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의 희극 기사는 선동가로 알려진 아테네의 정치가 클레온(Cleon)을 비판한 시사 풍자극이다. 이 작품에 나오는 데모스테네스(Demosthenes)니키아스(Nicias)는 실존 인물이며 그들 또한 정치가다. 두 사람은 집주인 데모스(Demos, 민중)’의 노예로 등장한다. 하지만 파플라고니아인(Paphlagonian)’이 들어오면서 데모스테네스와 니키아스의 입지가 좁아진다. 파플라고니아인은 클레온을 빗댄 존재다. 파플라고니아인은 데모스테네스와 니키아스를 괴롭히고, 데모스의 환심을 사기 위해 교묘한 말을 늘어놓는다.

















[파이데이아 독서 목록 1년 차]

[대구 책방 <일글책> 시카고플랜 고전 읽기 모임 선정 도서]

* 아리스토파네스천병희 옮김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1》 (도서출판 숲, 2010)




데모스테네스와 니키아스는 파플라고니아인을 쫓아내고 싶어 한다. 그러던 중 두 사람은 신탁의 예언을 믿기로 한다. 예언에 따르면 순대 장수(소시지 장수)’가 아테네의 지도자가 되어 파플라고니아인을 쓰러뜨린다. 데모스테네스와 니키아스는 지나가다 우연히 만난 순대 장수를 붙잡아 그야말로 아테네를 구할 영웅이라고 치켜세운다. 그들에게 설득당한 순대 장수는 집주인 데모스로부터 인정받기 위해 파플라고니아인과 경쟁한다.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에는 성적 묘사가 빈번히 나온다천병희 교수는 노골적인 표현의 원문을 순화해서 번역했다이렇다 보니 의역된 기사는 너무 건전해서 건조해졌다George Theodoridis의 영문 텍스트를 훑어봤는데 매운맛이 느껴지는 민망한 대사가 꽤 많이 있었다



* 123쪽 356~358행 [순대 장수]


나로 말하자면 소 내장과 돼지 내장을 꿀꺽 삼키고

고깃국을 마시고 나서 손도 씻기 전에 경찰관들의

목을 조르고 니키아스를 겁줄 수 있는 사람이오.


* 원문(영어), George Theodoridis


 Oh, yeah? Mate… mate… I could just sit me down right now and after wolfing down a whole cow’s tripe and a whole hog’s belly… complete with all their gravy and juice and… I could… I could without bothering to wash my hands, mind- I could de-throat all the politicians and orators in town and… and sexually molest Nikias!



‘sexually molest Nikias’를 직역하면 니키아스를 성희롱할 수 있는 사람이오가 된다.


테미스토클레스(Themistocles)에 대한 천 교수의 주석에 오류가 있다.



* 109쪽 주 16


 기원전 480년 살라미스 해전을 승리로 이끈 아테네의 장군이자 정치가그는 훗날 조국에서 추방당해 적국인 페르시아 왕에게 명명하지만그리스가 페르시아에 복속되도록 도와주겠다고 한 약속을 지키지 않기 위해 일설에 따르면 소 피를 마시고 자살했다고 한다.



George Theodoridis의 영문 텍스트에 소 피에 해당하는 원문 bull’s blood. bull’s blood의 다른 뜻은 비소와 황이 합쳐진 광물인 계관석(Realgar). 이 광물이 붉은색을 띠어서 bull’s blood라는 별명이 있다. 비소는 예로부터 독살할 때 사용된 물질이다. 따라서 테미스토클레스가 소 피를 마시고 죽은 게 아니라 계관석으로 제조한 독을 마시고 자살한 것이다.

















