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들어서자 마자 하락한 내수 경기 진작을 위해 문재인 정부시절 처럼 전 국민에게 25만원을 주는 정책을 추진했고 아마 7월 26일경부터 순차적으로 지급한다고 밝힌 것 같다.그리고 이를 위해 국방비중 900억원을 삭감했다고 한다.이에 많은 이들이 이비어천가를 부르면서 정부 지지의사를 밝히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과거정부와 달리 국민들을 위한 정책(?)을 펼칠 줄만 알았던 이재명 정부에서 뜬금없이 신용카드 소득공제 정책 폐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신용카드소득공제 폐지는 특히 유리알 지갑으로 각종 세금으로 탈탈 털리는 직장인들에게 큰 반발을 살 수 있는데 이는 세수 부족때문 이라고 한다.

나라에 돈이 없다고 하면서도 전 국민에게 마치 선심이나 쓰듯이 일인당 25만원이나 주는 정책을 쓰면서 뒤로는 돈이 없으니 유리알 지갑의 직장인들에게 세금을 더 쥐어짜겠다고 하는 것은 정말 조삼모사가 아닐 수 없다.마치 국민들은 바보같아서 돈 몇푼 쥐어 주면 헤헤 거리는 원숭이쯤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어느 누가 25만원을 받고 연말에 그 돈의 배의 배나 되는 돈을 세금으로 낸다고 하면 과연 누가 좋아할까? 그것도 올해만이 아니라 앞으로 쭈욱 더 내야하는데 말이다.


돈 없는 서민들은 동네 마트가서도 신용카드를 벌벌 떨면서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세수 부족하다고 카드 소득공제 정책을 폐지할 생각이나 하니어처구니가 없을 따름이다.

세수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정부가  갑분싸 자영업자 빚탕감 5천만원을 세금으로 하겠다는 정신나간 정책을 한다고 하니 정말 무슨 생각을 하는지 당최 알 수가 없다.일각에선 25만원 안 받을테니 이재명 정부를 찍어준 사람들만 쿠폰받고 카드 소득공제 폐지하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ㅎㅎ 국민들 입에서 이 말이 절로 나오지 않을 수 없을 것 같다.


정말 코메디가 따로 없는것 같은데 웃을 일 없는 엄혹한 시기에 정부가 국민에게 빅 웃음을 주는 것 같아 고맙기 그지없는 바이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출근시간 혹은 업무시간을 회사에서는 보통 9시부터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 출근시간(혹은 업무시간)을 바라보는 기성세대와 Z세대간에 커다란 간극이 있습니다.

기성새대들은 출근시간 9시라는 것은 9시 이전(보통 10~20분전)에 출근하여 9시부터 업무를 시작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반면에 2030세대들은 9시까지 출근하고 그 이후 준비를 하고 업무를 본다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간에는 시간을 바라보는 시각 차가 매우 큰데 알라디너 여러분들은 8시 10분 전이라고 누가 말한다면 과연 몇시 몇분을 가리칸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마 오래전에 교육을 받으신 분들이라면 대부분 7시 50분이라고 답변을 하실 것 같습니다.하지만 요즘 10대나 20대는 다르게 대답한다고 하네요.

이와 관련해서 일본 방송에서 실험한 결과가 있습니다.


즉 일본의 1020세대들은 8시 10분전은 8시~8시 9분이라고 생각하고 4050세대들은 보통은 7시 50분이라고 생각한다고 하네요.

이는 아마도 아날로그 시계를 주로 보던 세대와 디지털시계로 본 세대로 나뉘는 것 같은데 아날로그 시계를 보면서 시간 보는 법을 배웠던 기성세대와 달리 핸드폰등으로 디지털 시계를 보면서 자란 젊은 세대는 굳이 시간보는 법을 학교에서 배우지 않았기에 이런 차이기 생기지 않았나 싶네요.

8시 10분전이라 말을 기준으로 생각해 보면, 10분을 '시각'으로 볼 지 '시간'으로 볼 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한국에서도 이런 조사를 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무척 궁금해 집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린이을 대상으로 한 역사 만화책중 하나에 피터히스터리아란 책이 있습니다.

알라딘 책소개에 의하면 영웅인물 위주의 서사나 강대국의 패권쟁탈에 초점을 맞춘 역사지식에서 과감히 벗어나 어린이 청소년들이 스스로 역사의 가치를 느끼고 사유하도록 이끌어주는 역사만화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중요한 역사적 격변기를 살아간 십대들의 이야기를 통해 자유와 평화, 평등 같은 인문학적 상상력을 키워준다고 하는군요.


좋은 내용의 책이기는 한데 내용중 일부 오류가 있어서 고쳤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책중에 역사란 영어단어인 history를 hi+story로 나누면서 역사란 남자들만의 이야기라고 항변하고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설명이지요.


영어 history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히스토리아(ἱστορία)'에서 유래하였으며, '조사'나 '탐구'를 의미하며 헤로도토스가 페르사아 전쟁을 다른 자신의 책 역사의 제목이기도 하지요.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히스토리아(ἱστορία)'를 조사와 탐문을 통해서 얻은 지식이라고 자신의 책에서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리스어 '히스토리아(ἱστορία)'를 라틴어로 음차한 것이 histórĭa 이고 이것이 후에 영어로 history, 프랑스어로 histoire, 스페인어로 historia가 된거이죠.

