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론 - 바티칸의 금서 돋을새김 푸른책장 시리즈 4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권혁 옮김 / 돋을새김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아마 20여 년 전에 이미 읽었을지도 모릅니다.

이번에는 내 돈을 주고 사서 읽은 것입니다.

일단 군주론 중에서 싸다고 생각되어 이 출판사 것을 골랐었는데, 아래에 어떤 분이 쓰신 것처럼 본문 내용 중 이상한 부분이 종종 보였습니다. 번역하신 분(또는 편집하신 분)이 뭔가 잘못하지 않았을까요......

각설하고, 이 책의 내용은 현재의 시점에서 보았을 때는 아주 자연스러워 보이는 내용이 대부분입니다. 수많은 처세서나 지혜서(?) 등에서 유사한 내용을 수없이 접해왔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이 책의 내용을 그들이 옮긴 것인지도 모르죠.

당연한 한 사실에 대하여 사람은 자주 서로 상반된, 아니 더 복잡하게 바라보는 시선으로 평가하곤 합니다. 비근한 예로 정치판에서 여-야당의 갈등을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사람은 자신과 유사하기 때문에 동조하고 또 자신과 유사하기 때문에 배척하기도 합니다.

마키아벨리도 다른 사람과 다를 바 없이 자신의 경험(이라고 부르는 개개인의 고유한 의사결정 구조)으로 당시의 세계를 조망하고 또 다른 리뷰어가 쓰신 것처럼 자신이 거기에 끼어들기를 염원하는 소망을 담아 이 글을 작성하였을 것입니다. 우리가 이러한 책을 읽는 것은 마키아벨리를 닮기 위해서나 신봉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 세상에서 고유한) 자신의 경험세계를 확장하기 위해서이므로 내용 자체에 연연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한가지 궁금한 것은 과연 이 내용이 수백년 동안이나 금서로 취급될 만한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솔직히 말해서 내용 대부분은 (마키아벨리가 살았던) 현실을 그대로 옮긴 것에 불과합니다. 아마도 그러한 사실이 있었다면, 종교집단의 경직성으로 인하여 사후 조치가 늦어졌거나 (또는 필요성이 없었거나), 지나친 처분을 철회하기 힘들어서가 아닐까라고 상상해 봅니다.
 

(08년 2월 26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것도 염려하지 않는 믿음
토니 에반스 지음, 이은영 옮김 / 디모데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어디선가 소개를 보고 산 책인데 받아든 순간 '너무 얇다'라는 느낌 때문에 그만.... 대신 겉장이 두껍습니다. 앞뒤를 합하면 내용과 맞먹을 정도입니다.

내용은 간결하고 좋습니다.

인상 깊은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좀더 솔직하게 말해보자. 걱정한다는 것은 이런 말과 똑같다. "하나님, 당신이 우리의 필요를 채워준다고 약속하시는 건 거짓말이에요. 당신은 사실 좋은 아버지가 아닌 게 분명해요. 당신이 말씀하신 대로 행하신다는 걸 저는 믿을 수 없거든요" 가슴이 두근거리는 불안감과 강한 믿음은 한 마음속에 공존할 수 없다. 둘 중 하나가 이길 수밖에 없다. ]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책이었습니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요즘 제가 든든한 바닥을 딛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시기라서 직장에서 읽었기 때문에 더 깊이 음미하면서 읽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언젠가 다시 볼 때가 올 것이고 그 때에는 또 다른 느낌이 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리스천 부자백서 - 성실한 자의 형통 신실한 자의 축복
토머스 앤더슨 지음, 이건 옮김 / 두란노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아마 생명의 삶에 나온 광고를 보고 산 책일 것입니다.

다른 책과 함께 구입후 여러권의 책 중에서 이것을 조금 있다가 손에 들게 되었습니다. 제목이 속물(?)처럼 보이게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였을까요?

처음에는 진도가 안나가더군요.

반쯤 읽자 이해가 되면서 편하게 다 읽을 수 있었습니다.

아내에게 책을 줬는데, 역시 초반에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처음에는 그냥 한번 읽고 다시 천천히 읽는 게 이 책에는 맞을 것 같습니다.

다음에 한번 더 읽고 이 글을 수정해야 한다면 수정할 참입니다.
 

(08년 1월 31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세의 지혜 - 르네상스 시대 처세의 달인 귀차르디니가 들려주는
프란체스코 귀치아르디니 지음, 김대웅 옮김 / 노브16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군주론에 붙어서 소개된 책이라 사서 읽게 되었다.

내용이 나쁘지 않았기에 그리고 예로부터 책의 가치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에 섣불리 말하기는 어렵지만 정가를 내용과 비교한다면 비싼 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 구입하였지만 배달된 책은 초판 2쇄로 06년 11월 8일 인쇄된 것으로 나와 있었다.

그런데, 31페이지에서 43과 44 대신 42와 48을 보는 순간 나도 모르게 허걱!하고 말았다.

내용 자체는 그리 나쁘지 않았다. 많은 책에서 보아왔거나 평소에 알고 있던 것과 큰 차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큰 판형을 선택했을 때의 썰렁함을 막기 위한 작은 판형과 내용을 보고 있자니 앞에서 언급한 편집 실수가 자꾸 생각되었다.

내용에 있어서는 중복 등을 재편집하였다고 하였지만 그래도 반복을 피할 수는 없었고, 몇 개의 **론이 과연 적절한 분류인지도 의심이 된다.

하지만 내용 자체는 한번 쯤 읽을 만하다고 생각한다. 

(07년 12월 12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권력의 조건
도리스 컨스 굿윈 지음, 이수연 옮김 / 21세기북스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표지에 붙은 설명이 '라이벌까지 끌어안은 링컨의 포용 리더십'이었기에 책을 선택하였었다.

그런데 책을 읽으면서 과연 이 제목이 옳은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전당대회에서 대치하게 된 주요 라이벌 4명(슈어드, 베이츠, 체이스 그리고 링컨)의 어린 시절과 간략한 성장시절 등이 나열된 초반부터 책은 전형적인 횡설수설처럼 보였다.

읽으면 읽을수록 4명의 라이벌이 아니라 1-2명의 대선주자와 형세를 착각중인 다른 사람들에 대한 글처럼 보였고, 국토가 넓은 나라의 고질병인 분파주의 속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사건들을 기록(주로 편지 그리고 메모)을 통해 재현하는 것처럼 보였다.

글쓴이가 편향된 글솜씨를 보였든지 아니면 독자를 설득하는데 실패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링컨의 조정력이 간간이 내비치는 것은 인정한다. 그리고 당시의 미국이 독립(1776년)한지 80여 년밖에 안된 나라이고 우리가 아는 지금의 조직과는 판이하게 다른 것을 감안하여 볼 때 그러한 군중(시민 및 정치인)들의 행보가 당연하리라고도 생각된다.

나를 당혹하게 만든 것은 번역자의 실수인지 편집상의 실수인지 모르지만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오역(또는 오자)이였다. 원문을 보지 않아도 드러나는 명백한 잘못은 책에 대한 집중도를 떨어뜨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상황을 접할 수 있는 자료로써는 그 존재가치가 인정될 것 같다. 

(07년 12월 12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