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패턴
필립 볼 지음, 조민웅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3.5점  ★★★☆  B+






자연은 지구가 품고 있는 가장 오래되었고, 거대한 예술 작품이다. 인간은 자연의 소유주인 지구의 허락을 구하지 않은 채 자연을 실컷 이용하고 있는 동물이다. 자연이 있던 땅 위에 도시를 짓고,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음식들 만들어 먹고, 자연을 손질하여 정원을 만든다. 예술가라는 직업을 가진 동물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볼 줄 안다. 멋진 자연경관을 발견하면 풍경화를 그리거나 카메라에 담는다.






로버트 스미스슨

나선형 방파제

1970




시대가 변하면서 몇몇 예술가는 자연을 예술 작품의 재료로 쓰기 시작한다그들은 작업실에서 작품을 만들지 않는다. 밖으로 나온 그들이 가는 곳이 작업실이 된다. 로버트 스미스슨(Robert Smithson)이라는 미국의 예술가는 아무것도 없는 호숫가에 엄청난 규모의 예술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는 중장비를 다루는 인부들을 불러 모아 6일 동안 방파제를 만들었다. 그렇게 해서 완성된 방파제는 폭 4.6m, 전체 길이 460m에 이르는 예술 작품이 되었다. 작품명은 나선형 방파제(Spiral Jetty)’이 작품이 알려진 이후로 대지 미술(land art)’이라는 용어가 생겼다대지 미술가들은 상업화된 예술이 넘쳐흐르는 도시에 거부감을 느꼈고, 환경 운동에 관심을 보였다. 그들은 지구의 꺼칠꺼칠한 피부 위에 작품들을 새겨 넣었다. 그래서 대지 미술을 ‘earthworks’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지 미술 작품들은 제대로 감상하기 어렵다. 천천히 밀려오는 시간의 파도가 대지 미술 작품들을 지워버린다. 점점 시간이 흐르면 작품이 닳기 시작하면서 모습이 조금씩 달라진다. 시간이 더 흐르면 작품은 흔적조차 남기지 않고 사라진다. 사라졌다기보다는 자연으로 돌아간 것이다. 살아있는 지구의 시선으로 바라본 대지 미술 작품은 자연이라는 예술 작품에 인간의 손길을 얹은 것에 불과하다나선형 방파제에 직접 가지 않고도 자연이 만들어 낸 나선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달팽이 껍데기는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해서 점점 더 확대되는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의 패턴손길이 아닌 눈길만 주면 찾을 수 있는 아름다운 자연의 형태들을 모아 놓은 도록이다. 이 책에 100점이 넘는 풍부한 도판이 실려 있다우리는 안정적이면서도 규칙적인 패턴을 찾아다니는 패턴 탐색자예로부터 대칭은 아름다움의 기본 조건이었다예술가들은 대칭성의 아름다움을 활용해 그림을 그리거나 건축물을 세웠다하지만 이 세상에 완벽한 대칭은 없다패턴 탐색자는 겉으로 보기에 균형적이지 않은 사물이나 존재에서 아름다운 대칭성을 발견한다.


자연의 다양한 형태를 관찰할 줄 아는 패턴 탐색자는 예술가가 되어 자신이 발견한 아름다움을 작품으로 표현한다. 반면 과학과 수학을 좋아하는 패턴 탐색자는 자연에 숨겨진 아름다움을 분석한다수학자들은 무질서한 형태 속에도 질서가 있다고 생각했다하나의 작은 패턴이 무한히 반복되면서 이보다 더 큰 패턴이 만들어지는 구조를 프랙털(fractal)’이라고 한다작은 패턴과 전체 패턴의 모양이 비슷해서 프랙털은 자기 유사성(Self Similarity)을 지니고 있다.


자연은 살아있는 예술 작품이다. 그것은 인간이 나타나기 전부터 이미 존재했다살아있는 것은 변하고, 언젠가는 사라진다. 그 어떠한 것도 영원한 것은 없다인간은 자연을 이용할 줄 알지만, 예술 작품이 되는 자연을 소유할 수 없다. 인간은 죽으면 자연으로 돌아간다. 우리 또한 자연의 일부분인데 자연의 주인 행세를 하고 있다앞서 말했듯이 자연의 소유주는 지구다지금도 여전히 인간은 지구를 더럽히고, 예술 작품인 자연을 파괴하는 반달리스트(vandalist)로 활동하고 있다. 우린 아직도 정신 못 차렸다.






<cyrus의 주석>



* 54



 


 다시 말해 동일한 원리가 피그미 난쟁이[1]나 코끼리의 혈관계, 모과나무나 세쿼이아의 가지를 만드는 데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원문]


 The same principles will work for the vascular system of a pygmy shrew or an elephant, or for the branches of a japonica and a redwood.

 


[1] 피그미(pygmy)는 키가 작은 민족이나 난쟁이를 뜻한다. 피그미 난쟁이는 같은 뜻의 두 단어를 이중으로 쓴 겹말 오류이며, ‘오역이기도 하다. 원문은 ‘pygmy shrew’, 좀뒤쥐 또는 난쟁이땃쥐와 같은 땃쥐목 땃쥐과에 속한 동물을 뜻한다.