[파이데이아 독서 목록 1년 차]

[대구 책방 <일글책> 시카고플랜 고전 읽기 모임 선정 도서]

* 투키디데스천병희 옮김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도서출판 숲, 2011)




천 교수가 번역한 투키디데스(Thukydides)펠로폰네소스 전쟁사1138(131)테미스토클레스의 최후에 관한 진술이다. 투키디데스는 테미스토클레스가 페르시아에서 병사했다고 썼다. 테미스토클레스는 도편 추방령을 받아 적국인 페르시아로 피신한다. 그곳에서도 테미스토클레스는 자신의 재능을 펼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다. 투키디데스는 테미스토클레스의 죽음에 대한 다른 사람의 증언을 덧붙인다. 테미스토클레스가 페르시아 왕에게 한 약속, 즉 조국인 아테네를 정벌하는 일을 지킬 수 없을 것 같아서 독을 마시고 자살했다고 한다.





















[절판] 이소크라테스페리클레스데모스테네스 외김헌 외 2명 옮김 그리스의 위대한 연설》 (민음사, 2015)




여담으로기사의 데모스테네스는 웅변가로 알려진 인물의 동명이인이다웅변가 데모스테네스는 마케도니아의 왕이자 알렉산더 대왕(Alexandros)의 아버지인 필리포스 2세(Philippos II)를 비난하는 연설을 해서 주목받았다데모스테네스는 필리포스 2세가 아테네(의 민주정)을 위협하는 세력이라고 경고했다. 필리포스 2세를 공격한 연설문 중 하나인 필리포스를 경계하며는 그리스의 위대한 연설에 수록되어 있다고대 그리스 및 로마의 유명한 인물들의 삶을 소개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에 테미스토클레스와 웅변가 데모스테네스 이야기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의 모든 아침
파스칼 키냐르 지음, 류재화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대구 책방 <일글책> 평일 독서 모임 10월의 책]









나는 왜 여기 서 있나

오늘 밤엔 수많은 별이

기억들이 내 앞에 다시 춤을 추는데

 

어디서 왔는지 내 머리 위로

작은 새 한 마리 날아가네

어느새 밝아 온 새벽하늘이

다른 하루를 재촉하는데

 

종소리는 맑게 퍼지고

저 불빛은 누굴 위한 걸까

새벽이 내 앞에 다시 설레이는데


 

- 전인권 사랑한 후에(1987) 노랫말 중에서 -





소리는 고막을 춤추게 한다. 고막은 아주 얇다. 그래서 고막이 물리적 충격을 받으면 파열되는 약한 신체 기관으로만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막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귓속으로 들어온 소리가 고막을 움직이게 한다. 이때 고막이 흔들리는 현상을 진동이라고 표현한다. 고막이 흔들리면 귓속뼈도 같이 흔들거린다. 그러면 진동의 영향을 받은 소리는 달팽이관으로 전달된다. 소리를 만난 고막이 흔들면서 춤출 때 우리는 선명한 음악을 듣는다.

 

고막의 역할은 현악기와 비슷하다. 현악기는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줄(, )이 움직여야 소리가 난다. 활로 줄을 문지르면 되는데 줄을 켠다라고 표현한다. 현악기 연주자의 몸놀림은 언뜻 완만하게 보인다. 하지만 박자가 느린 곡을 연주하는 연주자의 몸을 유심히 살펴보면 가볍게 움직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박자가 빠른 곡을 연주하면 연주자의 몸놀림은 커진다. 연주자는 마치 격정적인 춤을 추듯이 움직인다. 따라서 연주자와 악기는 우리에게 음악을 들려주기 위해 열정적으로 춤을 춘다연주자는 악기를 소중하게 다룬다. 연주자에게 악기는 음악을 만들기 위한 조화로운 춤을 같이 춰줄 수 있는 동반자다


