


  셈틀을 켜는 만큼 책을 덜 읽거나 못 읽는다. 셈틀을 끄는 만큼 책을 더 읽거나 잘 읽는다. 책을 덮는 만큼 삶을 더 읽거나 잘 누린다. 책을 읽는 만큼 밭을 못 일구고 마실을 못 다닌다. 셈틀과 책과 삶은 서로 얼마나 이어졌을까. 셈틀과 책과 삶은 서로 어떻게 어깨동무를 할까. 4347.4.22.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문종이로 싼 책



  예전에는 책을 곧잘 신문종이로 쌌다. 국민학교를 다니던 1980년대를 떠올리면 나도 동무도 으레 교과서를 신문종이로 쌌다. 뒤가 하얗게 깨끗한 달력을 얻으면 달력을 뜯을 적마다 안 버리가 잘 간수했다. 학기마다 새 교과서를 받으면 맨 먼저 깨끗한 달력종이로 교과서를 쌌고, 달력종이로 모자라면 신문종이를 썼다. 때로는 공책을 신문종이로 싸기도 했다.


  곰곰이 돌아보면, 어릴 적 푸줏간에서도 으레 신문종이였다. 물고기를 파는 이들도 신문종이를 썼다. 학교에서 폐품을 내라며 다달이 신문종이를 오 킬로그램씩 모아야 했지만, 신문종이는 어느 가게에서나 집에서나 아주 알뜰하게 썼다. 내가 신문배달을 할 적에는, 우리 신문사지국에 있던 도박에 빠진 형이 신문뭉치를 몰래 한두 덩이씩 고물상에 가져가서 오천 원에 팔고는 도박을 하기도 했고, 그 형은 신문뭉치를 팔아 술값에 보태기도 했다.


  헌책방에서는 오늘날에도 신문종이를 알뜰히 건사한다. 책손한테 택배로 책을 부칠 적에 빈틈을 신문종이로 채운다. 이제 웬만한 헌책방에서도 책손한테 비닐에 책을 담아 건네지만, 몇 군데 헌책방에서는 신문종이로 알뜰살뜰 여미어 책을 싸 준다.


  신문종이로 싼 책뭉치는 얼마나 멋스러운가. 종이로 빚은 책을 종이로 싼 꾸러미는 얼마나 예쁜가. 헌책방 일꾼이 빚은 사랑스러운 책꾸러미를 한참 바라보며 웃는다. 4347.4.22.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낡은 끈은 낡지 않다



  눈으로 바라보면서 낡다고 생각하면 낡은 끈이 된다. 눈을 감고 손으로 살살 어루만지면서 끈이로구나 하고 생각하면 끈이 된다. 끈은 아랑곳하지 않고 책을 손에 쥐어 한 쪽씩 넘기면 그예 책이 된다. 낡은 끈으로 묶은 낡은 책이라고 여기면 그예 낡은 책이 된다.


  2004년에 처음 나오고 2014년에 여러 쇄를 찍은 책은 어떤 책일까. 낡은 이야기를 담은 책일까 새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일까. 1994년에 처음 나온 뒤 더 찍지 못했기에 1994년에 나온 대로 내 앞에 놓인 책은 어떤 책일까. 1974년에 처음 나오고 2014년에 새로 찍은 책은 어떤 책일까.


  많은 사람들이 아끼고 사랑해서 앞으로도 꾸준히 찍는 책이 있다. 몇몇 사람들이 아끼고 사랑하기에 한 번 찍고 나서 다시 못 찍지만, 헌책방에서 애틋한 손길을 받는 책이 있다. 책은 책을 읽는 사람 몫이지, 책 몫이 아니다. 책은 그저 책으로 있을 뿐이요, 우리들이 책에 빛과 값과 넋과 숨결을 불어넣는다. 책에 깃든 이야기는 글쓴이 몫이 아닌 읽는이 몫이다. 글쓴이는 이녁 온 사랑과 꿈을 이야기로 엮어 책으로 묶는다. 읽는이는 글쓴이가 바친 사랑과 꿈을 이야기로 읽을 뿐 아니라, 읽는이 나름대로 새로운 빛과 숨결을 불어넣으면서 새로운 이야기로 짓는다.


  낡은 끈이 낡은 까닭은 낡았다고 생각하는 마음 때문이다. 끈이 끈인 까닭은 그저 끈으로 마주하면서 아끼기 때문이다. 헌책도 없고 새책도 없다. 모두 똑같은 책이다. 종이로 빚은 책과 종이에 앉히지 않고 마음에 담는 책은 모두 똑같은 책이다. 4347.4.20.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