羊男のクリスマス (單行本)
무라카미 하루키 / 講談社 / 1985년 11월
평점 :
품절


양사나이는 침울한 기분으로 달력을 바라보았다.크리스마스가 나흘 뒤로 닥쳤는데 약속한 음악은 한 소절도 만들지 못했다.피아노를 칠 수 없는 탁이다. (-9-)

"저주 걸린 탓에 피아노도 못 치고 작곡도 못한다네."(-18-)

"나라고 좋아서 이런 얼굴을 하고, 이런 컴컴한 구덩이 바닥에서 문지기나 하는 줄 알아?젠장." (-36-)

"내가 성 양 어르신이외다." 노인은 싱글거리면서 상냥하게 말했다."그럼 저한테 저주를 건 장본인이시네요? 도대체 왜 그러셨어요? 몹쓸 짓을 저지른 것도 아닌데 이렇게 호되게 골타을 먹다니.몸은 녹초가 다 됐고요.보세요, 마리에는 혹까지 났죠" (-62-)


지극히 하루키스러운 성인 동화이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에세이집을 보면 판타지스러운 세게로 입문하는 듯 느껴질 때가 있다.현실을 도외시하고, 인간의 상상력의 밑바닥은 어디인지 갸늠하기 힘들 정도의 하루키가 추구하는 심연의 세계,그의 키워드가 회자될 정도로 하루키의 소설과 에세이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과 그의 문학 세계에 대한 연구도 덩달아 함께 하고 있다. 또한 그를 표현하게 되는 다양한 키워드 중에서 재즈, 마라톤, 전공투를 빼놓을 수 없으며, 이 책에 등장하는 또다른 키워드 '양'에 주목해 볼 수 있다.


2019년 이제 크리스마스가 지났고, 연말이다.추운 겨울과 대조적으로 크리스마스는 포근함 그 자체였다. 겨울 답지 않은 겨울, 나를 포용하고, 세상의 모든 사람을 안아주는 그러한 너그러움, 누군가에게 용서를 해야 하는 이유, 그것이 동화 속 곳곳에 스며들고 있으며, 하루키스런 동롸로 스토리를 채워나가고 있었다. 책 속에 채워지고 있는 양은 나의 또다른 자아였다.고집스럽괴 외곬수였던 '양'은 음악과 피아노를 잘 만지는 독특한 양이었다.그래서 양에게 크리스마스를 위한 음악이 의뢰가 들어오게 되었다.그러나 양은 아무리 노력을 하여도 작곡을 하지 못하고, 피아노 연주가 힘들었다.버티고 버티지만, 자신이 양으로서 저주에 걸렸다는 말에 좌절하게 되는데, 저주를 풀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말에 솔깃하게 된다. 전형적인 귀가 얇은 양이었다.


양은 저주를 풀기 위해서 삽질을 하게 된다.그리고 그 삽질하는 과정에서 도넛이 등장하고, 왜 삽질을 해야 하는지 정당성을 찾아나가고 있었다. 하루키의 의도는 어쩌면 여기에 있는 건 아닌가 생각해 보게 되었다.인간의 어리석은 모습, 땀을 삐질삐질 흘리지만 양털을 벗을 수 없는 양의 모습은 고집스럽고 ,외골수이면서,어리석은 인간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한 번 옳으면 끝까지 옳다고 생각하는 양의 모습, 그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임무를 채워 나가기 위해서 양은 성실하게 활동하고, 아둥바둥하게 된다. 어리석음과 귀가 얇으면서,저주에 걸린 양의 모습이 어쩌면 , 우물안 개구리와 같은 나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해 보게 되는 독특한 동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羊男のクリスマス (講談社文庫) (文庫)
무라카미 하루키 / 講談社 / 198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사나이는 침울한 기분으로 달력을 바라보았다.크리스마스가 나흘 뒤로 닥쳤는데 약속한 음악은 한 소절도 만들지 못했다.피아노를 칠 수 없는 탁이다. (-9-)

"저주 걸린 탓에 피아노도 못 치고 작곡도 못한다네."(-18-)