파스칼 키냐르(Pascal Quinard)의 소설 세상의 모든 아침의 주인공 생트 콜롱브(Monsieur de Sainte-Colombe)는 비올라 다 감바(viola da gamba)의 대가다. 하지만 그는 비올라 다 감바를 연주하지 않는다. 콜롱브는 비올라 다 감바와 춤을 춘다. 감바는 이탈리아어로 다리(leg)를 뜻하는 단어다. 연주자는 두 다리 사이에 비올라 다 감바를 세운 채 줄을 켠다. 음악이 나오는 순간 연주자와 비올라 다 감바는 한 몸이 되어 리듬을 타면서 춤을 춘다. 마치 댄서가 뒤에서 파트너 댄서를 부드럽게 안으면서 춤추는 모습을 연상케 한다. 세상의 모든 아침연주자와 악기의 물아일체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와 비올라 다 감바는 음악을 만들기 위해 함께 춤추면서 살다가 언젠가는 지쳐서 함께 쓰러져 죽어야 하는 운명으로 이어진 관계다


콜롱브의 제자가 되고 싶은 마랭 마레(Marain Marais)는 악기를 동반자로 여기지 않는다. 콜롱브는 춤추는 비올라 다 감바와 함께 오두막집에서 만든 곡을 좋아한다. 하지만 그는 곡을 발표하지 않는다. 마레가 가장 좋아하는 소리는 본인이 만든 곡이 아니다. 텅텅 빈 삶의 무명 연주자인 자신을 유명인으로 채워 주는 대중의 환호와 박수 소리다. 성공하고 싶은 마레는 궁중 음악가가 된다. 성공 뒤에 따라온 육체적 쾌락의 달콤한 속삭임도 마레가 좋아하는 소리다. 스승이 오두막집에서 비올라 다 감바를 사랑스럽게 안으면서 춤추고 있을 때, 마레는 스승의 두 딸을 껴안으면서 쾌락에 매달려 몸부림치고 있다. 마레의 욕심은 끝이 없다. 그는 스승이 세상에 공개하지 않은 신선한 화음을 알아내기 위해 숨어서 엿듣는다.


콜롱브의 음악을 진심으로 귀 기울여 준 사람은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다. 아내는 콜롱브에게 절대로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인 무사(Mousa)’. 무사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예술의 신이다. 무사의 역할은 예술가에게 영감을 주는 일이다. 무사의 어머니는 기억의 신 므네모시네(Mnemosyne). 그래서 무사는 예술을 영원히 기억하여 간직한다. 콜롱브의 아내가 오래 살았다면 세상에 공개되지 않은 콜롱브의 음악은 아내의 마음속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자신의 음악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지음(知音)이 이 세상에 없으면 창작의 즐거움도 없다. 무사이자 지음인 아내를 잃은 콜롱브가 비올라 다 감바의 줄을 다 끊어도(絶絃) 슬픔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콜롱브는 장녀 마들렌(Madeleine)이 연주자로 성장하여 자신만의 무사와 지음이 되어주길 원한다. 하지만 사랑에 눈먼 마들렌은 아버지의 진심을 알아보지 못한다. 딸은 아버지로부터 배운 비올라 다 감바 연주 기법을 마레에게 알려준다. 마들렌은 자기가 사랑하는 마레를 위한 무사가 된다성공에 눈먼 남자와 사랑에 눈먼 여자를 이어준 것은 음악이지만, 결국 두 사람의 관계는 불협화음이 되고 만다.


대중의 눈에 비친 예술가의 이미지는 대부분 어두운 편이다. 항상 그들을 졸졸 따라다니면서 달라붙는 칙칙한 수식어가 창작의 고통고독한 영혼이다. 새로운 양식의 예술 작품을 만들 때 힘겨운 건 사실이다. 콜롱브는 자신이 활을 켤 때 살아 있는 자신의 작은 심장 조각을 찢는다고 말한다.