* 193, 195

 

 엑스선을 결정 구조에 쬐어 주면 규칙적인 배열의 원자와 분자에서 산란된 빛이 간섭해 점들로 된 패턴을 만든다. 여기서 원자들의 위치를 유추할 수 있다. 이 기술이 엑스선 결정 분석법이다. 20세기 초 처음 사용되어 간단한 광물의 결정 구조를 유추하는 데 쓰였고, 20세기 중반부터는 단백질 같은 복잡한 생물 분자의 원자 구조를 파악하는 데 쓰이기 시작했다. 과학자들은 이 기술로 생명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1953년에는 이 기술이 DNA로 이루어진 결정을 연구하는 데 이용되었다. 덕분에 이 중요한 분자가 그 유명한 이중 나선구조임을 알게 되었다. [2]



[2] 엑스선은 광물의 결정(結晶)을 통과하면 회절 현상이 발생해서 패턴이 생긴다. 이 패턴으로 광물의 결정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패턴은 X선 회절을 처음 발견한 독일의 물리학자 막스 폰 라우에(Max von Laue)의 이름을 따서 라우에 무늬라고 하며, 회절이 일어나는 조건을 라우에 조건이라고 한다. X선 회절 실험을 통해 DNA의 구조를 처음 확인한 과학자가 로절린드 프랭클린(Rosalind Franklin)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석이 말하는 것들 - 죽고 사라진 것들의 흔적에 관하여
이수빈 지음 / 에이도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화석(化石)은 죽은 생명체들의 무덤이다. 어두컴컴한 돌 속에 오랫동안 갇혀 있던 화석이, 오랜만에 눈부신 세상의 빛을 쬐면 화석(花石)로 피어난다. 무덤 속에 누워 있던 생명체들이 망치 소리에 깬다돌무덤이 깨지는 순간 생명체들이 소리 내어 말하기 시작한다.


고생물학자는 양손에 망치와 정을 쥐면서 돌무덤을 열심히 찾아다니는 사람이 아니다. 그들이 진짜로 찾고 싶은 것은 돌무덤에 깊이 새겨진 고생물들의 삶이다. 고생물학자는 화석과 함께 잠든 고생물들의 이야기를 발굴한다. 돌무덤을 찾는 것보다 돌무덤 속 생물들이 말하고 싶은 이야기를 찾기가 더 어렵다. 엄청 두꺼운 시간의 지층에 눌린 생물들의 이야기는 납작하다. 너무 납작해지면 생물의 일부 모습이 사라져 버린다. 눈에 보이는 흔적이 없으면 생물의 생김새를 완벽하게 되살리기가 쉽지 않다. 결국 돌이 되지 못한 생물의 이야기는 수수께끼로 남는다.


하지만 돌이 되지 못한 이야기라고 해서, 무조건 말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지금도 돌무덤에 있는 생물들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하기 위해 돌무덤 껍질을 쪼아댄다. 고생물학자들은 생물들의 이야기가 사라지기 전에 망치로 돌무덤을 깨뜨린다. 가까스로 꺼낸 이야기가 온전히 남아 있지 않더라도 고생물학자들은 생물들을 대신해서 말해주어야 한다생물들이 어떻게 생겼는지, 그리고 무엇을 먹으면서 살았는지 유추해야 한다.


2010년대에 발견된 화석들은 생각보다 많이 알려지지 않은 편이다. 화석을 다룬 책들에 소개된 내용은 대부분 2000년대 이전에 발견된 화석들에 관한 이야기다. 화석이 말하는 것들: 죽고 사라진 것들의 흔적에 관하여은 화석을 주제로 한 과학 도서 중에서 아주 젊은 청소년 책’이. 저자는 최근에 알려진 화석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리고 새로 수정된 고생물학 지식도 소개한다


삼엽충이 다리로 숨을 쉰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삼엽충 화석을 연구한 고생물학자들은 삼엽충 다리에 아령처럼 생긴 호흡기관을 발견했다. 그들은 삼엽충 다리에 아가미가 있다고 주장했다


오비랍토르는 한동안 다른 공룡의 알을 훔치면서 살아온 공룡으로 알려졌다. 처음 발견된 오비랍토르 화석이 공룡알 근처에 있었기 때문이다. 고생물학자들은 화석이 된 오비랍토르가 다른 공룡의 알을 훔쳤을 거라고 주장했다. 제대로 말하지 못한 오비랍토르에게 알 도둑’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좋지 않은 별명 때문에 공룡이 나오는 영화나 만화에서 오비랍토르는 악당처럼 묘사되었다. 새롭게 밝혀진 연구 결과가 오비랍토르에게 씌워진 억울한 누명을 벗긴다. 공룡알은 오비랍토르가 낳은 것이다. 고생물학자들은 오비랍토르의 말을 잘못 해석했다. 오비랍토르는 돌무덤에서 살아나왔지만, 오랫동안 굳어져서 깨기 힘든 편견 속에 여전히 갇혀 있다. 저자는 돌이 된 지식의 편견을 깨뜨린다.


화석이 말하는 것들은 인간보다 먼저 지구에 살았던 생물들을 위한 추모사. 고생물들이 말하는 다양한 이야기가 추모사에 적혀 있다. 이 책은 수많은 화석을 기억하기 위한 비석이다. 그렇지만 종이로 만든 비석에 잘못 새긴 내용이 있다. 비석에 글자 하나라도 잘못 새기면 다시 만들어야 한다.



* 43

 

 호박이란 나무의 수액이 굳어져서 만들어진 광물입니다. 이 호박에 간혹 생물이 안에 담긴 채로 발견되기도 합니다. 영화 <쥬라기공원>에 나온 것처럼 모기나 여러 곤충이 보존된 채 발견되기도 하고, 도마뱀, 새의 날개, 심지어 공룡의 꼬리가 보존된 사례도 있습니다.

 


* 206

 

 보석의 한 종류이기도 한 호박은 영화 <쥬라기공원>을 통해서 익숙한 분들이 많을 겁니다. 영화를 보면 호박에 들어 있는 모기에서 공룡의 혈액을 추출해서 공룡을 복원하기 때문입니다. 영화를 보면 호박에 들어 있는 모기에서 공룡의 혈액을 추출해서 공룡을 복원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건 영화에서나 가능한 일이긴 합니다.



* 208


 영화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 영화에서는 과거 공룡의 피를 빨았던 모기가 나무에서 흘러나오는 수액이 굳어져서 만들어진 광물인 호박 속에서 갇혀 현대까지 보존된 채로 있다 발굴됩니다.



