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artes et Pascal lecteurs de Montaigne: Brunschwicg, Léon:  9782266052368: Amazon.com: Books



데카르트와 파스칼, 몽테뉴의 독자들. 


브렁슈빅은 책도 아주 많이 썼다. 어떻게 이런 책들을, 어떻게 이렇게 많이 썼지. 

수학사, 그리고 물리학사를 다루는 2권의 둘 다 아주 방대한 책도 있다. 

이런 에너지, 이런 생산력의 비결이 무엇인가 알고 말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2차 대전 나치 점령 후 그는 남프랑스로 피난하고 피난 중 44년에 죽는다. 

죽기 1년 전, 수학자이고 수학 철학을 하기도 한 제자에게 편지를 쓴다. 

"너의 연구는 이제 어떻게 펼쳐질까. 이걸 생각하면, 이젠 거의 사라진 욕망이 깨어난다. 다음 생을 살아보아도 좋을 거 같아진다." 그 제자는 그와 (본격적으로 불화한 건 아니지만) 다른 노선이었고 그걸 그에게 알게 하던 제자였다. 



저 편지 내용이 Terzi의 책에서 감동적인 대목이다. 

감동적이다.... 고 할 대목은 저 대목 하나였던 거 같다. 

편지 내용 자체로도 감동적인데, Terzi가 이 편지를 어떻게 읽었을까 (그가 브렁슈빅의 삶과 사유에 대해 어떤 생각을 했을까) 느껴지는 대목이기도 하고, 그 점 역시 감동적.  



바슐라르나 기타 프랑스 저자들 읽을 때 이에 대해 별 생각 없었는데, 브렁슈빅, 그리고 Terzi를 읽으면서는 아니 이렇게 나의 조상들이 죄다 줄줄이 즐비하게 "서구의 정전"인 건 도대체........... 데카르트, 파스칼, 몽테뉴. 이건 도대체 어떻게 체험될 것이며 어떤 이득(?)인 거냐. 어떤 개이득인 거냐. 브렁슈빅이 쓴 것 같은 책들을 후손에게 물려주는 건, 그게 그 후손에게 정말 어떤 개이득 이냔 말이냐. 호흡, 말하기 걷기와 뛰기 살기까지 모두를 후손에게 가르치고, 그리고 부친 살해의 드라마가 펼쳐지게 할 것이다. 지성의 삶에서, 부친 살해의 드라마 없이 성장이 있겠는가. 


전엔 별 생각 없었는데 갑자기 엄청난 '박탈감' ㅎㅎㅎㅎㅎㅎ 듬. 

받아본 적이 없으니 가진 적 없고 박탈된 적도 없는 것이긴 한데, 하여튼 '이 모두가 내게 부정되었다' 이런 느낌. 완전히 부정되었다. 그들이 부럽고, 뭐 이런 건 아닌데, 엎드려서 오래 오래 울어야 할 거 같아지고 그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erzi의 책에 감탄하고 

나는 이제 그냥 맘편히 구석에 찌그러져 있어야지 하다가 

유튜브에서 "고등사범" 찾아보았었다. 사르트르. 뿐이냐. 프랑스 안에서 고등사범이 또 자체 형성한 은하가 있지 않은가. 

지금 그들은 그 유산에 대해 뭐라고 말하고 있을까. 


4분 지점에서 

고등사범 "director"라는 인물이 이런 말을 한다. 

"물론 조레스가 우리 동문이었다. 사르트르도 우리 동문이었다. 

나는 우리 학생들에게 미래를 보라고 말한다. 미래를 보고 너의 실러부스와 너의 과목을 네가 만들라고 말한다. 

너의 연구 프로그램을 네가 만들어라. 그리고 너의 선례를 따라 영광의 길로 가라." 


조레스. 장 조레스. 그 사회주의자 역사가. 

ㅎㅎㅎㅎㅎㅎ 아니 학교 홍보 영상에서 그 조레스가 가장 먼저 언급될 일입니까. 라며 박수쳐드림.

너의 실러부스를 만들어라. 이 말이 이렇게, 하나도 공허하게 들리지 않을 수도 있다니. 

빈말이냐 아니냐는, 역시 역사가 결정하는 것. 



회고록을 완성하고 그게 실제 책으로 나오고 나서 

그리고 그것을 알라딘 선물하기로 보내드리고 나서, 그러고 난 다음에야 서재에 오겠다는 작정이었던 것인데 말입니다. 

..... 그런데 어쨌든 회고록을 ㅎㅎㅎㅎㅎ 복잡하게 서로가 서로에게 모두가 모두에게 보낼 수 있게 합시다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upreme Inequality: The Supreme Court's Fifty-Year Battle for a More Unjust  America by Adam Cohen, Paperback | Barnes & Noble®



미국 대법원의, 50년, 불평등을 위한 투쟁. 