 


 “활을 켤 때 내가 찢는 것은 살아 있는 내 작은 심장 조각이네. 내가 하는 건 어떤 공휴일도 없이 그저 내 할 일을 하는 거라네. 그렇게 내 운명을 완성하는 거지.” (75)

 


누군가는 세상을 등진 채 오두막집에 혼자 있는 그가 쓸쓸해 보인다고 수군거릴 것이다. 하지만 콜롱브는 외롭지 않다. 그의 다리 사이에 일곱 개의 줄을 가진 동반자가 우뚝 서 있다. 콜롱브와 비올라 다 감바는 다른 사람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일을 열정적으로 하고 있다. 비올라 다 감바는 가만히 있으면 말이 없다. 하지만 파트너인 콜롱브와 함께 춤추면 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콜롱브와 비올라 다 감바가 완전히 물아일체 상태가 되면 새로운 곡이 완성된다. 이 곡은 성공을 좇아가기 위해 급하게 만든 음악이 아니다천천히 만든 음악은 느리다. 이 곡의 제목은 <일곱 개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Adagio)>[주].





[] 사무엘 바버(Samuel Barber)<현을 위한 아다지오>를 패러디한 제목이다. 원곡은 영화 <플래툰>의 삽입곡으로 유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경에 잠깐 스쳐 지나가는 헤로디아(Herodias)의 딸은 이름이 없다. 그녀는 성경을 이탈하여 종이로 펼쳐진 무대가 설치된 희곡으로 향한다. 무대 한가운데에 서 있는 순간, 그녀는 헤로디아의 딸이 아니다. 이 주인공의 이름은 살로메(Salome).





















* 오스카 와일드, 오브리 비어즐리 그림, 임성균 옮김 살로메(지만지드라마, 2023)


* 오스카 와일드, 정영목 옮김 오스카 와일드 작품선(민음사, 2009)

 




성경에서 정숙하게 놀고 있던 헤로디아의 딸을 섭외한 극작가는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그는 엄숙한 도덕을 마구 조롱하는 사나운(wild) 신사다. 와일드는 헤로디아의 딸에게 치명적인 아름다움을 뿜어대는 영혼을 불어넣었다이로써 메마른 헤로디아의 딸은 욕정으로 살찌운 살로메로 변신한다

















* 박세현 《비어즐리 또는 세기말의 풍경》 (한길아트, 2004)


* 박세현 《세기말의 그림은 악의 꽃이었다: 세기말적 멜랑콜리가 만든 기상천외한 화가들》 (청색종이, 2020)




병약해서 가늘어진 오브리 비어즐리(Aubrey Beardsley)의 펜 끝에 검정과 흰색이 묻혀 있다. 비어즐리는 펜으로 와일드가 연출한 살로메의 영혼에 색기(色氣)를 입혔다. 와일드와 비어즐리는 무명의 여자를 단숨에 유명한 요부(femme fatale)로 만들었다.







오브리 비어즐리

The Stomach Dance

희곡 살로메》의 열세 번째 삽화

1893




살로메독자와 관객 모두 홀리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와일드는 자신에게 추파를 던지는 의붓아버지 헤롯(Herod) 영주 앞에서 춤을 춘다. 희곡 초판에는 일곱 면사포의 춤(Dance of the Seven Veils)’이라고 언급되어 있다. 와일드는 춤의 구체적인 묘사를 생략함으로써 독자와 관객에게 에로틱한 상상력을 일으키도록 부추긴다. 독자와 관객은 와일드가 꾸민 여백을 통과해 헤롯의 연회가 열리는 궁전으로 향한다. 이들은 다 같이 일곱 면사포를 하나하나씩 슬며시 벗기는 살로메의 스트립쇼를 숨죽여 지켜본다. 사실 그들은 살로메가 어떻게 춤을 추는지 전혀 관심이 없다. 살로메를 쳐다보는 모든 남자는 비슷한 생각을 한다. 한 몸이 된 그들이 정말로 보고 싶은 건 춤이 아니다. 살로메의 알몸이다.
