이 책에 영화 <쥬라기공원>에 나온 호박(나무에 나온 송진이 굳어서 생긴 광물) 속의 모기가 세 번 언급된다







하지만 파리를 연구하는 곤충학자 에리카 맥앨리스터(Erica McAlister)는 영화에서 가장 유명한 장면오류가 있다고 지적한다. 그녀의 주장에 따르면 영화에 묘사된 곤충은 모기가 아니라 크레인파리성체다. (참고문헌: 에리카 맥앨리스터, 이동훈 옮김, 위대한 파리, 마리앤미, 2023)




* 170





 희토류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부연하자면 희토류는 땅을 이루는 원소 중에서 성분의 비중이 매우 적은 금속 원소 17가지를 말합니다. 희토류 원소는 무게에 따라 가벼운 희토류 원소, 중간 희토류 원소, 무거운 희토류 원소로 나뉩니다. [중략] 브라킬로포사우루스의 다리뼈에서 발견된 희토류 성분은 , 스트론튬, 바륨, 스칸디움, 이트륨 등이었습니다.


(Fe)은 희토류 원소가 아니다.







<cyrus의 주석>




* 137


 참고로 이야기하자면 세균과 바이러스는 전혀 다릅니다. 세균은 스스로 증식할 수 있는 생물이지만, 바이러스는 다른 생물에 기생하지 않으면 번식할 수 없는 존재입니다. [주1]


[1] 리케차(Rickettsia)숙주에 기생하는 세균이다. 이 세균은 발진티푸스를 일으킨다.





* 221

 

 황철석 질병이 처음 관측된 것은 1878년 벨기에의 베르니사르(Bernissart) 지역의 광산에서 발견된 화석이었습니다. 이 광산에서는 대규모의 이구아노돈과 만텔리사우루스의 화석이 발견되었는데요, 이 발견으로 이구아노돈의 생김새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게 된 것은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주2]


[2] 저자가 이구아노돈의 생김새에 관한 ‘유명한 이야기를 알려주지 않았다. 1878년 이구아노돈 화석을 발굴한 영국의 고생물학자 기드온 맨텔(Gideon Mantell)이구아노돈의 엄지발가락 발톱을 뿔이라고 생각했다. 당시에 복원된 이구아노돈의 생김새는 코에 뿔이 달려 있고, 네 발로 다닌 거대한 도마뱀과 비슷하다. 후속 연구를 거쳐 현재 수정된 이구아노돈은 사족보행뿐만 아니라 두 다리로 서서 다닐 수 있으며 엄지발가락에 발톱이 달려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연을 찾아서
토니 라이스 지음, 함현주 옮김 / 글항아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3.5점  ★★★☆  B+





자연 도감은 살아 있다. 그림이 된 자연은 가만히 있지 않는다. 세밀하게 그려진 자연은 생생하다. 자연의 맥박은 끊임없이 요동치고, 자연의 얼굴은 형형색색의 빛을 드러내고, 자연의 입은 온갖 소리를 낸다자연 도감은 늘 우리 곁에 있었지만 제대로 들여다보지 못했던 자연의 변화무쌍한 모습을 보여준다자연 도감을 만드는 데 있어 관찰하는 일은 그림과 내용의 정확성을 담보하는 필요조건이다. 하지만 장기간에 걸친 관찰은 기다림과 인내심을 요한다. 과거에 도감을 만들려는 화가와 과학자들은 자신들의 안목을 믿고 자연 본래의 형태를 최대한 잘 살려서 그리려고 했다사진이 등장하고, 측정 장비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자연 도감의 정확성은 한층 높아졌다. 지금은 카메라가 화가의 눈과 손을 대신해 주고 있다.


자연을 찾아서는 예술작품이 된 자연 도감들과 이 작품들을 탄생시킨 탐험을 소개한 책이다런던 자연사박물관에 수많은 동식물 표본이 소장되어 있다. 그곳에는 또 자연사 연구에 참고할 수 있는 각종 문헌이 보관된 도서관도 있다이곳에서 큐레이터로 일한 저자는 런던 자연사박물관 도서관에 있는 열 권의 자연 도감을 공개한다지금은 박물학자로 알려진 과학자와 탐험가들은 지도에 그려지지 않은 미지의 세계에 눈길을 주었다. 그들은 직접 자연의 실체를 확인하며 동식물을 관찰하고 조사해 왔다. 사진기기 없던 시절에 결성된 탐사대에 무조건 화가가 있었다. 화가는 과학자들이 보고 들은 자연을 그림으로 묘사했다. 자연에 호기심이 많은 화가는 본인이 직접 동식물을 관찰해서 그리기도 했다.


가까이서 자연을 조사했기에 화가들이 만든 자연 도감은 과학적 정확성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을 뿐 아니라 과학자들이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기도 했다여성이 마음대로 여행할 수 없었던 시절에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Maria Sibylla Merian) 딸과 함께 수리남에 가서 2년을 체류했다. 메리안은 나비를 비롯한 곤충들과 생태계를 그렸다. 그녀가 만든 자연 도감에 나비의 변태 과정을 묘사한 그림이 있다. 박물학자들은 메리안의 자연 도감을 참고하면서 곤충학 지식에서 미흡한 부분을 보완했다.


찰스 다윈(Charles Robert Darwin)비글호를 타지 않았다면 진화론을 정립한 사람은 앨프레드 러셀 월리스(Alfred Russel Wallace)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5년 동안 비글호를 타고 세계 곳곳을 여행한 다윈은 화석과 표본들을 모으고, 보고 느낀 것을 공책에 적었다. 공책 속에 진화론으로 알려지게 될 생각의 씨앗들이 차곡차곡 쌓여 있다.