요즘 아침 운동할 때 듣는 건 뉴욕타임즈 서평 팟캐스트다. 

굳이 성향을 분류하라면 사실 "온건" 좌파도 아닐 텐데 정말 한결같이 변함없이 진보적이긴 한 뉴욕타임즈. 

..... 많이 감탄하고 감사하면서 듣는다. 오래 진행해 온 Pamela Paul이 최근 물러나면서 거의 내내 그녀 동료였던 John Williams가 물려받아 진행하게 되었는데 두 사람 다 내 나이 또래이기도 하다. 그래서 세대 공감도 있다. 영어.... 를 사랑하게 만드는 팟캐스트이기도 하다. 얼마 전까지는 이것저것 강의도 듣고 다른 것도 듣고 하다가 이제 이것만 쭉 이어서 듣는다. 하튼 뉴욕타임즈 서평 팟캐스트. 우리가 영어를 해야 하는 이유.... (라고 선전해 보겠습니다). 


저 책은 거기서 듣고 알게 된 책. 

미국 대법원은 닉슨이 그걸 망가뜨린 이래 50년 동안 미국에 불의를 확산하는 일에 적극 기여했다. 

닉슨이 어떻게 미국 대법원을 망가뜨렸나, 여기서 시작하는 책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닉슨에게, 일관되게 보수적 결정을 할 대법관들로 대법원을 채우겠다는 아주 분명한 목표가 있었고 그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그 목표를 실현했다. 


"지금 백악관 주인인 트럼프라는 인물 때문이겠지만 얼마전부터 닉슨이 재평가되고 있지 않은가. 모든게 나빴던 게 아니다, 그가 한 위대한 일들도 있다고 말하는 이들이 있다. 닉슨에게 이렇게 재평가될 면모가 실제로 있는가." 


Pamela Paul이 이런 질문을 하고 

Adam Cohen은 너무도 단호하게 ㅎㅎㅎㅎㅎ 

"없다"고 한다. 


없다. 없다. 없다. 

........... 닉슨이 얼마나 테러블한 인간이고 대통령이었나에 대해 이어서 말하는데 

그의 말에서 알게 되는, 그가 그의 방식으로 해낸 그 투명하고 견고한 이해에 대해 나는 박수쳐주고 싶었다. 



그리고 

한국에서도, 그게 대통령이든 사건이든 정책이든 기관이든 잘못이 있었다면  

투명하고 견고하게, 고발하고 반대하는 책들이 매일 쏟아져. ㅎㅎㅎ 매일 쏟아졌으면 좋겠. 

매일 쏟아지게 

우리가 회고록이라도 써야 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단발머리 2022-06-25 22:1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우리가 영어를 해야 하는 이유’라는 몰리님 문장에 혹해서 팟캐스트 다운로드 완료했습니다. 회고록 운동은 쟝쟝님이 잘 진행하고 있어요 ㅎㅎ

몰리 2022-06-25 22:17   좋아요 2 | URL
뉴욕타임즈 서평 팟캐스트에 정말 미국적 에너지의 정수, 표본 같은 거 있어요. 아도르노가 ㅎㅎㅎㅎㅎ (아도르노, ㅎㅎㅎㅎ 돌아온다, 아도르노로....) 미국은 참 놀라운 나라다, 사회적 개혁의 에너지가 어디서나 넘친다... 이런 말을 했었는데, 그게 무슨 말인지 너무너무 이해되는 것. old world와 대비하여 new world. 아주 보수적인 동네를 가더라도 알 수 있는, 우리의 삶은 달라질 수 있다는 어떤 지향.

아이고... 그런가 하면 매일 총격 사건이 일어나고. ;;;; 암튼 뉴욕타임즈 서평 팟캐스트, 항상 옆에 두도록 해요!
 






올해 상반기에 읽은 책 중에서 가장 좋았던 책이다. 

저자는.... 아직 무명. 신예. Pietro Terzi. 2020년에 프랑스에서 (파리-낭테르) 박사 학위 받았고 박사 학위 논문은 프랑스에서 책으로, 학위 논문의 챕터 하나를 확장하면서 영어로 쓰고 낸 것이 저 책. 


책 표지의 인물, 제목의 "레옹 브렁슈빅"은 

저자의 표현으로는 "잊혀진 철학자." 지금 아무도 모르는, 아무도 관심 없는 이 철학자를 왜 탐구하는가... 투로 도입부에서 몇 번 말한다. 


이름을 "브렁슈빅"으로 읽으면 불어 발음과 비슷은 한가도 모르지만 (그냥 저렇게 내가 부르는 이름으로 정해 둠), 어쨌든 내겐 완전히 생소한 건 아니고 꽤 오래 이름은 알아왔던 철학자인데, 그건 그가 바슐라르의 지도교수였기 때문에. 


