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의 과일은 사과나 배가 아니라 "구아바"입니다.

구아바를 과식하면 변비에 걸립니다.

 

짐바브웨의 어린 소녀가 친구들과 우루루 백인들의 동네로 몰려가 구아바를 훔쳐 먹는다. 배가 고파서. 이 아이들은 몇년 전만 해도 번듯한 집에서 잘 살았더랬는데 부패한 독재정부 때문에 '파라다이스' 빈민촌으로 도망칠 수 밖에 없었다. 엉터리 이름, 바스타드, 달링, 본프리, 등으로 불리는 짐바브웨 사람들은 이름과는 다르게 또 비슷하게 살아간다.

 

어린이 눈으로, 풍자 반 동화 반으로 전반부는 짐바브웨의 생활이 그려진다. 그리고 후반부는 (죄송합니다 스포입니다) 미국에서의 불법 체류자, 이민자의 생활이다. 저자의 경험담이 녹아있어서 절절하게, 다급하게, 이야기가 쏟아진다. 할 말이 얼마나 많았을까. 그러니 전반부 처럼 여유를 부리지 못해서 뚝, 단절된 느낌이 든다. 이민자 서사, 랄까, 이전에 읽은 듯 본 듯한 울분 섞인 목소리. (아프리카에서 온 주인공이 미국 내의 인종문제는 건드리지 않는 건 - 너무 큰 주제라 그럴까 - 의아했다. 그 결과, 미국은 뭉뚱그려서 커다란 괴물이 되어버렸다. 스미스의 영국 이민자 주인공 소설 '하얀이빨'이 자꾸 생각났다.) 고생하는 이민자의 억울함이 담긴 목소리, 그리고 죄책감은 다른 문화권의 이민자, 이주자들을 향해서도 둥둥 울릴 수 있다. 소녀의 혼란스러운 미국 생활은 어쩐지 토니 모리슨의 소녀들을 불러오고....그러다 다시 밀려드는 추억과 급한 마무리. "빈라덴"

 

조너던 사프란 포어의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 도 스트라우트의 <My Name is Lucy Barton>도 911으로 끝을 맺는다. 이제 911은 미국에서 글을 쓰는 사람들에게는 피할 수 없는 경계선이 되었나. 이번 소설 역시 빈라덴의 사살로 끝을 맺는다. 흔한 이민자 소설로 퉁치기엔 아까운 면이 있지만 구아바 향 풍기는 전반부에 비해 미국생활 후반부가 생명력이 많이 떨어진다. 벌려놓은 좌판을 채 정리 못해 우왕좌왕하는 느낌..., 그래도 풋풋하다. 소설에선 아직 돌아오지 않은 TK가 있고 엘리엇의 딸 이야기도 있고 책장을 덮어도 계속 뻗어나가는 이야기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개의 챕터에는 각각 다른 비스코비츠, 다른 동물이 나온다. 배꼽 잡는 이야기로 시작해 당혹스런 결말로 이어지며 잔인한 해학이 반짝거린다. 우화라고 퉁치기엔 아깝고 한번에 읽기에도 살짝 지친다. 진짜 웃기고 재밌음. 민달팽이와 잠주머니쥐 이야기가 압권.

생물학을 공부하고 연구소에서 일하던 저자가 증권대박으로 인생을 즐기며 슬슬 써본 이 소설이 첫 작품이라니. 저자의 인생도 챕터0 쯤으로 읽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쇄 살인범 제프리 다머의 기사를 찾아 읽었다면 저자 오츠가 단순히 하드 고어 소설을 쓴 게 아니라 새로운 인물을 창조했다는 걸 알 수 있다. 하나 하나, 주인공의 기록을 따라가다 보면서 피비린내가 나는 것 같아 절로 몸서리가 쳐졌다. 범죄의 묘사는 끔찍하지만, 더 무서운 건 그 준비과정이다. 좀비라니. 살아있는 사람을 좀비로 만들 생각을 하다니. 그런데 실제 전두엽을 절제하는 비인간적 수술요법이 존재했다는 게 놀랍다. 갑작스레 등장하는 병아리들과 새로 구입한 자동차, 그리고 아버지의 옛은사의 과거사 등이 촘촘하게 짜여진 그물같이 펼쳐져 있다. 쉽게 추천할 수 있는 소설은 아니다. 불쾌하고 무섭다. 하지만 넘쳐나는 흉악범죄에서 이런 문학이 나올 수 있는 것도 경이롭다.

