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7년의 사진. 14세의 아도르노. 사진 찾아보면 파일명이 "adorno as a kid." 

전기에서 이 사진 조금 상세하게 얘기한다. "이사진에서 그의 눈과 코, 진지하고 예민한 소년의 얼굴이다. 세계는 나에게 무엇을 줄 것인가, 그의 눈은 묻는 듯하다. (....)" 사진이 그의 가장 잘 나온 사진 같. 이 사진 이후 그는 역변............. 


그는 극히 음악적 환경에서 성장했다. 

그의 어머니, 그리고 어머니의 여동생(언니가 결혼하면서 따라와서 가족이 된), 이모도 

성악가(... 라니 좀 이상하게 들림), 오페라 가수였고 음악을 깊이 사랑했다. 그의 집에 손님들이 오면 작은 연주회, 공연이 열리곤 했다. 어린 시절 그의 집엔 연주회를 열 수 있는 큰 방과 가운데에 피아노를 둔 음악실이 있었다. 두껍게 장정된 악보들이 있었고 그 악보들로 모차르트 곡들을 처음 쳐보기도 했던 그는, 모차르트의 어떤 곡들은 이때 그 아이의 그 호기심과 매혹, 열정으로 연주되어야 하는 곡일 것이다 같은 감정을 오래 갖게 된다. 이 시절에 대해 "밤에 자다 잠이 깨면 아래 층의 피아노에서 베토벤 소나타가 들려오곤 했다" 같은 회고를 그는 남기게 된다. 


여러 얘기들이 있는데 무엇보다 "자다 깨면 베토벤 소나타가 들려왔다" 여기 

아........ 하지 않을 수 없다. 베토벤 소나타, 유튜브에서 음대 입시로 치는 버전이나 심지어는 예고 입시로 친 버전도 듣고 있는 게 고통이 아니던데요. (클덕에게는 극히 고통일수도. 막귀에게는, 리히테르나 굴드나 등이 치는 것과 좀 다르긴 하지만 이것도 아름다운데? 들을 수 있어! 여러 번은 아니더라도)  




한국에서 부유했던 이들이 남긴 (부유하다는 건 이런 것이다) 삶의 회고는 무엇이 있나. 갑자기 진지하게 알고 싶어진다. 그런 회고는 별로 없는 거 같은데, 별로 없는 게 맞다면 왜? 논픽션으로 기억나는 건 없고 픽션으로 본 건 난쏘공, "젊은 느티나무" 정도. 부유한 삶만이 아니고 중간 계급의 삶, 빈곤한 삶, 한국에서 있었던 모든 삶들의 회고를. (이 포스팅도 "회고록 씁시다" 포스팅으로.....) 


음악학을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연주할 수 없다면 들을 수 없다"는 게 당연하다고 한다. 

응? 피아니스트가 호른을 연주하지는 않잖아, 그러면 호른 연주에 대해 피아니스트는 판단할 수 없다는 뜻인가? 그건 말이 안되는 거 아닌가? (....) 했는데, 그러니까 이 말은 피아니스트라면 피아노, 호른 연주자라면 호른, 에 대하여 그렇다는 뜻인 듯.  


아닌가? ;;;; If you cannot perform, you cannot hear. 이런 문장이었다. 

그런데 어쨌든 음악은 연주자로 살려 해도 그렇겠지만 음악학자인 경우에도 

음악이 풍요했던 어린 시절이 꼭 필요한 게 아닌가 싶어지고, 연주자나 음악학자까지 가지 않고 아도르노의 음악학 책들을 읽기 위해서도 그게 꼭 필요한 것 같은데, 음악이 풍요했던 어린 시절, 이것도 아주 많은 회고들로 들어보고 싶어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Joule 2022-04-11 10: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의 좋아요는 저 아름답고 섬세한 소년이에요.

몰리 2022-04-11 11:40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 왜 웃기죠 빵터짐. 소년 아도르노, 어서와.
 



아도르노의 이 전기, 분량 압박 만만찮은 책이다. 

세워두면 책 등 폭이 주변 책들에 비해 압도적이고 야 저거 비쌌겠다, 비싼 책 맞지, 이러게 됨.  


<미학이론> 다 읽어가는데 (몇 년 전에 몇 년 걸려서, 하루 몇 줄 분량 매일 읽기로, 읽은 적이 있지만 아무리 읽어도 처음 읽는 것이라) 너무 어렵고 고달플 때 잠시 피신 용도로 이것도 꺼내 놓음. <미학이론> 읽다가 이걸 읽으면, 학교 끝나고 집에 온 느낌? 집에 온 느낌이 아주 홀가분하고 행복할 때의 그 집에 온 느낌? 격한 운동 끝난 느낌? 


이 전기는 아도르노의 부친 쪽 계보, 모친 쪽 계보에서 시작한다. 