다윈은 갈라파고스제도를 탐험하면서 화석을 발굴하고, 동식물을 채집했다. 이때 그가 채집한 동물 중 가장 유명한 것이 핀치(finch)라는 새다. 다윈은 여러 개의 섬에 서식하는 13종의 핀치를 관찰하면서 핀치들의 부리 생김새가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크고 딱딱한 씨앗이 많은 섬에서 자란 핀치의 부리는 뭉툭하면서도 두껍다. 곤충을 주로 먹는 핀치의 부리는 뾰족하다. 13종의 핀치는 먹이에 따라 부리 모양이 달랐다. 처음에 다윈은 13종의 핀치를 핀치류로 보지 않았다서로 다른 핀치의 부리를 흥미롭게 살펴본 사람은 핀치들의 부리를 그림으로 묘사한 존 굴드(John Gould)라는 조류학자였다. ‘다윈의 핀치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그림은 존 굴드가 그렸다다윈은 굴드의 핀치 그림 덕분에 자신이 관찰한 13종의 새들 모두 핀치류에 속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여기서 다윈은 하나의 종이었던 핀치가 자연환경에 적응하면서 여러 종으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인식했다. 굴드의 핀치 그림은 희미한 씨앗으로 된 진화론을 싹 틔우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진화론을 독자적으로 발견한 앨프레드 월리스는 다윈의 명성에 가려진 바람에 탐험과 연구 업적이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월리스는 말레이제도를 누비면서 생태계를 연구했고, 그곳에서 진화론을 뒷받침할 만한 자료들을 수집했다. 월리스는 다윈 못지않게 동식물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일에 매진했는데, 화려한 깃털을 가진 극락조에 매료되었다. 월리스가 마지막으로 쓴 저서 뉴기니섬의 조류에 여러 종류의 극락조를 묘사한 삽화가 실려 있는데, 존 굴드가 그린 것이다.


저자는 자신의 책에 소개된 박물학자와 화가들을 영웅이라는 표현을 써가면서 칭송한다. 그런데 이 책에 또 한 명의 영웅이 소개되지 않은 사실이 의아하다. 다윈은 이 사람이 없었다면 종의 기원을 쓰지 못했다고 말했다. 다윈이 존경했던 사람은 독일의 박물학자 알렉산더 폰 훔볼트(Alexander von Humboldt). 그는 남아메리카를 비롯한 여러 지역을 여행했고, 자연은 관찰을 통해 경험되어야 한다라고 말할 정도로 열정적으로 살아온 박물학자다. 훔볼트는 산에 자라는 식물 분포도를 조사하여 기후가 변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의 이름을 딴 동물과 지명이 있을 정도로 훔볼트는 자연을 열심히 찾으러 다닌 박물학자다이 사람의 일대기를 다룬 책 제목의 부제[주1]가 훔볼트를 잊혀진 영웅이라고 말해준다.





[1] 안드레아 울프, 양병찬 옮김, 자연의 발명: 잊혀진 영웅 알렉산더 폰 훔볼트 (생각의 힘, 2021)






<cyrus의 주석>




* 7~8

 




자연을 찾아서는 과거 300년 동안 이루어진 가장 흥미롭고 의미 있는 자연과학적 자연을 찾아서 [2] 탄생한 예술작품과 함께 이러한 탐험을 실증하는 자료들을 집중 조명한다.

 

 

[2]을 지워야 한다.






* 10

 




 내가 처음 자연사의 세계로 자연을 찾아서[3] 떠난 건 60여 년 전, 디플로도쿠스를 만나보겠다고 고지를 오르던 날이었다.

 

 

[3]을 지워야 한다.






* 178





온혈 포유동물 정온(定溫)포유동물 [주4]




[주4] 포유류는 계절과 상관없이 스스로 체온을 조절하고 유지할 수 있다. 체온 조절이 가능한 동물을 과거에는 온혈동물이라고 했으나, 지금은 정온동물또는 항온(恒溫)동물이라고 부른다.






* 나가며, 379


 



 이 책에 소개된 여행들은 일반 과학사, 특히 자연사에 있어 중요하고도 매혹적인 시기에 이루어졌다. 그 시작은 자연현상에 대해서도 합리적이고 치우침 없는조사를 하려는 움직임이 속도를 내던 중세 이후, 17세기 후반이다. 영국 왕립학회(1660), 프랑스 과학아카데미(1966)[5] 같은 단체가 설립되면서 과학자들, 그중에서도 이전까지는 개별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던 박물학자들이 점점 조직화되기 시작했다.

 


[5] 연도 오자. 프랑스 과학아카데미(Académie des sciences)1666에 설립되었다.






* 주요 인물 전기, 388

 






찰스 다윈, 1773~1858 찰스 다윈, 1809~18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환상의 미술 -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모든 것의 시각 자료집
S. 엘리자베스 지음, 박찬원 옮김 / 미술문화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협찬받고 쓴 서평이 아닙니다.




평점


3.5점  ★★★☆  B+








장막을 걷어라.

나의 좁은 눈으로 이 세상을 더 보자.

 

접어드는 초저녁

누워 공상에 들어 생각에 도취했소.

 

다들 행복의 나라로 갑시다.

 


- 한대수 행복의 나라(1974) 노랫말 일부 -



사진은 1977년에 재발매된 한대수 1<멀고 먼 길> 앨범 앞표지다.





상상화는 그리기 쉽다. 내 생각과 상상한 것을 그대로 그리면 된다. 어떻게 보면 상상화는 꾸밈이 전혀 없는 솔직한 그림이다. 하지만 완성된 상상화는 온통 검다. 알록달록하게 색칠해도 상상화는 까맣다. 다른 사람의 눈에 비친 상상화는 어두컴컴하다. 상상화를 그린 사람은 자신이 무엇을 그렸는지 잘 안다. 그렇지만 다른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한다. 도대체 뭘 그린 거야?” 그들은 깜깜한 상상화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몰라서 눈앞이 깜깜하기만 하다.


비현실적인 상상화는 이상하고두렵고불쾌하고난해하다이해하기 힘든 상상화는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까만 상상화가 낯선 사람들은 상상화를 그린 사람의 내면과 정신세계를 의심한다. 아름다움을 찾을 수 없는 상상화는 모든 사람에게 환영받지 못한다우리 눈은 실물과 실체를 보는 것에 익숙하다익숙하지 않은 것이 시야에 들어오면 눈동자가 좁아지면서 저절로 눈꺼풀이 감긴다그래서 상상화가 항상 까맣게 보이는 것이다.


우리는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창문으로 비유한다. 그러나 우리 눈은 낯설고 익숙하지 않은 세상을 흔쾌히 받아들이지 못한다. 이상하다고 느낀 물체나 존재에 거부감을 느낀다. 보기 좋고, 친숙한 세상만 보려고 하는 눈은 항상 열려 있는 창문이 아니라 장막이다.