지도교수. 지도교수까지 알아야 해? 하다가 이름이 수시로 여기저기서 등장하므로 모를 수가 없게 되고, 이름을 아는 걸로 족하지 않습니까, 두 사람의 관계는 청출어람이 다였겠죠 하다가 그게 다가 아니었음을 알게 되고. 그렇다. 이름만 알아두고 건너 뒬 수가 없는 인물이었다. 그리고 조금씩 찾아보기 시작한 브렁슈빅의 책들은 거의 무슨 (과장하면) 기절초풍. 


여기서는 

그냥 숨만 쉬어도 

내 무덤 파는 삽질이지. 

프랑스에서는 

너 브렁슈빅의 책을 열어라. 

숨만 쉬어도 그것이 정신의 삶이다. 

여기 와서 정신의 삶 살고 가세요~~~ 


저런 느낌이었다. 


저런 느낌이 있었기 때문에 브렁슈빅 연구서, 박사 학위 논문의 챕터 하나를 확장한 책까지 보게 되었던 것인데, 처음엔 별 기대 없었다. 내내 지루하고 아마도 침소봉대하겠지. 학위 논문도 아니고 챕터 하나를 확장한 책이라니. (....) 그런데 얼마나 그것이 틀린 기대였는지. 이 책에도 기절함. 프랑스. 위대한 나라네. 이런 박사가 나오네. 아씨. 나는 때려쳐야지. 이제 미련이 없다, 곧 완전히 미련이 없어질 것이다, 나는 이제 편한 마음이 되어 다 그만두겠다.  



Edge of Objectivity an Essay in the Hist: Gillispie, Charles C: Amazon.com:  Books




<객관성의 칼날> 쓴 길리스피가 프랑스 과학사 주제로 2권 연작을 쓰기도 했다. 

1권은 구체제 시기, 2권은 혁명기와 나폴레옹기. 이 중 2권을 보면 "이 시기 프랑스의 문학과 음악, 미술은 침체했다. 그러나 프랑스의 과학은 자체의 은하를 형성했다. 라브와지에, 라플라스, 라그랑주, 카르노, 퀴비에, 라마르크, 프레넬, 푸리에..... (*목록이 실제로 엄청 김)" 이런 대목이 앞에 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 실제로 깊이 경탄한다는 인상이 든다.  


나는 브렁슈빅과 브렁슈빅을 연구한 Pietro Terzi에게 경탄함. 

"---의 아버지"라는 말에, 실체적인 의미가 있게 되는 일까지 일어났다. 

그는 베르그송과 함께 프랑스 20세기 철학의 아버지였다... 고 말한다면, 20세기 프랑스에서 철학을 한 모두가 그가 먹여준 밥을 먹고 자란 것인 것이다. 매일 매일. 은 아니라면 어쨌든 중요한 어느 시기, 어느 날들에. 그가 그들을 위해 put food on the table 한 것이다. 


우리에게 아버지가 있었는가. 

"아버지 없이 자랐다" 이건 지성의 삶에서는 정말이지 극히 실제적인 의미로 할 수 있는 말이었던 것이다. 




*아이고. 오랜만에 서재 와서 이런 글 씁니다. 

6월, 12월, 반년간지 성격으로다 ㅎㅎㅎㅎㅎㅎㅎ 포스팅이 있게 되는 거 아닌가 하는 중. 

정규직 아니면서 지속가능한 공부 생활. 이것을 실현시키겠다고 지금 생고생하는 중이지 말입니다. 

회고록도 저 실현에 속하는 것인데, 모두 다들 회고록 쓰자고 촉구하는 포스팅을 잠시 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What is Literature? : Jean-Paul Sartre : 9780415254045



아도르노의 참여 문학론 비판에서 주표적은 루카치, 브레히트, 사르트르였다. 

이 중 루카치에게는 일관되게 비판적이고 (루카치는 초기, 후기로 나뉠 수 있다보니. 초기 루카치를 논의할 때는 상찬을 아끼지 않기도 하지만, 당의 입장에서 프롤레타리아트 미학을 대변하는 후기 루카치에게는 일관되게 비판적), 브레히트와 사르트르는, 그러니까 그들 입장의 "진리"를 지목하고 고평하기도 하면서 그들 입장의 "비진리"를 비판한다.  


이 주제에서 그의 입장을 잘 이해하기는 (물론 그렇겠지만) 쉽지 않다. 사실 아도르노의 참여문학론 비판에 대한 세밀하고 깊이 있는 논의를 나는 아직 못 보았는데, 아직 안 나와 있는 게 맞다면, 좋은 논문 주제가 될 거라 생각한다. 루카치, 브레히트, 사르트르를 어느 정도 이해하게 된다면 내가(나도) 써보고 싶기도 하다. 