* 오드리 로드, 주해연 · 박미선 함께 옮김 시스터 아웃사이더(후마니타스, 2018)




, 여기까지만 보면 살로메남성이 만든, 남성을 위한 에로틱한 희곡이다. 하지만 에로티시즘은 단순히 남성의 정욕을 유발하는 음란한 정서가 아니다. 미국의 시인 오드르 로드(Audre Lorde)여성의 진실한 성적 욕구와 관능적 끌림을 강조하는 건강한 에로티시즘을 긍정한다, ‘건강한 에로티시즘’을 성적 자유주의(sexual liberalism)와 쾌락주의의 동의어로 오해해선 안 된다. ‘건강한 에로티시즘과 성적 자유주의와 쾌락주의는 성적 본능을 말살하는 도덕규범과 종교적 권위에 저항한다. 하지만 건강한 에로티시즘은 성에 긍정적인 인식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개인이 원하는 성생활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성적 자기 결정권을 강조한다.


헤롯은 포도주와 사과를 내밀면서 살로메를 유혹한다. 하지만 살로메는 헤롯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다.



[헤롯] 내 잔에 포도주를 따라라. (포도주가 들어온다.) 살로메, 이리 와서 나와 포도주를 마시자꾸나. 여기 최상급 포도주가 있거든. 시저께서 하사하신 거지. 네 붉은 입술을 포도주에 담가 봐, 내가 그 잔을 비울게.

 

[살로메] 목마르지 않습니다, 영주님.

 

[헤롯] 익은 과일을 가져와. (과일이 들어온다.) 살로메, 이리 와서 나와 과일을 먹자꾸나. 난 과일에 네 작은 이빨 자국이 난 걸 보는 게 좋아. 이 과일을 조금만 먹어 보렴, 남은 건 내가 먹을게.

 

[살로메] 배고프지 않습니다, 영주님.


 

(임성균 옮김, 75)


 

살로메는 모든 남자를 유혹해서 지배하려는 요부가 아니다. 그녀는 매력 없는 음탕한 노인이 성가시게 굴자, 거부 의사를 확실히 밝힌다. 
















* 파스칼 키냐르, 송의경 옮김섹스와 공포(문학과지성사, 2007)




극 중에서 살로메의 아름다움에 눈을 떼지 못하는 인물은 두 명이다. 헤롯과 호위대장 젊은 시리아인이다. 헤로디아는 남편이 된 헤롯에게, 헤로디아의 시종은 호위대장에게 살로메를 너무 빤히 쳐다보지 말라고 경고한다. 과연 이 두 사람은 살로메를 어떻게 쳐다봤을까?

 

프랑스의 작가 파스칼 키냐르(Pascal Quignard)였다면 두 사람이 정면으로 보지 않고, 곁눈질했다고 주장했을 것이다. 키냐르는 에로틱한 장면이 그려진 로마 폼페이 벽화를 보고 난 후섹스와 공포라는 책을 쓴다. 키냐르는 이 책에서 고대 그리스 · 로마인들의 성문화매혹과 공포라는 개념으로 새롭게 해석한다.


(키냐르가 생각하기에) 폼페이 벽화 속 로마인들의 눈빛은 음란하지 않다. 정욕만 넘쳐흐를 것만 같은 그들의 눈동자 한구석에 섹스를 부끄러워하거나 두려워하는 마음이 고여 있. 그래서 자신의 속내를 들키지 않으려고 곁눈질한다. 키냐르는 영화와 예술 작품에 묘사된 것처럼 로마인의 성문화가 향락적이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로마인들은 섹스를 불길한 죽음을 연상시키는 공포의 개념으로 이해했다. 절정이 지나가면 팔팔했던 몸은 축 늘어지고, 용암처럼 뜨거웠던 몸의 열기는 싸늘히 식어간다. 신화 속 영웅들은 섹스에 지나치게 탐닉하는 바람에 자멸한다. 영웅호색의 뒤에 죽음이 따라온다. 섹스의 즐거움에 빠지면 파멸이 가까이 오는 것을 잊어버린다. 매혹과 공포라는 섹스의 두 얼굴을 바라본 로마인들은 스스로 경계한다. 따라서 그들은 섹스를 정면으로 마주 보지 않으려고 한다.