 

상상화의 매력을 모르는 사람은 환상의 미술: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모든 것의 시각 자료집검은 책으로만 보일 뿐이다. 반대로 상상력이 흘러넘치는 사람은 이 책이 깊고 광활한 검푸른 바다로 보인다. 그들은 공상에 취한 상태다. 익숙해서 지루한 일상을 잠시 잊어버리고 환상의 검푸른 바다로 풍덩 뛰어든다환상의 미술솔직 과감한 상상화를 보지 못하게 만드는 장막을 걷어내는 책이다. 이 책을 쓴 저자는 오컬트, 죽음, 공포와 같은 어둡고 음산한 주제로 한 예술 작품을 좋아한다


바다에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준비 운동을 해야 한다. 몸이 물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환상의 바다는 쉽게 들어갈 수 있는 곳이 아니다. 이곳에 예술가들의 상상력을 먹고 자란 괴물이 득시글거린다. 환상의 바다를 처음으로 유영하는 사람들은 잠자는 예술가들이 세운 드림랜드를 헤맨다상상하는 일을 시간 낭비로 여기는 사람이 환상의 바다로 무턱대고 뛰어들면 눈동자가 깜짝 놀라서 갑자기 눈이 감겨버린다. 환상의 바다로 본격적으로 뛰어들기 전에 눈 풀기 독서를 해야 한다상상력이 부족하면 눈이 뻑뻑해진다. 이미 출간된 저자의 또 다른 책들, 오컬트 미술: 현대의 신비주의자를 위한 시각 자료집》(하지은 옮김, 미술문화, 2022년)어둠의 미술: 무섭고 기괴하며 섬뜩한 시각 자료집》(박찬원 옮김, 미술문화, 2023년)은 환상의 바다를 자유롭게 헤엄치는 데 필요한 상상력을 한껏 끌어 올려준다.


상상하는 것은 현실에서 도피하는 행위가 아니다. 새로운 현실을 확장하는 일이다. 상상하는 것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혁신적인 일이 아니다. 기존의 유를 새로운 유로 바꾸는 일이다. 상상하면서 환상의 세계를 그리는 예술가들은 개방된 세계를 묘사한다. 개방된 세계는 현실적인 것과 비현실적인 것, 과거와 현재, 아름다움과 추함, 인간과 비인간이 혼재되어 있다개방된 세계에서는 어떠한 제한도 없이 상상력을 펼칠 수 있다. 상상력은 이상하고, 환영받지 못한 사물과 존재를 특별하게 만들어 준다상상력이 충만한 예술가는 자신의 작품을 이해하지 못한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신경 쓰지 않는다. 예술가에게 상상력이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잊게 만드는 담력이다.







<cyrus의 주석>

 



* 13

 




 느릿느릿 걷고 힘이 센 퉁명스러운 성격의 외눈박이 거인, 장난스럽고 심술궂은 마법을 부리는 반짝반짝 날개 달린 자그마한 존재, 빛을 발하는 뿔이 달린 말을 닮은 짐승, 그 외에도 인어, 미노타우로스, , 난쟁이, 스핑크스, 사티로스, 백조 아저씨[주1], 잠 귀신! 키클롭스의 흙투성이 동굴에서부터 버섯들이 빚어낸 요정의 반지, 그리고 세상의 끝 어두운 숲에 숨겨진 마지막 유니콘까지. 모든 문화에는 환상적인 생명체에 관한 신나는 이야기들이 존재한다.

     

[원문]


 Lumbering one-eyed giants with surly personalities and prodigious strength; diminutive, winged beings twinkling with magic both mischievous and malicious; luminous equine beasts with shimmering horns, elusive and rare. Mermaids and minotaurs, dragons and dwarves! Sphinxes, satyrs, swan maidens and even the Sandman from the Cyclops’ dusty cave to the mushroom-spotted faerie rings to the last unicorn hidden in a dark wood at the end of the world, there are clamouring, tales of fantastical creatures to be found in every nook and cranny of every culture.

   


[1] 백조 아저씨는 오역이다. ‘maiden’처녀, 아가씨를 뜻한다. 백조 처녀(Swan maiden)’ 전설은 우리나라의 민담 선녀와 나무꾼과 비슷하다. 하늘에 내려온 백조가 여자의 모습으로 목욕하고 있었는데, 이를 훔쳐본 남자는 백조의 깃옷을 감춘다. 여자는 원래 백조의 모습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남자의 아내가 된다.





* 47

 




 보리아 삭스는 상상의 동물: 괴물, 불가사의, 인간(2013)에서 모든 유인원에는 설인이 어느 정도 들어 있고, 모든 말에도 페가수스가 조금 들어 있다. 남성과 여성은 천사 같은 면도 있고 악마 같은 면도 있다. 켄타우로스, 늑대 인간, 마법사 맨드레이크[2], 스핑크스 같은 면도 있다라고 쓴다.

 


[2] 맨드레이크(mandrake)는 전설에 묘사된 식물 이름이다. 전설에 따르면 교수형을 당한 사람의 몸에 나온 정액에서 피어난다. 맨드레이크의 뿌리는 사람 형상과 닮았다. 맨드레이크를 뽑으면 뿌리가 비명을 지른다. 이 비명을 들은 사람은 미치거나 죽는다. 맨드레이크는 해리포터와 비밀의 방에 나온다. 맨드레이크는 중세 시대 마법사들이 마법의 약을 제조할 때 사용한 약초였다. 식물 이름이 아니라면 필 데이비스(Phil Davis)와 프레드 프레드릭스(Fred Fredericks)의 만화 <마술사 맨드레이크>(Mandrake the Magician, 1934년부터 2013년까지 연재)에 나오는 동명의 주인공 이름일 수 있다. 원서에 ‘mandrake’라고 적혀 있는데 맨드레이크는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전자의 의미에 가깝다.






