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빨갱이라는 말이 너무도 부정적인 말로 쓰이게 되는 계기를 마련한 날. 

한 때는 사태라고도 했고, 항쟁이라고도 했는데... 

아직도 4.3은 완전히 끝나지 않았고, 우리는 분단이라는 현실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데... 

4.3에 관해서 역사책을 읽는 것보다 소설을 읽는 것이 더 현실적일 수 있다. 

엄정한 통계와 역사적 사실을 나열한 책보다는 살아있는 사람들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문학을 읽는 것이 더 실감있게 다가올테니 말이다. 

이것이 문학의 힘이고.. 우리가 문학을 읽는 이유이기도 하겠다. 

현기영이라는 제주도 출신의 작가는 이 문제에 대해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가 쓴 "지상에 숟가락 하나"

이데올로기보다는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작가가 창조해냈다고 보면 된다. 역사는 반복되어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4.3같은 비극이 다시 한 번 반복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그렇다면 역사가 반복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역사를 알아야 한다. 

4.3을 알아야 한다. 관념 속에서만, 이론 속에서만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 속에서 알아야 한다. 

마음 속에서 4.3을 알아가는 과정에 바로 문학이 있다. 현기영의 작품이 어른들이 읽기에 좋다면 청소년들은 이 책을 한 번 읽어보자. 

박재형, 다랑쉬오름의 슬픈 노래.  

동화라고 하기엔 너무도 슬픈 우리 현실을 형상화한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신문에 고 박지연 양의 일주기를 맞이하여 시위를 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이 실렸다. 

단지 고 박지연 양만이 아니라, 많은 노동자들이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는데... 

원인이 무엇인지 확실히 밝혀야 하는데, 우린 아니다 하고 넘어가는 자본의 논리에 노동자들과 노동자들의 가족들은 슬픔만 삭이고 있을 뿐인데... 

선진국으로 가는 길은 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이 선진화될 때 더 쉽고 편하게 열리지 않을까 한다. 

이건 우리 회사 책임이 아니다, 노동자들 개인 건강의 문제다 하고 넘어갈 일은 절대로 아니다. 

자기 회사의 노동자가 알 수 없는 이유로 갑자기 병에 걸려 고통을 받고 있다면 최소한 왜 그런 일이 발생했는지 철저한 조사를 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조사.. 그리고 노동자의 처지에서 조사를 하는 모습. 이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오늘 그 사진을 보고 이 책이 생각났다.   

박일환, 반올림, "삼성반도체와 백혈병" 

 

덧말  

2011년 6월 23일 법원에서 삼성반도체에서 숨진 몇 명의 노동자들의 산업재해를 인정한는 판결을 내렸다. 아직도 완전히 모든 것을 인정하고, 재발을 방지하지는 못했지만, 조금은 한 단계 나아가지 않았나 싶다. 

노동자들이 삶, 농민의 삶, 아니 모든 사람의 삶이 행복해야 사회가 행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을 두드리는 사람. 

격월간지다. 

인권재단 사람의 기관지라고 할 수 있다. 

단지 기관지라고 하기에는 이 책이 지니고 있는 의미가 너무 깊다. 

인권... 

전체적으로 인권에 대해 다루고 있지만, 인권이란 사회의 전분야에 걸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면 이 책이 다루는 내용이 어느 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우리 사회 전반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진행되는 복지논쟁도, 결국 인권으로 귀결이 되고, 사람다움을 실현할 수 있는 제도가 바로 복지이고, 사람다움이란 곧 인권 아니던가. 

노동에 대한 권리도, 정치에 대한 참여도 결국은 사람다움으로 가니, 모든 일들이 인권으로 수렴될 수 있는데... 

이 책을 읽다보면 그냥 간과하고 넘어갔던 문제들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어서 좋다. 

쉽게 사회적 통념으로 인식하던 일들이, 아니다, 그렇게 하면 안 된다는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책. 

그래, 혼자 보기엔 아까운 책이다. 

더더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구독한다면 이 땅에서 반인권적인 모습은 점점 사라지고, 인권으로 충만한 사회가 될테니, 이는 자연스레 복지국가로 가는 방법이기도 할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비아에서 다국적군의 폭격이 이루어지고 있단 소식을 들었다. 

리비아 사태를 내전이라고 한다면 다국적군은 인명보호를 명분으로 하고 있지만, 내정간섭이라는 비난을 받을 수도 있다. 

독재자를 축출한다는 대의명분하에 리비아에 대한 폭격이 민간인 사망으로 나갈 수도 있는 상황인데. 

세계 평화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전쟁이 합리화될 수  있을까? 

전쟁이 아닌, 협상으로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없을까? 

유엔은 전쟁이 아닌 협상으로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구 아니던가. 

아무리 민주주의, 인명보호, 독재자 축출이라는 명분을 내걸어도 전쟁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세계 곳곳이 자연 재해, 또 인간이 만들어낸 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 여기에 전쟁까지 벌이다니. 

왜 갑자기 "전쟁중독"이라는 책이 생각이 나는지. 이게 미국이 일으킨 전쟁도 아니고, 영국, 프랑스, 미국의 다국적군이 일으키고 있는 일인데.

중독을 끊기 위해선 많은 금단현상을 이겨내야 하듯이 우리도 전쟁이라는 중독을 끊기 위해선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하는데... 

어떤 명분으로 전쟁을 일으키는 일을 우리는 반대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 물의 날이라고 하는데, 물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는 날이다. 

물은 너무도 당연하게 우리 곁에 있어서 소중함을 모르고 지내기도 한다. 

어떤 이는 우리나라를 물 부족 국가라고도 하고, 어떤 이는 물부족 국가라는 말은 잘못된 이야기라고도 하는데, 예로부터 금수강산이라고 우리나라는 물 좋고 산 좋은 나라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우리처럼 도처에서 강을 보고, 산을 볼 수 있는 나라가 물에 대해서 인식이 부족하다면 이는 누구의 잘못일까? 

물이 순환하지 못 하게 콘크리트로 모두 막고, 이 물들이 자연 속으로 들어가 다시 자연 속으로 나오지 못 하게 하고 있는 현대 문명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모두 알고 있는데. 

가끔 내리는 비를 보면 이 비들이 어디로 갈까? 

갈 곳이나 있을까, 오로지 하수구로 빠져 땅으로 스며들지 못 하고 사라지지 않을까. 

물의 날. 

물에 대한 여러 생각을 하는데, 세상에 물 아닌 것이 있을까? 

우리 인간도 물로 대부분 이루어졌는데, 이렇게 물을 홀대해서 어떻게 우리의 생명을 잘 유지할 수 있을까? 

물의 날이라고 해서, 눈에 보이는 물에만 관심을 갖지 말고, 시각을 달리해서 모든 생명체에 대한 관심으로 나아갔으면 좋겠다. 

물도 감정이 있는 생명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면 굳이 물의 날을 만들 필요도 없이 우리는 물을 아끼고 소중히 여기게 될텐데... 

물에 관한 이 책. 

물의 날과 관련이 없을 듯하지만, 물의 날이 아닌, 물만이 아닌 우리 모든 생명체와 관련이 있는 이 책. 한 번 읽어보자. 에모토 마사루가 쓴 "물은 답을 알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