 

헤롯은 형의 아내(제수) 헤로디아와 결혼하기 위해 첫 번째 아내와 이혼한다. 우물(수조)에 갇힌 세례자 요한(히브리어: 요카난)은 근친상간을 저지른 헤롯을 계속해서 꾸짖는다. 헤롯은 성적 욕망을 이기지 못해 근친상간 금기(incest taboo)를 위반한 인물이다. 도덕적으로 파멸한 헤롯은 메아리처럼 울려 퍼지는 요한의 질타에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고, 금기를 어긴 섹스가 얼마나 위험한지 깨달았다. 하지만 의붓딸 살로메 앞에만 서면 위험한 생각은 작아지지 않는다음란한 욕심이 커질수록 근친상간 금기는 잊어버린다. 이런 헤롯을 잘 아는 헤로디아가 가만히 있을 리 없다. 살로메, 헤로디아, 요한에 둘러싸여 난처한 상황에 처한 헤롯은 무의식적으로 살로메를 정면으로 바라보는 대신에 곁눈질할 수 있다살로메의 성적 매력에 눈이 먼 호위대장은 두근거리는 심장을 부여잡으면서 호기심 반 두려움 반으로 슬쩍슬쩍 쳐다봤을 것이다.


키냐르는 어느 인터뷰에서 모든 해석은 망상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책 섹스와 공포를 에로티시즘에 대한 하나의 (주관적) 견해라고 소개했다. 살로메에 대한 필자의 해석 또한 망상에 가깝다. 그래도 살로메는 이리 보고 저리 봐도, 정면으로 보든 곁눈질하든 다양한 해석을 불러일으키는 매력적인 인물임이 확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로메
오스카 와일드 지음, 오브리 비어즐리 그림, 임성균 옮김 / 지만지드라마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성경에 잠깐 스쳐 지나가는 헤로디아(Herodias)의 딸은 이름이 없다그녀는 성경을 이탈하여 종이로 펼쳐진 무대가 설치된 희곡으로 향한다무대 한가운데에 서 있는 순간그녀는 헤로디아의 딸이 아니다. 이 주인공의 이름은 살로메(Salome).


성경에서 정숙하게 놀고 있던 헤로디아의 딸을 섭외한 극작가는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그는 엄숙한 도덕을 마구 조롱하는 사나운(wild) 신사다. 와일드는 헤로디아의 딸에게 치명적인 아름다움을 뿜어대는 영혼을 불어넣었다이로써 메마른 헤로디아의 딸은 욕정으로 살찌운 살로메로 변신한다


병약해서 가늘어진 오브리 비어즐리(Aubrey Beardsley)의 펜 끝에 검정과 흰색이 묻혀 있다비어즐리는 펜으로 와일드가 연출한 살로메의 영혼에 색기(色氣)를 입혔다와일드와 비어즐리는 무명의 여자를 단숨에 유명한 요부(femme fatale)로 만들었다.


살로메는 독자와 관객 모두 홀리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와일드는 자신에게 추파를 던지는 의붓아버지 헤롯(Herod) 영주 앞에서 춤을 춘다희곡 초판에는 일곱 면사포의 춤(Dance of the Seven Veils)’이라고 언급되어 있다와일드는 춤의 구체적인 묘사를 생략함으로써 독자와 관객에게 에로틱한 상상력을 일으키도록 부추긴다독자와 관객은 와일드가 꾸민 여백을 통과해 헤롯의 연회가 열리는 궁전으로 향한다. 이들은 다 같이 일곱 면사포를 하나하나씩 슬며시 벗기는 살로메의 스트립쇼를 숨죽여 지켜본다사실 그들은 살로메가 어떻게 춤을 추는지 전혀 관심이 없다살로메를 쳐다보는 모든 남자는 비슷한 생각을 한다한 몸이 된 그들이 정말로 보고 싶은 건 춤이 아니다살로메의 알몸이다.