* 72~73

 

 지크문트 프로이트의 무의식에 관한 20세기 이론은 경계를 허무는 초현실주의자들에게 특히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들은 새로운 현대 신화를 추구하는 가운데 괴물 같은 기괴함을 포옹하여 강렬하고도 불안한 이미지를 만들어 냈으며, 꿈과 악몽에서 영감을 얻어 대체 현실의 끔찍한 장면이 연상되는 광경을 그려냈다. 살바도르 달리, 호안 미로, 파블로 피카소와 같은 선구자들은 악마와 유령으로 구성된 어둡고 환상적인 동물원을 창조했는데, 그것은 인종차별주의, 민족주의의 너무나도 현실적인 위협과 파시즘의 폭력을 상징하였다. [3]




[3]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는 온갖 기행을 일삼은 괴짜로 유명하다. 달리는 히틀러(Adolf Hitler)를 찬양했는데 그 일이 문제가 되어 초현실주의자 그룹에 제명당했다.





* 111

 





J. J. 그랜드빌 J. J. 그랑빌(Grandville)






* 143


 





 『백설 공주이야기를 소름 끼치도록 뒤틀린 반전으로 재해석한 닐 게이먼의 단편 , 얼음, 사과[주4]는 공주와 계모를 경쟁 관계로 보고, 실제로는 그리 사악하지 않은 여왕이 뱀파이어 같은 의붓딸 때문에 공포에 질려 이 괴물로부터 왕국을 구하기 위해 애쓴다는 내용이다.

 


[주4] 1995년에 발표된 닐 게이먼(Neil Gaiman)의 단편 소설 원제는 ‘Snow, Glass, Apples’. 소설의 모티프는 그림 동화집(Grimm’s Fairy Tales)에 실린 백설 공주. 게이먼의 단편 소설 제목의 ‘Glass’는 원작 동화 속 계모가 소유했던 말하는 거울을 상징한다. 따라서 소설 제목은 , 거울, 사과. 이 소설은 닐 게이먼 베스트 컬렉션(정지현 옮김, 하빌리스, 2023)에 수록되어 있다.






* 203

 




 만일 타임머신이 있다면 어디로 가고 싶은가? 선사시대를 목적지로 해서 트리케라톱스와 익룡과 잠시 시간을 보내다가 티렉스에게 잡아먹히기 전에 돌아오고 싶은가? [주5]



[주5] 타임머신이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기계라는 사실을 잠시 제쳐두고, 똑똑한 타임머신이 실용화된 세계에 살고 있다고 상상해 보자. 공룡을 만나고 싶으면 타임머신에 선사시대로 가자고 부탁하면 안 된다. 만약 타임머신이 당신의 부탁을 들어준다면 그 기계는 정품이 아니다. 정품이 아닌 타임머신을 타다간 짝퉁 과거로 가거나 현재로 영영 돌아오지 못할 수 있다. 선사시대에 가면 공룡을 볼 수 없다. 공룡은 이미 멸종되어 사라졌고, 그 대신에 두 발로 걷는 인류의 조상들을 만날 수 있다. 우리의 조상님들을 만나 보고 싶으면 목적지를 선사시대로 하면 되고, 트리케라톱스와 티라노사우루스를 보려면 백악기로 가면 된다.





* 더 읽어보기, 236

 

Dinotopia: A Land Apart from Time, James Gurney, 1992 [주6]

 

Fairs and Elves(The Enchanted World), Colin Tuubron, 1984

Wizards and Witches(The Enchanted World), Brendan Lehane, 1984 [주7]

 

Fantasy, The Literature of Subversion, Dr Rosemary Jackson, 2008. [주8]



[주6] 1993년에 다이노토피아: 공룡 나라 여행(오경아 옮김, 디자인하우스)이라는 제목의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주7] 분홍개구리라는 출판사가 총 아홉 권으로 이루어진 <인챈티드 월드>(Enchanted World) 시리즈를 번역 출간했다. ‘Fairs and Elves’의 국역본 제목은 요람을 흔드는 요정(박종윤 옮김, 2005)이다. <인챈티드 월드> 시리즈 전권 모두 절판되었다.

 

[주8] 로즈마리 잭슨(Rosemary Jackson)의 저서 <Fantasy: The Literature of Subversion>1981년에 출간되었다. 국역본 제목은 환상성: 전복의 문학(서강여성문학연구회 옮김, 문학동네, 2001)이다. 현재 절판되었다.





* 책 뒤표지

 






이 책에 프란시스코 고야(Francisco de Goya)의 그림이 없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4-02-23 15: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거울과 얼음의 차이는 많이 나는데^^;;

살바도르 달리 하면 ‘숟가락? 스푼과 낮잠‘ 일화가 압도적이어서 그것만 떠오르는데 히틀러랑 얽힌 사연도 있군요

cyrus님 어떻게 이런 고퀄 분석을 하실수가요. 번역가분들이 cyrus님 모셔서 강의하실 기회를 만들어주셔도 진짜 유익할 것 같아요^^

cyrus 2024-02-26 06:29   좋아요 1 | URL
달리의 작품 중에 <히틀러의 수수께끼>라는 제목의 그림이 있어요. 그림을 보면 왜 저런 제목을 붙인 건지 알 수 없어요... ㅎㅎㅎ

저는 전문가가 아니라서 전문가들 앞에서 가르칠 수준은 아니에요. ^^;;

감은빛 2024-02-27 17: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그런데 알라딘에서 글 쓰면서 어떻게 이렇게 이미지들을 깔끔하게 예쁘게 넣으신 건가요? 저는 이미지를 넣으면 편집이 잘 안 되던데요. 신기하네요.

cyrus 2024-03-01 10:01   좋아요 0 | URL
사진을 편집하는 과정이 번거로워요. 사진 이미지 크기를 작게 조절해요. 사진 원본을 올리면 너무 크게 나오거든요. 그렇다고 사진이 너무 작으면 글씨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어서 일단 보기 좋게 크기를 조절한 다음에 알라딘 블로그에 올려요. 마음에 들 때까지 사진 크기를 조절하고, 알라딘에 올리고, 다시 지우고.. 저는 이 과정을 반복해요. ㅎㅎㅎ
 
COSMOS 우주에 깃든 예술
로베르타 J. M. 올슨.제이 M. 파사쇼프 지음, 곽영직 옮김 / 북스힐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3.5점  ★★★☆  B+





 “엄밀히 말해그대도 엄밀히 말하기를 고집하시기에 말인데전문가는 아무도 실수를 저지르지 않아요. 누군가 실수를 하는 이유는 지식이 달리기 때문인데, 지식이 달리는 한 그는 전문가가 아니니까요. 따라서 어떤 전문가도 어떤 현인도 실수를 범하지 않으며, 어떤 치자도 치자인 한 실수를 범하지 않아요.”