아도르노 강의록을 보면, 편집자 주석에 "이 문장은 아도르노가 줄 그은 문장"이라든가 "이 문장 옆에 아도르노는 중요하다는 표시를 했다" 같은 내용이 계속 등장한다. (강의 준비 하면서 강의록을 타이프한 원고로 만들고 그것을 아도르노 자신 참고 자료로 썼다고 한다). 그런 것까지, 어디까지 알아야 더 알 것이 없어지는 겁니까. 이보다 더 미세한 세부를 주어 보세요. 하게 되는 내용. 부친 계보, 모친 계보에도 비슷한 반응. 


프랑크푸르트, 그의 어린 시절 집. 당시 독일 upper-middle class의 삶의 표준의 완벽한 표현 같은 집이라는 그의 어린 시절 집. 넓고 안락했던 집. 집 뒤엔 정원이 있었고 어린 시절의 아도르노는 여기서 놀면서 상상력을 자유로이 발산했다는 대목이 있는데 (.....) 아 정말, 오직 어린이만 알 수 있는 정원의 마법. 어른이 되어 아무리 그걸 되찾으려 해도 그 시절 같이는 안되는. 




아도르노 읽기에서 많은 도움이 된 훌롯-켄터의 말이 있는데 

"그의 어떤 문장이든 표면 아래에 (그 표면을 벗기면) 신학이 있다" 이런 말. 그리고 ""진리 내용"이라는 구절로 그가 가리키는 건 대개는 "희망"이다" 이 말. 


신자가 아니고 거의 무신론자인데 끈질기게 신학적인 사유. 

.............. 이런 것에도 "국내 도입 시급"을 외치고 싶어진다. 

아이가 저런 사유 하는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하지 않겠는지요. ㅎㅎㅎㅎ;;; 다소곳하게 -는지요. 아휴.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2-04-10 12: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4-10 13: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라로 2022-04-11 15: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바로 위의 소년이었을 때 사진을 보고 이 사진을 보니까,,,

몰리 2022-04-11 16:58   좋아요 0 | URL
소년은 쉽게 늙는데
학문을 .......... 무한히 이루신 아도르노님. ;;;;;;;
 

Verso Books on Twitter:





어제 조국 딸 부산대 고려대 입학 취소 뉴스 보고 나서 

어이가 없다가, 점점 더 어이가 없어지고, 나가서 맥주 사와서 마셨다. 

그리고 아래 회고록 씁시다 연달아 포스팅을 함. 오늘 멀리 나갈 일이 있었는데 지하철 타는 게 한 반년만인 거 같았고 처음 얼마 동안 낯설었다. 전생 같았다, 지하철 타던 시절이. 낮에 20도 정도 되니까 더웠고 땀이 나서 스카프가 축축해졌다. 조금 전 집에 돌아와서, 여름에 그러듯이 바로 샤워부터 했는데 그러니까 여름이 초근접. 아주 가까운 미래가 되었군요, 여름. 이렇게 이 해도 갑자기 다 가가는 느낌입니다. ;;;; 훅 가 버릴 이 해. 



이 포스팅도 "회고록 씁시다" 포스팅이 되게 하고 싶어진다. 

회고록을 쓰지 않아도, 회고록을 쓴다는 것에 대해 이미 무궁무진하게 할 수 있는 얘기들이 있지 않은가. 조국이 개천용을 바라지 말고, 가재 붕어... 이 얘기 했을 때 그게 한국의 정신적 풍토, 복잡하고 길게 말하면 듣지(들리지) 않는다, 이 풍토에서 성장한 사람이 하는 거두절미 화법 같은 거 아니었나, 생각했었다. 영어권 지식인이면 저렇게 말하지 않지. 저렇게 말할 수 없지. 길고 섬세하게 정확하게 풍요하게 말했겠지. 생산적인 논쟁이 일어날 수 있게 말했겠지. 잘 말해야 한다는 문화적, 사회적 요구가 있다면 계급의 배반도 일어나게 되어 있........  


길고 섬세하게 정확하게 풍요하게. 이것의 끝판왕이 아도르노이기도 하다. 그래서 그의 책들을 읽고 있으면, 바로 이것이 내가 그 안에서 성장했다면 좋았을 그 세계다... 이런 느낌 든다. 내게 한 번도 주어진 적 없는 그 세계. 잘 말하고 잘 이해하려는 노력이 당연한 세계. 한국에서 성장함이란 너나 없이 정신의 훼손의 역사... 그 역사를 다시 보게 하는 세계. 


그래서 우리는 회고록을 써야 하겠는데 말입니다. 