"나라고 좋아서 이런 얼굴을 하고, 이런 컴컴한 구덩이 바닥에서 문지기나 하는 줄 알아?젠장." (-36-)

"내가 성 양 어르신이외다." 노인은 싱글거리면서 상냥하게 말했다."그럼 저한테 저주를 건 장본인이시네요? 도대체 왜 그러셨어요? 몹쓸 짓을 저지른 것도 아닌데 이렇게 호되게 골타을 먹다니.몸은 녹초가 다 됐고요.보세요, 마리에는 혹까지 났죠" (-62-)


지극히 하루키스러운 성인 동화이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에세이집을 보면 판타지스러운 세게로 입문하는 듯 느껴질 때가 있다.현실을 도외시하고, 인간의 상상력의 밑바닥은 어디인지 갸늠하기 힘들 정도의 하루키가 추구하는 심연의 세계,그의 키워드가 회자될 정도로 하루키의 소설과 에세이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과 그의 문학 세계에 대한 연구도 덩달아 함께 하고 있다. 또한 그를 표현하게 되는 다양한 키워드 중에서 재즈, 마라톤, 전공투를 빼놓을 수 없으며, 이 책에 등장하는 또다른 키워드 '양'에 주목해 볼 수 있다.


2019년 이제 크리스마스가 지났고, 연말이다.추운 겨울과 대조적으로 크리스마스는 포근함 그 자체였다. 겨울 답지 않은 겨울, 나를 포용하고, 세상의 모든 사람을 안아주는 그러한 너그러움, 누군가에게 용서를 해야 하는 이유, 그것이 동화 속 곳곳에 스며들고 있으며, 하루키스런 동롸로 스토리를 채워나가고 있었다. 책 속에 채워지고 있는 양은 나의 또다른 자아였다.고집스럽괴 외곬수였던 '양'은 음악과 피아노를 잘 만지는 독특한 양이었다.그래서 양에게 크리스마스를 위한 음악이 의뢰가 들어오게 되었다.그러나 양은 아무리 노력을 하여도 작곡을 하지 못하고, 피아노 연주가 힘들었다.버티고 버티지만, 자신이 양으로서 저주에 걸렸다는 말에 좌절하게 되는데, 저주를 풀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말에 솔깃하게 된다. 전형적인 귀가 얇은 양이었다.


양은 저주를 풀기 위해서 삽질을 하게 된다.그리고 그 삽질하는 과정에서 도넛이 등장하고, 왜 삽질을 해야 하는지 정당성을 찾아나가고 있었다. 하루키의 의도는 어쩌면 여기에 있는 건 아닌가 생각해 보게 되었다.인간의 어리석은 모습, 땀을 삐질삐질 흘리지만 양털을 벗을 수 없는 양의 모습은 고집스럽고 ,외골수이면서,어리석은 인간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한 번 옳으면 끝까지 옳다고 생각하는 양의 모습, 그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임무를 채워 나가기 위해서 양은 성실하게 활동하고, 아둥바둥하게 된다. 어리석음과 귀가 얇으면서,저주에 걸린 양의 모습이 어쩌면 , 우물안 개구리와 같은 나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해 보게 되는 독특한 동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 사나이의 크리스마스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이우일 그림, 홍은주 옮김 / 비채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사나이는 침울한 기분으로 달력을 바라보았다.크리스마스가 나흘 뒤로 닥쳤는데 약속한 음악은 한 소절도 만들지 못했다.피아노를 칠 수 없는 탁이다. (-9-)

"저주 걸린 탓에 피아노도 못 치고 작곡도 못한다네."(-18-)

"나라고 좋아서 이런 얼굴을 하고, 이런 컴컴한 구덩이 바닥에서 문지기나 하는 줄 알아?젠장." (-36-)

"내가 성 양 어르신이외다." 노인은 싱글거리면서 상냥하게 말했다."그럼 저한테 저주를 건 장본인이시네요? 도대체 왜 그러셨어요? 몹쓸 짓을 저지른 것도 아닌데 이렇게 호되게 골타을 먹다니.몸은 녹초가 다 됐고요.보세요, 마리에는 혹까지 났죠" (-62-)