(플라톤, 천병희 옮김, 국가1341a, 55)

 




코스미그래픽: 인류가 창조한 우주의 역사(Cosmigraphics, 마이클 벤슨 저, 지웅배 옮김, 롤러코스터, 2024년)는 예술이 된 매혹적인 우주를 모은 화보. 이 책의 생김새는 우량아와 비슷하다판형이 크다. 게다가 양장본이라서 두께는 얇은데도 제법 무게감이 느껴진다그런데 눈에 확 띄는 책의 몸집과는 달리 내실은 좋지 않다책 속에 고쳐야 할 것이 많다.[주1] 책에 화려한 도판들이 독자의 눈길을 사로 잡고 있어서 가 나지 않는다. 


사실 코스미그래픽이 나오기 전에 이미 우주 그림들을 한가득 모은 책이 출간된 적이 있다. 그 책은 바로 코스모스(Comsos). 코스모스? 칼 세이건(Carl Sagan)이 쓴 그 유명한 과학책? 제목과 주제는 비슷하지만, 내용은 다르다아주 유명한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보급판(홍승수 옮김, 사이언스북스, 2006년) 벽돌 책이다.[주2] 제목만 같은 코스모스코스미그래픽의 생김새와 비슷한 널빤지 책이다. 널빤지 코스모스의 부제는 우주에 깃든 예술이다.


코스미그래픽의 저자는 널빤지 코스모스의 존재를 알고 있다. 저자는 자신의 책에 널빤지 코스모스의 저자 이름을 언급했다.



코스미그래픽》 314쪽


 미술사학자 로베르타 올슨과 천문학자 제이 파사코프의 분석에 따르면, 그림 속 앉아 있는 노아의 왼쪽에서 하늘을 가리키는 사람은 므두셀라이며 그의 아버지 에녹이 점성술적 징조에 관한 내용을 써놓은 두루마리를 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로베르타 올슨(Roberta J. M. Olsen)제이 파사쇼프(Jay M. Pasachoff)1985년부터 예술과 천문학의 관계를 연구하기 시작했다천문학적 현상이 주는 영감이라는 이름의 학술회의를 진행하기도 했다두 사람이 처음 만난 이듬해에 핼리 혜성(1P/Halley)76년 만에 나타났다.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밤하늘에 나타난 혜성을 묘사했다. 널빤지 코스모스에도 혜성을 묘사한 그림들이 실려 있다.


이탈리아의 화가 조토 디 본도네(Giotto di Bondone)1301년에 혜성을 목격했고, 프레스코화 <동방박사의 경배>(1305년)에 혜성을 그려 넣었다조토는 세 명의 동방박사를 위해 예수가 태어난 마구간으로 인도한 베들레헴의 별(Star of Bethlehem)을 혜성처럼 묘사했다전문가들은 조토가 본 혜성이 핼리혜성이라고 주장한다.


예술가들은 어두운 밤하늘을 바라보면서 눈으로 빛나는 영감을 건졌다. 멕시코의 화가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일식(日蝕)에 매료됐다. 그는 프리다 칼로(Frida Kahlo)와 함께 지붕 위에 올라가서 일식을 관측했다고 한다독일의 판화가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는 자택에 천문관측소를 설치했다. 그는 연작 목판화 묵시록(1511)에 혼돈을 상징하는 유성을 그렸다.


플라톤(Plato)국가에 등장하는 트라시마코스(Thrasymachus)는 정의에 대해 소크라테스(Socrates)와 대화를 나눈다. 트라시마코스는 전문가는 실수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주장한다그의 주장은 틀렸다. (삼단 논법으로 반박하자면) 전문가는 사람이다. 사람은 실수한다. 전문가는 실수한다. 지식이 부족해서도 실수하고, 지식이 많이 있어도 실수한다.


코스미그래픽과 널빤지 코스모스의 역자 모두 과학 전문가. 코스미그래픽의 역자 지웅배는 천문학자 겸 과학 해설자(science communicator). 널빤지 코스모스의 역자는 곽영직 교수. 곽 교수는 다작하는 과학 전문 저술가. 그가 직접 쓴 과학책, 번역서, 감수한 책들이 상당히 많다.[주3]


공교롭게도 코스미그래픽과 널빤지 코스모스, 두 책 모두 겉은 보기 좋으나 속에 흠이 많다. 널빤지 코스모스코스미그래픽못지않게 오자와 오류가 있다책 제목은 코스모스인데 책을 펼쳐 보면 카오스(Chaos, 혼돈)’역자들만 실수하는가? 이 책의 편집과 교정을 맡은 출판사 직원도 실수한다.






<cyrus의 주석>

 




[1] 코스미그래픽서평, <안녕하세요, 지구인. 제 목소리 들리십니까?>(2024년 1월 23일 작성)

https://blog.aladin.co.kr/haesung/15244507



[2]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번역본은 두 가지 버전이 있다. 2004년에 처음 나온 책은 판형이 큰 널빤지 책이다. 정가는 5만 원이다. ‘벽돌 책으로 알려진 코스모스보급판이다.



[3] 곽 교수가 쓴 책 중에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읽기(세창출판사, 2021)가 있다.





