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문화사, 과학사를 논하는 제임스 버크의 매우 흥미롭고 재미있는 책이다. 근대의 과학혁명에 대한 부분에서 갈릴레이의 업적을 논하는 부분을 읽고 있는데(5장), 부정확한 기술이 있다.


  갈릴레이가 자신의 몰락을 가져올 24쪽짜리 논문을 쓴 곳이 바로 피렌체였다. 그보다 한 해 전에 그는 리페르헤이라는 네덜란드인이 '보는 도구looker'라는 것을 새로 발명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1611년 가운데 무렵까지 그 보는 도구, 즉 망원경의 배율을 천 배로 높여 사물을 30배나 가깝게 볼 수 있도록 개선했다. (218 페이지, 밑줄 추가)[1]


밑줄 친, 배율이 1,000배가 되면 사물이 30배 가깝게 보인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이다. 본문은 배율의 제곱근에 따라 사물이 가깝게 보이는 것처럼 잘못 기술하고 있다(1,000의 제곱근이 약 30). 하지만 배율은 크기(길이)를 통해 정의되며, 배율이 30배라면 길이가 30배 크게 보이는 것이고 30배 가까운 거리로 사물을 가져오는 것이다[2]. 본문은 배율이 마치 면적으로 정의되는 것처럼 기술했는데(물체를 30배 가까이 가져오면 면적은 1,000배 커진다), 이는 오해이다. 갈릴레이가 사용했고 요즘에도 아마추어들 천문가들이 종종 사용하는 굴절식 천체망원경의 배율은 대개 30~100배 정도이다[3].


---

[1] 원문: It was there in Florence that Galileo wrote the twenty-four pages which were to begin his downfall. In the previous year, he had heard of a new 'looker' invented by a Dutchman called Lippershey. By mid-year he had developed it to the point where his looker-telescope would magnify a thousand times and make things appear thirty times closer. (원서 p. 147) 원서에서도 마찬가지의 오류가 보인다(밑줄 친 부분). 한편, 번역문의 오류도 보이는데 "By mid-year"를 1611년 가운데 무렵까지"로 번역한 것이다. 여기서 "By mid-year"는 "그보다 한 해 전"의 중반까지를 말하며 문맥을 보면 "그보다 한 해 전"은 갈릴레이가 피렌체로 간 1610년의 한 해 전인 1609년이다. 그러므로 이렇게 번역하는 것이 올바르다: "갈릴레이가 자신의 몰락을 가져올 24쪽짜리 논문을 쓴 곳이 바로 피렌체였다. 1609년에 그는 리페르헤이라는 네덜란드인이 '보는 도구looker'라는 것을 새로 발명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그해 중반까지 그 보는 도구, 즉 망원경의 배율을 높여 사물을 30배 가깝게 볼 수 있도록 개선했다."

[2] 좀 더 엄밀히 말하면 배율은 각도를 통해 정의된다. 

[3] 렌즈를 추가해서 배율을 100배 이상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렇게 하면 사물의 크기는 그만큼 더 커지지만 망원경의 흔들림에 매우 민감해진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lueyonder 2023-09-04 16: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굴절식 천체망원경의 원리: https://brunelleschi.imss.fi.it/esplora/cannocchiale/dswmedia/esplora/eesplora2.html

cyrus 2023-09-04 20: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최근에 과학 도서를 읽으면서 발견한 건데, 갈릴레이가 피사의 사탑에서의 낙하 실험을 했었다는 내용이 있었어요. 갈릴레이가 실제로 피사 사탑에서 실험하지 않았다는 진실이 밝혀진 지 꽤 됐는데도 가끔 그런 내용을 언급한 책이 있어요. ^^;;

blueyonder 2023-09-05 08:59   좋아요 0 | URL
말씀처럼 아직도 잘못된 여러 일화들이 사실처럼 종종 언급되는 것 같습니다. ^^;
좋은 하루 보내세요~!
 