 

그가 보기에 참여 문학론의 허위는, 그 논의에 지배계급이 아무 관심도 가질 수 없다는 데 있기도 했다. 그 논의에 지배계급은 눈 하나 깜짝하지 않으며 않을 것이다. 그것은 권력에 어떤 위협도 되지 않는다. 


어느 정도는 위협이지 않았나? 

브레히트와 사르트르가 위협이 아니면, 당신이 옹호하는 카프카, 프루스트, 발레리는 위협인가? (.....) 이러게 되기도 하지만, 그의 저런 관점이 근본적으로 옳다고 생각한다. 저항은 어떻게 힘을 갖는가, 어떻게 실체적이 되는가.  



<계몽의 변증법>에서 놀라운 문장 하나가 이것이다. 

"부르주아지는 편파적이면서 동시에 보편적이다." 아도르노가 말하는 "부르주아지"는 프랑스 혁명을 이끈 세력을 말하는 걸로 봐도 되는 때가 많다 (프랑스 혁명 = 신흥 계급 부르주아지의 봉건질서 타도 혁명, 이 확립된 관점에 근거하여). 프랑스 혁명에서 부르주아지는 자기 이득에 충실했지만 그 이득은 보편적 이득이기도 했다. 


지배계급의 도구로 지배계급의 집을 허물 수 있는가? : 이 질문과 그에 대한 답이 저런 이해 안에 있기도 하다. 그 집은 오직 그 도구로만 허물 수 있다... 는 게 아도르노의 입장이었을 것이다. 부르주아지가 자기 계급의 성취를 끝까지 추구하면 자기 계급의 부정을 실현하게 됨.... 이런 입장이었을 것이다. 자유, 평등, 박애를 온전히 끝까지 실천해 봐. 


이것 진짜 그럴 거 같은데, 그런데 한국은? 한국의 지배계급은? 그들의 도구, 그들의 언어는? 

이처럼 벌거벗은 지배도 같은 도구로 허물 수 있겠? 



13 March book releases you'll want to pre-order now | Curated



왼쪽 책. 프랭크 브루니는 뉴욕 타임즈에서 일했고 지금은 듀크 대학 저널리즘 교수라고 한다. 64년생. 2017년 어느 날 아침에 눈을 뜬 그는 한쪽 눈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되는데 별 일 아니겠지 했다가 그 눈을 실명한다. The Beauty of Dusk: On Vision Lost and Found는 이 경험에서 출발하는 회고록. 그는 회고록 장르에 회의적이었다. 나라는 인간이 무엇이 대단하여 다른 사람의 삶에서 적어도 5-6시간을 나의 삶에 대해 읽어보라고 요구할 수 있는가.... 그럴 수 없다, 고 생각해 왔다고 한다. 그러나 이 입장이 바뀜. 그리고 지금 듀크 대학에서는 "자전적 글쓰기" 주제의 강의도 하고 있다. 


형식으로서 회고록이 극히 생산적일 수 있는 건 이것 안에 무엇이든 넣을 수 있기 때문 아닌가. 사회 비판(비평), 이것이 강력히 들어갈 수도 있다. 사실 아도르노의 <미니마 모랄리아>가 일종의 회고록이기도 하고, 이 책은 사회 비판의 걸작이기도 하다. 각자의 삶에서 극히 제한된 범위를 다룰 수도 있고 제한된 주제를 다룰 수도 있고. 그래서 다시 한 번 이 연쇄 포스터는 지겹든 말든 적습니다. 우리는 모두 회고록 저자가 되어야 합니다. (저는 회고록 쓰러 갔다가 나중에 다시 연쇄 포스팅 하러 오겠.........)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공쟝쟝 2022-04-16 10:3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네네 충성충성! 저는 회고록을 목표삼아 열공하겠습니다! 이 운동의 미래 수혜자로 점찍어주소서!

몰리 2022-04-16 11:21   좋아요 2 | URL
사실 생각해 보면 쓸 것이 너무 많아서 문제이기도 해요. 쓸 것은 많은데 시간이 없다. Too much to write, too little time. 어떻게든 시간 내고 ˝각잡고˝ 쓰는 것에 스스로를 단련시키고, 해서 성사시킵시다.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도 됩시다 ㅎㅎㅎㅎㅎㅎㅎㅎ 아주 독특한 베스트셀러가 됩시다.

공쟝쟝 2022-04-16 11:24   좋아요 2 | URL
오키! 아스케시스! 수련!!! 몰리님두 시간 잘들이셔서 이 벅찬 제안을 성사시켜주십시오!

2022-04-16 11: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4-16 11: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단발머리 2022-04-16 12:0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옆에서 지켜보기만 해도 얼마나 가슴이 콩닥콩닥거리는지…. 충성과 기대와 희망과 하트를 놓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