이것이 일반적이고 전통적인 학술적인 견해입니다.


그런데 피터히스토리아에서 말하는 history가 남자들의 이야기라고 하는 것은 일부 종교단체(기독교)에서 역사history를 His(예수 혹은 하나님)의 story(이야기)로 설명하면서 역사는 곧 예수님 혹은 하나님의 이야기다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지요.

즉 일부 기독교계에서는 성경은 곧 인류의 역사다란 관점에서 history는 신의 이야기다로 하는 것이지 위에서 말하는 것처럼 역사가 여성들을 제외한 남성들의 이야기는 아니라는 것이지요.


즉 피터히스토리아에서 말하는 역사는 학술적인 관점에서나 종교적인 관점에서 모두 잘못되게 서술하며 편향된 시각을 강조하고 있어서 책을 접하는 어린이들에게 혼동을 주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 책의 개정판이 나올지 안나올지는  모르지만 이런 잘못된 정보를 주는 내용은 증쇄시 오류를 수정했으면 좋겠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전에는 한국이란 나라가 어디에 박혀 있는지 외국인들이 잘 몰랐기에 당연히 한국어도 몰랐습니다.그러다보니 한국인들이 해외로 여행을 다니다가 인종차별을 당하던가 맘에 안드는 일이 있으면 한국어로 시원하게 욕을 했다고 하지요.


하지만 한국이 선진국 반열에 들어서고 한국 문화의 힘이 전 세계로 뻣어가는 지금 외국에 나가서 한국말로 욕했다간 큰일이 납니다.


어떤 외국인 여성이 외국인이 인스타에 눈물을 흘리는 감성 인스타를 올리면 "Life is so Shibal sekkiya" 라고 말하자 외국인들이 무슨 말인지 이해를 하고 65만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1,300개의 댓글을 달아주고 있네요.


와우 한국의 욕마저 전 세계인들이 알아듣고 있으니 정말 해외에 나가서 입조심을 해야될 불행한(?)시대에 살고 있네요ㅜ.ㅜ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느 아파트 입주민의 경비원에 대한 갑질 카톡내용이 뉴스에 보도되었다.

내용을 요약해보면 자기 아이 오전 등원시 잘 보내라고 부탁(?)했는데 자기 말을 무시하고 시원한 에어컨바람만 쐬더라며 아파트 단톡방에 공감해 달라고 글을 올린 것이다.

하지만 글쓴이의 희망과 달리 단통방에서 다른 분들에게 욕만 한 바가지 들었다는 보도였다.


처음에는 어떤 아파트길래 경비원에게 이런 갑질을 벌이나 화가 났었는데 그래도 다른 입주민들은 정상적인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다행이란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사실 저출산에 여러모로 어머님들이 아이 키우기 힘드신것은 잘 알겠는데 글쓴이같이 자기 자식만 생각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는 일부 몰지각한 여성들때문에 맘충이란 말이 생겨난 것이 아닌가 싶다.아이들이 잘못할 수는 있지만 다음에는 그런 잘못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부모의 도리일진데 요즘은 너무 자기 자식만을 생각하는 일차원적인 부모들이 많다는 것이 참 문제란 생각이 든다.

by caspi


댓글(6)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ransient-guest 2025-07-11 05: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job에서 요구되는 것 이외의 것을 당연히 요구하는 경우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사실 이런 뉴스 볼 때마다 아픈 사람들이 참 많구나 하는 생각을 하고 갑질이 층층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사회란 생각을 합니다. 다행히 정상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들이 많았던 경우지만 안 그런 경우도 많은 것 같아요

카스피 2025-07-12 16:57   좋아요 0 | URL
아무래도 아파트 경비하시는 분들은 주민 편의를 위해서 이것저것 하시는 일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도가 지나친 요구가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경비보는 분들도 직장인들이고 아파트에 거주하는 분들 중에도 직장인이 대다수 일텐데 상대를 서로 위하는 마음이 필요할것 같아요.

허지영 2025-07-11 06: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냥 아이 낳으면 벼슬입니다. 벼슬. 자기 아이만 생각하잖아요.

카스피 2025-07-12 16:58   좋아요 0 | URL
요즘같은 저출산 시대에 아이낳은 어머님들은 모두 애국자 이시지만 내 자식이 귀한만큼 타인을 배려하는 아이로 자라도록 가르키는 것도 부모의 책임이겠지요.

서니데이 2025-07-12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날씨가 더운데 아파트 경비원 분들도 에어컨 있는 곳에서 일하시면 좋지요. 직원의 근무환경이 좋지 않으면 여러가지로 입주민에게도 좋지 않을거예요. 자녀의 등원까지 신경쓰기를 부탁하는 건 맞지 않는 것 같은 것 같습니다.

카스피 2025-07-12 17:00   좋아요 1 | URL
사실 아파트 경비실에서 선풍기 하나로 버티시는 경비원들도 상당히 많지요.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을 존중해 드릴 필요가 있다고 여겨집니다.그리고 지녀들 케어는 웬만하면 부모님들이 하셔야 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