<한겨레> 기자인 이재성이 정치검찰과 언론에 대해 쓴 글을 모았다. 1부 '윤석열과 정치검찰', 2부 '언론과 지식인'으로 구성된 총 176페이지의 비교적 짧은 책이다. 대선이 치러지기 전인 2021년 12월 3일에 발행됐다. 시점의 차이는 있지만 작금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머리말에 있는 글을 다음에 옮겨 놓는다.


  양대 정치세력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을 일컬을 때 나는 진보와 보수 대신 개혁과 반개혁 또는 리버럴(자유주의)와 권위주의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리버럴과 권위주의는 정치적 성향과 태도에 관한 것인데, 국민의 자유를 중시하고 자율성을 보장하는 정도에 따라 나뉜다. 개혁은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를 포괄하여 소수가 독점하는 제도와 편익을 다수가 향유하는 방향으로 고치는 행위를 말한다. 조중동을 비롯한 보수이데올로그들은 민주당을 진보 또는 좌파라고 공격하지만 민주당은 진보도 좌파도 아니다. 민주당이 국민의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건 사실이지만 정치세력으로서 진보라고 말하긴 어렵다. 민주당은 민족주의 계열의 우파 정당이었던 한민당의 후예로서 미국의 민주당처럼 정치적 자유주의를 추구하면서 경제적으로는 평등의 가치에 부분적으로 동의하는 수정자본주의 그룹이다. 이에 반헤 국민의힘은 강경한 신자유주의 정당이라고 분류할 수 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신자유주의가 사망선고를 받았고 거의 모든 선진국이 케인스주의에 따라 국가의 적극적 개입을 당연시하는 상황에서 국민의힘이 표방하는 강경한 신자유주의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신기루일 뿐이다. '작은 정부론'과 공기업 민영화, 복지축소와 승자독식으로 대표되는 신자유주의는 처참히 실패한 이데올로기이며 더는 실현가능하지 않다는 점에서 일종의 사기에 가깝다. 미국과 한국의 우파들은 작은 정부를 표방하지만 실제론 큰 정부를 지향하면서 국가를 사적 비즈니스의 하위 파트너로 삼는다. 말과 행동이 극적으로 다르지만 보통 사람들은 알아차리기 어려운 트릭이 숨어 있다. (13~14 페이지)


저자는 머리말의 끝부분에서 랄프 왈도 에머슨의 다음 말을 인용한다: "우리가 굴복하지 않는 한 모든 악은 우리에게 도움이 된다." 현재가 힘든 사람들이 다잡고 버틸 문구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고 다시 세계 정상에 섰다. 모처럼 기분 좋은 소식이다. 신진서 9단의 응씨배 우승을 축하한다!!


관련기사: https://v.daum.net/v/20230823182851198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lueyonder 2023-08-30 11: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진서 9단 전화 인터뷰: https://v.daum.net/v/20230825000211906

blueyonder 2023-08-30 1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진서 9단의 또다른 인터뷰: https://v.daum.net/v/20230824153144300
 
번역은 연애와 같아서 - 번역을 하고 가르치고 공부하며 사는 날들
이상원 지음 / 황소자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통번역으로 박사학위를 한 전문번역가의 번역에 대한 애정이 느껴지는 책. 저자가 원래 러시아어를 전공했는데 영어 번역이 가능한가, 전문분야 없이 번역하는 분야를 공부하며 번역하는 것의 한계는 없는가 등의 의문이 생긴다. 번역가의 애로와 편집자의 역할을 좀 더 잘 알게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Bombing War : Europe, 1939-1945 (Paperback)
Overy, Richard / Penguin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차 세계대전에는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전쟁이 전개됐는데, 그 중 가장 특기할 만한 것이 바로 '전략폭격(strategic bombing)'이다. 최근 개봉한 영화 <오펜하이머>에도 그 한 예가 나오는데 일본의 두 도시에 가해진 원자폭탄 투하이다. 일본에서는 단 두 발의 원폭 투하로 인해 약 20만명이 사망했다고 하며, 이 책의 주요 주제인 유럽에서의 전략폭격은 5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낳았다. 사망자의 대부분은 민간인이었다. 이 책은 어떻게 이러한 비인간적인 전략을 영미 양국이 실행했는지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으로 살펴본다. 