미국의 문학비평가 수전 손택(Susan Sontag)은 1964년에 발표한 평론 캠프에 관한 단상』(1964년)[주]에서 부자연스러운 것 인위적이고 과장된 것을 애호하는 취향캠프(camp)’의 본질이라고 말한다. 캠프는 과장된 것, 벗어난 것, 제 상태가 아닌 물건을 선호하게 만드는 감수성이다. 손택은 오스카 와일드의 글과 비어즐리의 그림을 캠프의 예로 든다. 살로메와 비어즐리의 삽화를 처음 접하는 사람은 좋다’, ‘나쁘다라는 식으로 판단한다. 살로메초연 당시 대중과 비평가의 대다수 반응은 나쁘다였다. 그들의 눈에 익은 엄숙하면서도 우아한 아름다움을 살로메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엄숙함을 조롱한 와일드는 도발적이고, 과장된 아름다움을 선호한다. 따분한 도덕보다 색다른 아름다움에 우위를 두는 와일드의 탐미주의는 캠프 감수성의 또 다른 요소인 동성애적 탐미주의와 결이 같다. 캠프는 양성적 스타일인데, 와일드는 양성애자다.


살로메에 불쾌감이 느껴질 정도로 잔인한 묘사가 나온다. 특히 절정에 이른 희곡의 결말을 장식한 비어즐리의 삽화는 지금 봐도 파격적이다. 손택은 캠프에 대한 최후의 진술을 남기면서 캠프에 관한 단상을 마무리한다.

 


58. 캠프의 최후 진술: 캠프는 끔찍하기 때문에 좋다.’



손택은 캠프에 강하게 끌리며, 또 그만큼 강한 거부감을 느낀다고 했다. 살로메를 보는 독자와 관객의 반응 역시 그렇다. 캠프 감수성이 충만한 살로메는 끔찍해서 매력적이며 동시에 거부감이 느껴지는 희곡이다.

   

살로메새 번역본은 원전을 장식한 유명한 비어즐리의 삽화가 수록되어 있다. 극 중 인물을 소개하는 장에 특별한 도판도 실려 있다. 러시아 아방가르르 운동에 참여한 화가 알렉산드라 엑스테르(Aleksandra Ekster)1917년에 제작한 무대 의상 디자인이다.






[] 출전: 이민아 옮김, 해석에 반대한다 (이후, 20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리스토파네스 희곡선 범우문고 168
아리스토파네스 지음, 최현 옮김 / 범우사 / 200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2점  ★★  C





아리스토파네스의 는 우화 형식이 섞인 희극이다. 피테타이로스(Pisthetaerus)는 아테네에 불만이 많다. 그는 새의 왕을 직접 만나 하늘에 거대한 도시를 세워 옛날처럼 인간을 다스리라고 설득한다. 아리스토파네스는 이 작품에서 길어진 펠로폰네소스 전쟁과 빈곤으로 인해 국력이 소진되고 있는 아테네의 세태를 풍자한다.


아리스토파네스 희곡선에 수록된 작품은 두 편이다. 구름. 구름은 아리스토파네스의 대표작으로 철학자 소크라테스(Socrates)와 그 제자들을 희화화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가장 유명한 장면이 소크라테스가 무대 장치에 탄 채 구름에서 내려오는 모습이다. 구름이 공연된 이후에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의 젊은이들을 선동하고, 신을 모독한 혐의로 재판받는다.