* 16, 19





보르기아 보르지아(Borgia)

 



* 33





단테의 낙원 단테의 천국(paradiso)




* 75





1851년 프랑스 쿠테타 1851년 프랑스 쿠데타





* 84

 

 리베라는 그의 아내 프리다 칼로[4]를 비롯해 몇몇 사람들과 함께 지붕으로 달려가 일식을 관측했다.

 


[4] 이 문장을 이렇게 고쳐 쓰고 싶다. “프리다 칼로의 남편 리베라는 프리다를 비롯해 몇몇 사람들과 함께 지붕으로 달려가 일식을 관측했다.” 리베라의 역겨운 여성 편력을 생각하면 프리다 칼로의 남편이라는 표현을 쓰고 싶지 않다.




* 88, 91





알렉산드르 브로딘의 오페라 <이고르 왕자

알렉산드르 보로딘(Aleksandr Borodin)의 

오페라 <이고르 공(, Prince Igor)>


오페라 제목을 이고르 왕자라고 쓰는 사람들이 있다. 이렇게 써도 틀렸다고 볼 수 없다. 그래도 가장 많이 알려진 제목은 이고르 공이다.

 




* 98, 133, 199, 275







고대 로마의 작가 플리니우스가 쓴 자연의 역사(Natural History)

[주5]



[주5] 국내에 알려진 플리니우스(Plinius)의 책 제목은 박물지.





* 160


드니 디드로의 스물여덟 권짜리 백과사전[주6]


[주6] 백과전서로 알려진 방대한 분량의 저작물은 드니 디드로(Denis Diderot)가 혼자 쓰지 않았다. 달랑베르(Jean Le Rond d’Alembert), 볼테르(Voltaire)가 포함된 100여 명의 지식인이 백과전서 집필에 참여했다. 디드로와 달랑베르는 백과전서의 공동 편집장이다.

 





* 206





우루술라 우르술라(St. Ursula)




* 133쪽






* 207





베르길리우스의 전원시 아이네이스』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아이네이스[주7]



[주7] 아이네이스전원시가 아니다. 트로이의 장군 아이네이스가 긴 여정 끝에 로마를 건국하는 과정을 그린 장편 서사시. 전원시는 전원에서 사는 삶을 주제로 한 시다. 지금까지 알려진 베르길리우스의 또 다른 작품이 총 열 권으로 이루어진 전원시(Eclogues). 그런데 이 책 133쪽에 <Eclogues>가 한 차례 언급되는데 곽 교수는 작품 제목을 시선(詩選)’으로 오역했다.




* 217

 




 심지어 현실적이었던 사회주의 화가 -프랑수아 밀레[주8]단테의 코메디아의 큰 불Inferno[주9]5편을 나타내기 위해 상상력이 풍부한 캔버스화인 <유성>을 그렸다.

 


[주8] 저자들이 밀레(Jean-François Millet)사회주의 화가로 착각했다. 밀레1850년에 <건초를 묶는 사람들>을 살롱에 출품한다. 살롱전에 관람한 기자들은 그의 작품을 비난하면서 밀레를 사회주의자로 단정했다. 밀레는 자신에 관한 전기를 쓴 친구 알프레드 상시에(Alfred Sensier)에게 보낸 편지에 기자들의 비평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밀레는 사회주의뿐만 아니라 공화주의와 민주주의도 배격했으며 비평가들이 자신을 어느 당파로 규정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참고문헌: 즈느비에브 라캉브르 외, 밀레, 창해, 2000)



[주9] 단테의 코메디아(La Divina Commedia Di Dante Alighieri)’는 단테 사후에 붙여진 신곡의 원제. <Inferno>신곡1부인 <지옥> 편이다.




* 242, 243

 




 우리은하는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베네치아의 르네상스 화가 야코포 틴토레토가 상상력을 발휘해 그린 것처럼 비너스가 흘린 젖[주10]에 소용돌이치는 나선 형태를 더해 만들어진 것은 틀림없이 아닐 것이다.



[주10] 인용문은 틴토레토(Jacopo Tintoretto)의 그림 <은하수의 기원>을 언급한 내용이다. 틴토레토는 그리스 신화로 전해지는 우리은하의 기원을 묘사했다. 신화에 따르면 제우스(Zeus)는 전쟁에 참전한 암피트리온(Amphitryon)으로 변신하여 그의 아내 알크메네(Alcmene)와 동침했다. 알크메네는 임신하여 헤라클레스를 낳았다. 제우스는 아기 헤라클레스를 불사신으로 만들려고 헤라(Hera)가 잠든 사이에 젖을 물리게 했는데, 잠에서 깬 헤라는 아기를 밀쳐냈다. 이때 헤라의 가슴에 흘러나온 모유는 밤하늘에 뿌려져 은하수(Milky Way)가 되었다고 한다. 틴토레토의 그림에 묘사된 여신은 비너스(Venus)가 아니라 헤라다. 그림 오른쪽에 헤라를 상징하는 공작새가 있다.





* 253

 




 태양계의 주요한 행성들의 이름은 고대 그리스 로마 올림픽 신들[주11]의 이름을 따라 지어졌다.

 


[주11] 올림픽이 아니라 올림포스(Olympos)’. 올림포스는 열두 명의 신이 모여 있다고 전해지는 산의 이름이다. 올림픽은 고대 그리스의 올림피아(Olympia) 제전에서 유래된 단어다.





* 254




 

 갈릴레이는 지역의 유력 인사들에게 자신의 페르스피실룸으로 베네치아에 있는 마르크스 바실리카[12]의 종탑을 보여 주고, 이 도구로 바다 멀리에 있는 배를 얼마나 더 잘 볼 수 있는지를 확인시켜 이것이 상업적이나 군사적으로 큰 가치가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12] 마르코 바실리카(Basilica San Marco)





* 271





이탈리아의 미래학자 겸 화가였던 자코모 발라 [주13]



[주13]이탈리아의 미래주의(Futurism, 미래파, 미래주의자) 화가였던 자코모 발라(Giacomo Balla). 미래주의는 20세기 초 이탈리아에 유행한 근대 예술 유파다. 미래주의 예술가들은 과거와 전통 예술을 거부하고, 기계의 역동성을 찬양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