한국에서 성장함은 정신의 훼손 등등...... 그냥 말하면 욕먹고 인생 꼬이고 할 여러 주제 여러 말들을 회고록 안에서는 아름답게 할 수 있을 것만 같아지는 이 어떤 낙관주의. ㅎㅎㅎㅎㅎ 그렇습니다 우리는 쓸 것입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Joule 2022-04-08 16: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여름과 맥주의 조합은 이제 저에게 어느 여름에 몰리 님이 하신 말씀을 생각나게 해요.

˝여름은 맥주 맛을 착각하게 하는 계절. 시원하고 맛있고 인생이 갑자기 선명해지고 맥주의 힘이 있다고 믿게 된다˝던.

엄청 근사하죠!

몰리 2022-04-08 17:18   좋아요 0 | URL
아 그 여름 기억하게 됩니다. Stand by me 매일 보던 여름이기도 했어요. 하늘은 파랗고 아침은 시원하던 여름.

2022-04-11 15: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4-11 16: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4-11 19: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György




루카치. 담배 피다 죽어버려라 느낌 사진. 

너 지금도 담배 피우니? 이런 나를 보고도 피워? 너라도 살아 나가야 하지 않겠.  


"전성기 혁명적 부르주아지는 자기 계급의 이득을 위한 격한 투쟁을 수행했다.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동원되었고 문학도 예외가 아니었다. 기사도의 잔재를 보편적 조롱의 대상이 되게 한 작품이 무엇인가?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다. <돈키호테>는 봉건주의와 귀족에 맞선 부르주아의 전쟁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를 제공했다. 지금 프롤레타리아트에게 그들의 세르반테스가 필요하다. 지금 프롤레타리아트에게 그 무기가 필요하다." 


저런 걸 전심으로 생각했던 사람. 



아도르노는 루카치도 자주 인용한다. 부정적으로 인용할 때가 더 많지만 

"초기 루카치에게..." "심지어 후기 루카치도..."로 시작하면서 긍정적으로 그와 같은 편에 서면서 

말할 때도 많다. 부정적으로 말할 때에도, 이걸 어찌 표현해야 잘 표현하는 게 될지 모르겠지만, 한국에서 성장한 나같은 독자에게는 낯설게 보이는, 그에 맞서 내가 옳음을 아는 나의 의기양양함 같은 것이 조금도 없다. 루카치가, 그의 그 비범한 지성이 당의 압력에 굴복했음, 이것에서 악마적 객관정신을 보고 그 객관정신을 지목하는 것이 다다. 




우리는 어떻게 성장했는지. 무엇이 우리를 압박했는지. (.....) 등등. 등등. 등등. 

.................. 하튼 그래서, 다시 한 번 적습니다, 우리는 모두 회고록 저자가 되어야 합.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공쟝쟝 2022-04-08 12:4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니다! ㅋㅋ
 

Episode 153: Richard Rorty: There Is No Mind-Body Problem | The Partially  Examined Life Philosophy Podcast | A Philosophy Podcast and Blog




90년대 초인가 남미 어디서 열린 학회에 초청 받았던 리처드 로티가 

남미 철학자들이 추구하던 해방, 해방의 이론을 줄 철학에 대한 기대, 이런 것에 아무 망설임 없이 찬물을 끼얹은 적이 있다고 한다. 딱 잘라 말했다는 것이다. 당신들이 처한 처지에서 철학에 그런 기대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북미 출신으로 나는 그 기대가 틀린 기대라고 말해야 한다. 그런 기대가 옳으려면 진리와 주체를 정초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정초할 수 없다. 과거에 철학으로 그런 것들을 할 수 있었다. 이제는 아니다... 


대강 저런 말. 남미 철학자들은 그 순간 로티를 증오했다고. 



아도르노 책들을 보면 어느 페이지에나 진리와 주체의 정초가 있다. 

ㅎㅎㅎㅎㅎㅎㅎ 그렇. 아도르노 1903년생. 로티는 31년생. 거의 한 세대 차이. 아도르노 시대에는 그럴 수 있었고 로티 시대에는 (70년대부터 90년대까지?) 그럴 수 없게 된 걸로 여길 수도 있겠지만, 로티의 79년에 나온 <철학과 자연의 거울>과 그보다 거의 30년 전 <계몽의 변증법> 중 지금 어느 쪽이 더 나이든 (허약해진) 것으로 보이는가, 생각하면 여기서 세대 차이는 급 무의미해지는. 로티 철학의 무엇이 진리이고 비진리인가. 이걸 아주 잘 보여주는 철학자가 아도르노이기도 하다. 두 사람이 공히 생각한 주제들이 있는데, 아도르노가 아주 더 급진적이고 멀리 깊이 보았다.   


<랭스로 되돌아가다> 아직 조금밖에 못 읽었지만 

이 시대를 위한 좌파 사유... 이 요청이 담겨 있는 책으로 보이기도 하는데 

이 요청에 아도르노가 줄 수 있는 엄청난 답들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