아리스토파네스는 극 중 인물들의 목소리로 간접적으로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드러냈다. 따라서 아테네의 당시 상황과 작품에 언급된 인명이 누군지 알지 못하는 독자는 대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도통 알 수 없는 비극적인 상황에 부닥친다. 아리스토파네스 희곡선의 서문(이 책을 읽는 분에게)과 역주가 독자의 도우미가 되고 있지만, 역주가 있어야 할 대사가 많다의미를 알 수 없는 대사 속 단어와 인명을 몇 개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사카인 (109)


팔레로스의 정어리 (112)


가브조스 (135)



역주가 부족한 번역서는 완성된 책이라고 말할 수 없다. 독자는 역주 없는 번역문을 대충 읽으면서 넘기고 만다. 눈으로 한 글자 한 글자 다 본다고 해도 띄엄띄엄 읽는 행위를 완독이라고 보기 어렵다. 책을 성의 없이 읽는 독자는 잘못이 없다. 완독 불가능한 책을 만든 주범은 역자와 편집자다.


108쪽 역주는 프로크네와 필로멜라이야기에 대한 설명이다. 역자는 테레우스가 아내 프로크네의 동생 필로멜라와 결혼하기 위해 아내를 죽이려는 음모를 꾸몄다라고 썼다. ‘프로크네와 필로멜라이야기의 출전은 오비디우스(Ovidius)변신 이야기》(천병희 옮김, 도서출판 숲, 2017년). 그런데 역자의 설명과 변신 이야기에 기록된 프로크네와 필로멜라이야기가 다르다. 원래 이야기는 잔혹하고 끔찍한데, 테레우스는 아내 모르게 필로멜라를 강간한다. 그리고 필로멜라의 혀를 잘라내고 그녀를 감금한다. 역자가 언급한 프로크네와 필로멜라이야기의 출전은 어쩌면 변신이 아닌 다른 고대 문헌일 수 있다. 이 이야기가 사실이라면 출전을 밝혀야 한다.


117쪽 역주의 문둥병’, ‘문둥이는 눈에 거슬리는 단어다. 한센병(나병)과 한센병 환자를 멸시하는 반응이 녹아든 낡아빠진 표현을 이제 안 쓸 때가 되지 않았나. 오역과 오류를 말끔히 지운다고 해서 개정판이 되는 건 아니다. 시대착오적인 단어를 고쳐 쓴 개정판도 나와야 한다.


종반부에도 소크라테스를 풍자한 대사(192, 코러스)가 나온다.



스키아포데스의 나라에 오염된 늪이 있어

소크라테스가 그 늪에서 사람의 혼을 부른다.



의 원문을 확인해 보지 못했지만, 아마도 다이모니온(Daimonion)’을 뜻하는 단어일 것이다. ‘다이모니온신령스러운 것또는 영적인 것으로 번역되기도 하는데 소크라테스 철학이 압축된 플라톤의 대화 편에 자주 나오는 개념이다, 플라톤에 따르면 다이모니온은 자기 내면에서 등장하는 반대의 목소리. 플라톤(Plato)알키비아데스 Ⅰ』(김주일 · 정준영 옮김 알키비아데스 ·Ⅱ》, 아카넷, 2020년)에 묘사된 다이몬니온은 자신을 지켜주는 후견인이다.

 

알키비아데스(Alkibiades)는 소크라테스의 제자인 정치가다. 그는 잘생긴 외모로 대중의 인기를 얻었으나 정치적 음모에 휘말리는 바람에 아테네의 적국 스파르타 편을 들었다. 알키비아데스는 지지 세력의 힘을 입고 다시 아테네로 돌아오지만, 친스파르타 행적이 그의 발목을 잡는다. 결국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가 패배하게 된 원흉으로 지목되어 몰락한다. 아리스토파네스는 알키비아데스를 혀짤배기 소리로 말하며 아테네 평화에 위협적인 인물로 묘사한다(『벌』, 『개)

 

알키비아데스 Ⅰ』는 플라톤의 대화 편에서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오랫동안 위작으로 알려진 탓에 깊이 있는 철학적 대화를 나눈 소크라테스와 알키비아데스의 모습은 묻혀버렸다. 철학에 관심 있는 사람들의 머릿속에 두 사람의 관계를 동성애로 바라보는 피상적인 인식이 강하게 뿌리내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