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400. 치숙 (채만식)

전에도 그렇지만, 이번에 새로 읽을 때 역시 이 조카라는 인물은 전혀 낯설게 보이지 않는다. 그는 이 소설이 나온 1930년대가 아니라 바로 지금 21세기를 살고 있는 인물 같다. 그리고 그의 치숙은 지금도 여전히 우울증과 체념에 찌들어 허름한 방에 누워 (어쩌면 인터넷에 현실 한탄의 글을 끄적이고) 있다. '내지'라는 어휘 대신 '미국'을 넣어보면 이런저런 뉴스에 보였던 사람들의 행동, 원정출산, 위장입학, 등이 연상된다. 이미 그런 치졸한 행태가 8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쌓여왔다. 그럼, 치숙이라는 소설은 뼈아픈 시대 풍자소설이 아니라 영험한 예언 소설이 되는 건가. 대를 이어 지속되는 가치를 칭송하고 힘없는 지식(인이라 자칭하는)을 비난했으니까. 갑갑하다.

 

81/400. 헤밍웨이 위조사건 (조 홀드먼)

유명작가의 사라진 원고를 위조한다는 설정은 김연수 작가의 <꾿빠이 이상>에서 본 적이 있다. 하지만 이 소설은 SF라 시공을 초월하고, 인물의 능력이 한없이 확대되기도 하고, 죽음이 더 비중있게 나온다. 헤밍웨이의 충실한(?) 독자였던 존 베어드가 헤밍웨이의 '존재'와 합일되는 지경에까지 이르는 소설의 첫 문장이 '머지않은 미래'를 향한다는 것이 의미심장하다. 하지만 존 베어드가 사기꾼 캐슬과 결탁하는 과정이 너무 쉽게(혹은 허술하게) 그려지고 존의 아내의 성격도 작위적으로 오락가락한다. 소설이 이 거대한 플롯을 담기에는 너무 짧아서일까. 그래도 우주가 교차되어 새로 만나는 인물들이 달라져 있는 것은 흥미로웠다. (여기서 1Q84를 떠올린 건 흐뭇한 경험) 그덕에 이 짧은 소설의 중반부가 가장 재미있다. 하지만 클라이막스인 '그가 나고, 내가 그'인 순간과 영혼의 되감기 장면은 투박하기 이를 데 없다. SF 설정을 다 믿고 따라갈 준비가 되있던 독자를 이렇게 못 끌어당기다니, 안타깝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2-10 11: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2-10 16: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78/400. 요술 손가락 (로알드 달)
동물사랑과 역지사지를 가르치는 동화책이랄까... 주인공 여덟살 여자아이 ˝나˝는 분노의 손가락을 휘두르는데 그후 사태는 당사자만이 (손가락 주인이 아니라) 해결할 수 있다. 조금 잔인한 설정은 마틸다에서도 봤었기 때문에 놀랍지는 않다. 펜틴 블레이크의 그림이 정겹다.

79/400. 바냐 삼촌 (체호프)
...그래도 어쩌겠어요. 살아야지!
마흔 일곱 노총각 바냐 삼촌을 끌어안고 ˝안 예쁜˝ 조카 소냐는 울먹인다. 씁쓸한 인생을 웃프게 그린 희곡.

아스트로프: 여자가 남자와 친구가 되는 데는 딱 한 가지 순서 밖에 없거든 - 처음에는 그냥 아는 사람, 그러다가 애인, 그다음에 가서야 비로소 친구지. (바냐 삼촌, 제2막)

보이니츠키: 우리 늙은 어머니는 아직도 여성 해방에 대해서 혀 짧은 소리로 열변을 토하시지. 한쪽 눈은 무덤을 보고 있는데, 다른 한 눈은 자신의 심오한 책들 속에서 새로운 세상의 여명을 찾고 있다네. (바냐 삼촌, 제1막)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5-02-09 0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데 희곡은 읽기 안 쉬울 것 겉은데 다 읽으셨어요??^^

유부만두 2015-02-09 07:04   좋아요 0 | URL
연극장면을 상상하면서 읽으면 재밌어요.
그런데 러시아 이름 부르는 방법이 여러가지라 계속 이게 누구더라, 하면서 읽어요;;; 전체 실린 네 편 중 이제 두 편 읽었는데 다 좋아요. 줄거리는 통속적인데 전개 방법과 대사가 세련되었어요.