지극히 하루키스러운 성인 동화이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에세이집을 보면 판타지스러운 세게로 입문하는 듯 느껴질 때가 있다.현실을 도외시하고, 인간의 상상력의 밑바닥은 어디인지 갸늠하기 힘들 정도의 하루키가 추구하는 심연의 세계,그의 키워드가 회자될 정도로 하루키의 소설과 에세이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과 그의 문학 세계에 대한 연구도 덩달아 함께 하고 있다. 또한 그를 표현하게 되는 다양한 키워드 중에서 재즈, 마라톤, 전공투를 빼놓을 수 없으며, 이 책에 등장하는 또다른 키워드 '양'에 주목해 볼 수 있다.


2019년 이제 크리스마스가 지났고, 연말이다.추운 겨울과 대조적으로 크리스마스는 포근함 그 자체였다. 겨울 답지 않은 겨울, 나를 포용하고, 세상의 모든 사람을 안아주는 그러한 너그러움, 누군가에게 용서를 해야 하는 이유, 그것이 동화 속 곳곳에 스며들고 있으며, 하루키스런 동롸로 스토리를 채워나가고 있었다. 책 속에 채워지고 있는 양은 나의 또다른 자아였다.고집스럽괴 외곬수였던 '양'은 음악과 피아노를 잘 만지는 독특한 양이었다.그래서 양에게 크리스마스를 위한 음악이 의뢰가 들어오게 되었다.그러나 양은 아무리 노력을 하여도 작곡을 하지 못하고, 피아노 연주가 힘들었다.버티고 버티지만, 자신이 양으로서 저주에 걸렸다는 말에 좌절하게 되는데, 저주를 풀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말에 솔깃하게 된다. 전형적인 귀가 얇은 양이었다.


양은 저주를 풀기 위해서 삽질을 하게 된다.그리고 그 삽질하는 과정에서 도넛이 등장하고, 왜 삽질을 해야 하는지 정당성을 찾아나가고 있었다. 하루키의 의도는 어쩌면 여기에 있는 건 아닌가 생각해 보게 되었다.인간의 어리석은 모습, 땀을 삐질삐질 흘리지만 양털을 벗을 수 없는 양의 모습은 고집스럽고 ,외골수이면서,어리석은 인간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한 번 옳으면 끝까지 옳다고 생각하는 양의 모습, 그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임무를 채워 나가기 위해서 양은 성실하게 활동하고, 아둥바둥하게 된다. 어리석음과 귀가 얇으면서,저주에 걸린 양의 모습이 어쩌면 , 우물안 개구리와 같은 나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해 보게 되는 독특한 동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팡팡 코딩교실 with 엔트리 - 엔트리 기초부터 프로젝트 제작까지 단계별 학습
(주)맘이랜서 맘잡고네트워크Ⅰ3CT코딩강사 지음 / 성안당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야흐로 우리 앞에 제4차 산업혁명과 거기에 발맞춰 기술의 변화가 현실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이에 대해 피부로 느끼면서 살아가고 있다.그 변화의 물결 속에서 과거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큰 변화를 겪어왔던 기성세대는 컴퓨터에서 모바일로 반화는 그 과도기 속에서 미래에 대한 고민과 걱정은 현실이 되어졌다.모바일이 익숙하지 않은 부모 세대와 태어나면서, 모바일이 삶과 일치하는 아이들의 생각과 사고방식은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그 과정에서 우리의 고민들에 대한 깊은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즉 교육이 바뀌어야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발맞춰 우리 스스로 움직이게 되는 거이다.