 

 

 

조선의 요리에 대한 알차고 재미있는 기록들이 저자 이한의 글솜씨로 더더욱 맛있게 엮여나온 책이다. 하지만 제목과는 다르게 실제 요리를 한 조선 남자는 두 어 명에 불과하고 대개는 음식블로거 (저자의 표현), 황ㄱㅇ 씨 같다.

 

표지도 예뻐서 사진 자료가 풍부할까, 싶었는데 그림은 같은 것을 반복해서 쓰고 있으며 (각 챕터 마다 같은 그림 3번 반복, 법칙인가요?) 카툰류 그림도 과하게 쓰였다. 정작 궁금했던 요리 재현은 사진인지 그림인지 흐릿하게 실려서 도움이 되지 못했다. 저자 이한은 빼어난 글솜씨와 알찬 내용에 비해서 계속 이렇게 빈약하고 싼티나는 편집을 만나는 듯하니 마음이 아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게을러서 여행 계획도 없이 어정쩡하게 연휴를 맞았다. 하루키의 신간은 제목에 나온 라오스 뿐 아니라 일본, 미국, 유럽을 방문하고 (최신작이라 했지만 1990년대 말부터 띄엄 띄엄) 쓴 기행문이다. 설렁설렁 다니며 쓴 혼잣말도 푸념도 섞인 글은 예전에 (사반세기!) 살았던 곳을 다시 방문하며 만나는 특별한 감정도 담고 있다. 향주머니와 함께 곱게 의식의 서랍에 넣어두었던 기억을 다시 펴본다....고 했다. 이번 기행문은 다른 장소, 다른 시간을 다녀보는 이중의 여행 경험이다.

 

간간이 나오는 중국인, 한국인 관광객들에 대한 하루키의 인상은 곱지 않아서 아, 이 아저씨가 우리나라에서 그리 돈을 벌고 팬을 확보했으면서 한 번 방문 하지 않았었지, 하는 생각이 다시 들었다.책 말미에는 일본 구마모토 탄광의 세계문화유산 선정 이야기도 실렸다. 하루키는 시대를 무시하고, 혹은 초월하고 쓴 글이랄까, 아니면 역사를 '아, 너무 복잡하고 슬프고 힘들군요, 맥주나 한 잔' 하는 심경으로 쓰는 걸까. 영 불편한 마음이 되어버렸다. 그러니까, 하루키 상은 그리스나 이태리, 미국에나 갔으면 좋겠다. 그가 일본 현지에서 쓴 글에는 일본의 역사가, 맥주나 재즈 음악 말고, 강하게 풍겨서 거북해져 버렸다. 하루키를 쿨하게 읽을 수 있었던 건, 그가 까칠한 개인주의 작가 였기 때문이다. 그가 국적을 드러내고 일본인임을 풍기면 (아, 아, 나도 한일 축구전에 흥분하는 아재들이 싫었다고요) 나도 슬슬 방어 가드를 올리게 되고 만다. 하루키도 썼던데, 고추냉이 없는 초밥집처럼 하켄크로이츠 없는 나치스 독일을 상상하기 어렵다고. 이런 표현을 쓴 것 역시 그의 역사관인가. 어쨌거나 나에게 하루키는 국적과 역사가 없는 좀 덜 생긴 아재 작가인 게 편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귀여운 혹은 방종한 표지에
(마시면서 싸는 이 꼬마는 뉘집 애냐;;;)
의외로 근엄한 도입부
의외로 심각해서

독서대에 올려놓고
맨정신으로 참하게 읽어가는중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16-05-01 2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 술 관련 책을 하나 보고 싶은데, 그 아마존 선정 책을 생각 중이었어요. 이름이 기억 안 나네요 ㅎㅎ 이 책도 괜찮아 보이네요 :-)

유부만두 2016-05-03 08:23   좋아요 0 | URL
좀 딱딱한 책이네요. 설렁설렁 읽으려 했는데 좀 혼나는? 기분이에요. ^^

2016-05-04 07: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유부만두 2016-05-30 23:33   좋아요 0 | URL
글쎄요. 술. 은 그저 미끼였는지, 각 잡고, 세계사. 하고 덤비는 책이라 조금 겁이 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