유부만두 2015-02-10 07:32   좋아요 0 | URL
인형의 집이 소설이라고 여지껏 생각했어요;;; 저도 희곡 독서 경험이 없어서 아직 어색하죠.
 

77/400. 만년 (다자이 오사무)

김연수 작가와 서경식 선생 글에 인용된 부분만 읽었던 다자이 오사무. 이번에 비블리아 고서당에서 다시 한 번 관심을 갖게 되었다. 단편집이라고 되어있지만 각각의 작품이 서로 엇비슷한 분위기라 소설과 수필의 중간쯤 되는 뭐랄까, 아련한 ... 글이다. 기대하고 읽었던 만큼 실망도 있었고, 중간중간 작가의 갈등을 조금은 알 것도 같았지만, 어렵고 쓸쓸하다. 스물일곱,  치기어린 나이의 젊은이가 쓴 작품이지만 그 깊이가 헤아릴 수 없는 여러 층에 걸쳐져 있달까.

 

정말이지 말은 짧을 수록 좋아. 그것만으로 믿음을 줄 수 있다면. (잎, 13)

 

태어나 처음으로 산수 교과서를 손에 쥐었다. 작고 새까만 표지. 아아, 그 속에 나열된 숫자들이 얼마나 아름답게 눈에 들어왔던가. 소년은 잠시 책을 만지작거리다가 마침내 맨 끝 페이지에 해답이 다 적혀 있음을 발견했다. 소년은 눈썹을 찡그리며 중얼거렸다. "무례한데." (잎, 21-22)

 

뒤에서 누군가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 나는 언제나 뭔가 태도를 꾸미고 있었다. 나의 하나하나 세세한 동작에도, 그는 당혹해서 손바닥을 바라보았다. 그는 귀 뒤를 긁으면서 중얼거렸다와 같이 옆에서 계속 설명구를 달고 있었으므로 내게 문득이라든가 나도 모르게라는 동작은 있을 수 없었다. 다리 위에서의 방심 상태에서 깨어난 뒤 나는 쓸쓸함에 몸을 떨었다. (추억, 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5/400. 아북거, 아북거 (로알드 달)

아랫집 실버 부인을 향한 호피씨의 주도면밀한 구애작전에는 박수를 치겠지만, 애완 거북이 알피를 바꿔치기하는 설정은 영 찜찜하다. 알피를 좋은 새주인과 연결시킨 마지막 장은 그 비난을 피하려는 어설픈 뒷수습으로 보인다. 실버 부인은 결국 그토록 아끼던 거북이 알피가 바뀐 것을 알아채지 못했다. 이렇게 둔하고, 엉터리 주문을 믿을 정도로 아둔한 여인과 결혼을 했으니 호피씨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벌을 받은 셈이다. (책을 읽은 막내 왈, 엄마 이 아줌마는 사기결혼한거네요. 자기 거북이도 잃어버리고.)

 

76/400. 문학의 맛, 소설 속 요리들 (다이나 프라이드)

