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을 홍당무라고도 하죠,
그럼 당근은 무의 한종류?
노노노, 당근은 미나리과랍니다.
노란 당근 보라색 당근은 어때요?
원래 당근은 주황색이 아니었답니다.

목련은 나무에 피는 연꽃이라는 의미라는거 아세요?
자목련과 자주목련이 다르고
목련도 백목련과 다르고
우리가 알고있는 목련에게도
제각각 이름이 다 있다는 사실,

빨간 열매가 열리는 보리수를 보면서
석가모니의 보리수나무를 떠올리시나요?
우리가 알고 있는 그 보리수는 뜰보리수로
잘못된 식물명때문에 생긴 오해,
석가모니의 보리수는 인도보리수!

지금은 흔하게 먹는 파인애플이
아주 오래전엔 과일의 왕으로
몇백만원에 이를정도로 비쌌고
과시용으로 들고 다닐정도였으며
솔방울을 닮은 과일이라는 의미랍니다.

가을에 피는 벚꽃이 기후위기때문이 아니라
봄이랑 가을에 두번 피는 벚꽃도 있구요
짙고 푸른 가을하늘을 쪽빛이라고 하죠?
쪽이란 식물에서 나온 색이라는 사실,

‘지금 우리에게 진정 필요한것은
지금 각자의 발밑애 피어나기 시작한
제비꽃을 향해 한번쯤 무릎 꿇고
들여다보는 성의,
우리 곁에 살고 있는 다양한 식물을
그 자체로 온전히 받아 들일 줄 아는 포용이 아닐까 싶다.‘-p105

너무 흔해서 무시당하기 쉬운 제비꽃이
그 종류만 40여종,
멸종 위기종만 소중한 것은 아니라
언제 사라질지 모를
흔하지만 바로 지금 곁에 있는 식물도 소중하다는 사실을 일깨워주는 책!

‘원예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식물을 많이 이용하고 문화를 확산시키는 것이 아니라, 식물과 인간이 더불어 행복할 수 있는 지점을 찾는 데에 있어야 한다. 그렇게 생각하면 식물을 수단으로우리의 욕망을 충족하려고 하는 현재의 식테크와 같은 문화가 과연 식물과 사람의 조화로운 행복에 맞닿아 있는지, 꼭 필요한 일인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p323

열을 내는 식물도 있고
식물도 소리를 낼 수 있으며
고약한 냄새에도 이유가 있고
오래두고 보고 싶은 인간의 필요에 의해
향기는 제거되기도 하며
아침에 피는 꽃과 밤에 피는 꽃이 있고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식물 이름등등

식물에 관한 흔한 오해를 풀어주고
식물을 대하는 마음가짐과
올바를 자세를 알려주며
식물과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이 되기를 바라는
작가의 마음이 담긴 책!

#도서협찬
#식물에관한오해
#식물책
#목련이름바로알기
#흔하지만소중한제비꽃
#부처의보리수는인도보리수
#목련은나무에피는연꽃
#솔방울을닮아파인애플
#쪽이라는식물에서나온쪽빛
#홍당무는미나리과
#색다른당근
#이소영식물그림
#이소영식물책
#위즈덤하우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4-05-31 07: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 문체랑 책 표지랑 책 내용이 딱 맞아 떨어지는 것 같아요

저는 항상 왜 어느 때는 ˝홍당무˝라 하고 어느 때는 ˝당근˝인지 궁금했는데
당근이 미나리과라는 이야기는 사실 충격이네요 ㅎㅎ 미나리에게 이런 큰 뿌리가 있을 수 있다니...그러고 보니 당근 뿌리위로 올라오는 잎들이 미나리랑 비슷한 것도 같아요

책방꽃방 2024-05-31 07:54   좋아요 0 | URL
우리가 식물을 오해하고 있는 것들이 많더라구요. 책을 보시면 더 소상히 알 수 있어요^^
 

원예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식물을 많이 이용하고 문화를 확산시키는 것이 아니라, 식물과 인간이 더불어 행복할 수 있는 지점을 찾는 데에 있어야 한다. 그렇게 생각하면 식물을 수단으로우리의 욕망을 충족하려고 하는 현재의 식테크와 같은 문화가 과연 식물과 사람의 조화로운 행복에 맞닿아 있는지, 꼭 필요한 일인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 P323

물론 지구상에는 보전이 시급한 식물,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식물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순전히 인간이 매기는 순위일 뿐, 식물 사회는 서로의 가치를 계산하지 않는다. 우리에게 진정 필요한것은 지금 각자의 발밑에 피어나기 시작한 제비꽃을 향해 한 번쯤무릎 꿇고 들여다보는 성의, 우리 곁에 살고 있는 다양한 식물을그 자체로 온전히 받아들일 줄 아는 포용이 아닐까 싶다. - P1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의 입장에서 바라본 식물과
식물의 입장에서 바라본 식물은 어떻게 다를까?

매일 아스팔트를 딛고 사는 우리에게 틈새는 균열의 결과물이자 고쳐야 할 오점이다. 그러나 인간 외의 생물들에게는 도시라는 공간,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자체가 불필요하고 거추장스러울 따름이다. 균열로 드러난 틈새야말로 인간을 제외한 생물들이필요로 했던, 진작 드러났어야 했던 공간인 것이다. - P17

이 책은 식물 가까이에서 살며 제가 직접 경험해온, 식물에 관한 오해와 편견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오해받는 대상은 식물이지만 오해하는 당사자는 우리 인간이기에, 이것은 식물의 이야기이자바로 우리의 이야기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 P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 적립금을 어디다 쓸까 하고
이것저것 뒤적거리는 중,
그런데
책이 아니라 굿즈를 점찍고 있다니...
ㅋㅋ
예쁜 쓰레기라는 딸냄씨 말이 생각나서
다시 책으로 눈을 돌려보니
취향의 책이 보인다.
백희나의 알사탕 제조법!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날아오르자 웅진 모두의 그림책 61
허정윤 지음, 이소영 그림 / 웅진주니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 움직이는 그림과 함께그네와 함께했던 추억을 떠올리며 위로받게 되는 그림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