2차대전 초기(1940~41년)에는 독일 공군이 영국 도시들을 폭격했지만, 1943년에 들어서면서 영미 양국 공군은 독일의 영국 폭격을 압도하는 규모로 독일 점령지역과 독일 본토를 무자비하게 폭격했다. 전략폭격은 전선에서의 육군(또는 해군)을 지원하는 전술폭격과 대비되는데, 장거리 폭격기를 이용하여 적국 깊숙이 가서 적의 전쟁수행과 연관된 모든 것을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든 것'에는 방위산업체에서 일하는 민간인들도 포함된다. 영국은 야간폭격을 통해 그냥 도시의 중심부에 무차별적으로 폭탄을 퍼부었으며, 미국은 항공기 공장이나 정유 시설 등에 주간폭격을 통해 좀 더 정확히 폭격을 가하려고 했다. 하지만 높은 고도에서 실행되는 전략폭격은 그 정확도가 형편없어서 목표물보다는 그 주변의 민간인에게 더 큰 피해를 입혔다. 


전간기에 영미 양국은 전략폭격의 이론을 가다듬었는데, 전략폭격을 통해 적국의 전쟁수행 의지를 꺾어 전쟁을 빨리 끝낼 수 있다는 효과까지 기대했다. 하지만 전략폭격은 결국 그 기대에 미치지 못했음을 저자는 보여준다. 폭격으로 인해 발생한 이재민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지원에 더욱 기댈 수밖에 없었으며, 전쟁은 결국 독일 본토의 직접 침공 및 점령으로 끝이 났다. 영미 양국이 전략폭격에 들인 엄청난 인력과 재원으로 차라리 전술폭격과 기존 전쟁 무기에 투자하여 전쟁을 수행했다면, 실제 발생했던 폭격으로 인한 민간인 인명피해 없이 전쟁을 더 빨리 끝낼 수도 있었을 것이다.


전쟁은 결국 전쟁당사자들을 모두 악마화한다. 영국과 미국은 독일과 일본을 악마화했으며 폭격을 당해도 싼 존재로 치부했다. 일본과 독일도 적국에 대해 마찬가지의 태도를 보였다. 결국 전쟁을 일으켰던 독일과 일본은 패배했다. 이 패배의 이면에는 엄청난 인명경시와 민간인 사망이 배경으로 깔려있다. 지금도 전쟁은 지속되고 있다. 보통 전쟁을 시작할 때는 금세 끝낼 수 있으리라 기대하지만 전쟁은 결코 계획한 대로 진행되지 않는다. 언제 세계에서 전쟁이 사라질 수 있을까. 한반도에는 언제 대결이 종식되고 진정한 평화가 찾아올까. 전쟁의 비참함을 알아야만 전쟁을 함부로 입에 담지 않게 된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정의로운 전쟁이란 없으며 오직 비인간적인 인명의 살상만이 있음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해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3-08-18 2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시 이런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미국이 도쿄가 아니라 히로시마에 원폭한 이유가 도쿄에는 재래식 융단 폭격으로 히로시미와 나카사키 죽음보다 더 많은 25만명을 이미 죽여서 더 이상 죽일 사람이 없어서 히로시미로 결정했단 얘길 듣고 경악했습니다. ㅠ

blueyonder 2023-08-19 10:05   좋아요 1 | URL
네 소이탄 공격으로 도쿄의 상당 부분이 이미 잿더미가 됐고 엄청난 사상자가 발생한 상황이었지요. 저도 이런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