얼마전 읽은 차유진의 하루키 관련 책을 열면서, 나는 하루키 소설 속 음식을 사진이나 레서피로 만날 기대를 했다. 상상만 하던 소설 속의 식탁을 구체적인 사진이나 설명으로 다시 한 번 보면서, 내가 좋아하는 소설 전체를 다시 불러낼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나의 무너진 기대는 이번에 다이나 프라이드의 책으로 실현되었다. 생생하게 재현된 음식은 먹고싶다, 라기 보다는 다시 그 책의 내용으로 돌아가서 즐기고 싶다, 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그레고리 잠자에게 차려진 식탁은 신문지 위였고 이틀 전에 그가 먹을 수 없다고 말했던 빵조가리와 이런 저런것들이었다. 역겨운 냄새를 풍기는 것들. 이 식사 까지 생생하게 재현한 사진은 작가가 얼마나 독서라는 행위를 오감을 모두 활용하며 즐기는지 보여준다. 로빈슨 크루소의 모래 위에 펼쳐진 과일, 그리고 심지어 이상식습으로 흙을 먹는 소녀의 흙밥상, 걸리버 여행기의 미니어쳐 식탁까지. 이 책의 시리즈가 계속 나오길 기다리겠다. 다만 귀여운 발상과 사진 보다는 글 본문에 (번역이랄까, 인물명 표기 등) 덜 신경이 쓰인 것 같아서 조금 아쉬운 마음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2/400. 갈매기 (안톤 체호프)
처음 읽는 체호프의 희곡. 얽히고 설킨 남녀관계가 뻔해 보이지만 인물들의 대사는 (특히 조연들) 한마디 한마디 정확하게 자기 자리로 날아가는... 화살같다. 뭔가 일을 저지를듯하던 마샤의 체념이 생생하고 극히 현실적인 도린은 지금 이시대 사람 같다. 꿈꾸던 젊은이, 그리고 순수하던 갈매기만 사라지는 구나. 

 

니나: 나는 이제 알아요, 그리고 이해해요, 코스챠, 무대 위에서 연기를 하건 소설을 쓰건 마찬가지예요, 우리가 하는 일에서 중요한 것은 명예가 아니라, 내가 동경하던 그 눈부신 명성이 아니라, 참는 능력이라는 걸 이젠 알아요. 자신의 십자가를 짊어지고 믿음을 갖는 거야. (갈매기, 제4막)

 

73/400. 전화 (염상섭)

황석영 한국 명단편 전집 배송을 인증샷 까지 남기며 흥분했지만, 정작 책장을 열고 읽기 시작한 건 어제, 친구와 하루 한 편씩 같이 읽자고 약속하고 나서였다. 혼자선 이런저런 독계획은 흐지부지 되버리기도 하니까. 작년의 <모비딕>을 끝까지 읽지 못한 것이 그 증거. ㅠ ㅠ

염상섭은 고등학생 때 알던 그 작가가 아니다. <삼대>를 읽으면서 그의 역량에 감탄했는데, 단편에서도 작가의 시선은 여전히 거침없다. 그리고 작품에 더한 황작가의 해설은 그 예리함과 깊이를 더한다. 연재때 놓치고 이제 책으로 만나 읽게 되는 염상섭의 단편과 황석영의 해설은 나의 한 해를 더 가치있게 만들어 주겠지.

 

염상섭은 거의 모든 작품에서 '돈'에 대한 구구한 설명과 치밀한 계산을 하고 있는데, 소설이란 결국은 세속의 산물임을 주장하고 있는 것만 같다. '전화'는 개발독재시대였던 1970년대까지도 특권의 상징이었는데, 1920년대의 식민지 조선에서라면 더욱 그러했을 터였다. (47)

 

74/400. 쥐불 (이기영)

돌쇠나 이쁜이가 김원준에게 화를 당할까봐 조마조마했다. 쥐불놓기가 배경이라 추운 겨울의 빈 논과 들판을 떠올리며 읽었는데, 궁핍한 시대상을 그렸지만 그 속의 인물들이 의외로 씩씩하게 살고 있었다. 아직 현진건의 인물들 보다는 덜 찌들은 느낌. 당차게(?) 바람피우는 이쁜이가 귀여웠다. 돌쇠의 앞날이 팍팍하겠지만 이기영 작가의 세계에서는 주눅들지 않고 살아나가겠지. 황석영 작가의 해설에는 작가 이기영의 의외의 계보, 랄까 인맥이 실려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