그러나 기성세대는 컴퓨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그것은 내 아이의 교육에 있어서 큰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고, 적응하지 못하는 이유가 되는 것이다.그 대안으로 나타난 것이 코딩 교육이며, 스크레치, 엔트리가 그 대안으로 등장하게 된다. 코딩 교육의 근간이 되는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는 어떤 원리를 추구하고 있는지 아이들의 눈높이에 따라가 보고자 하였다. 이 책은 C/C++,자바,파이썬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보면 변수와 상수, 반복문과 제어문이 나오고 있으며, 이동과 좌표 계산 더 나아가 사물의 회전 등등 실제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의 코딩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초등학교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코딩교육의 목적은 분명하게 찾아나가게 되는 것이다.엔트리를 활용한 코딩 교육에서 오브젝트가 나오고, 그 오브젝트에 다양한 이벤트를 부여하고, 명령하고, 같은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 조건문과 제어문이 같이 병행해서, 하나의 큰 틀이 되는 순서도를 만드는 이유는 그것이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 코딩의 큰 골격이 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셰프 서유구의 꽃음식 이야기 임원경제지 전통음식 복원 및 현대화 시리즈 5
서유구 외 지음 / 자연경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꽃과 음식,무언가 현대인의 정서상 어색한 조화였다.하지만 환갑을 넘은 분들의 정서 속에는 꽃을 음식으로 만들었던 삶의 경험과 지혜가 녹아있었다. 시골길에 가면, 꽃을 따서 달콤한 꿀을 빨아 먹었던 기억이 누구나 가지고 있으며, 길을 걸어가면 다양한 꽃들이 우리를 반겨주고 있다. 단지 현대인들에게 꽃은 먹는 음식이 아닌 선물하고, 관상용으로 보는 하나의 비주얼적인 요소들이 많았다.


시대의 흐름, 왜 우리는 이렇게 변했을까에 대해 의문을 품어 보게 된다. 우리는 어릴 적 배가 고팠고, 쫄쫄 굶으면서 살아온 것이 대부분이었다.시골 농촌에는 변변치 않은 간식들, 콩과 팥을 튀겨서, 때로는 뻥튀기를 만들거나 강정으로 만드는 것이 대부분이었고,그것마저도 일년에 두번 큰 명절이나 가능하였다. 그래서 그들이 간식으로 선택한 것이 시골길 지천에 널려 있는 꽃이었다.입이 심심하면, 꽃에 자꾸만 손이 가게 되었다. 현대인들은 배고픔에서 벗어나면서 우리는 이제 꽃이 먹거리에서 관상용으로 바뀌게 된 것이며, 꽃을 따서 먹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말할 수 있다.더군다나 도심의 매연과 나쁜 공기들, 농약에 찌들어 있는 꽃과 식물들을 쉽게 따 먹는 것이 사실 조심스러운 부분이다.


하지만 도시을 벗어나 산과 가까운 곳으로 가면, 여전히 다양한 꽃들과 함께 하고 있었다.나의 지인도 소백산 밑자락에 야생화를 키우면서, 그 야생화를 선물이나 관상 또는 먹거리로 적극활용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꽃을 활용하여 강정을 만들수 있고.,강원도의 시골에 가면 많이 보이는 전병을 먹게 되며, 일상적으로 우리가 먹는 음식에 꽃의 아름다움을 가미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의 생활과 가까운 곳에는 언제나 꽃이 있었고, 냉장고와 세탁기가 없었던 시대에 꽃을 먹거리로, 자연 속에서 술을 담가 먹었고, 차를 마셔왔었다.떡에 꽃이 들어가는 것은 그들의 삶과 조금이나마 일치하는 삶을 가져 보게 된다.즉 우리 스스로 자연과 가까운 삶을 살아가게 된다. 발효를 시켜서 식초를 먹었으며, 우리가 즐겨 먹는 김치에도 꽃은 들어가게 된다. 고기와 꽃을 곁들여 먹는다면, 고기의 맛과 향은 배가 되며, 우리는 그 과정에서 고기을 먹으면서 내 몸의 독소를 제가하면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 책에는 바로 그런 우리의 일상 속에 작은 소소한 행복을 얻을 수 있는 지혜가 담겨져 있다.꽃을 활용하여, 데치고,절이고, 찧고,지지고, 끼얹고, 담그고, 말리고, 졸이고, 훈연하여 우리의 삶과 동거동락하는 꽃을 우리의 먹거리와 일치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영정조 임금때 살았던 조선의 셰프 서유구의 이상에 가까워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