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수.당 시기에는 음식재료가 증가하였다. 채소의 종류가 특히 증가했다. [...] 시금치 '파채'는 원래는 '파릉채'라고 했다. <신당서> '서역전'에 "네팔은 정관21년에 사신을 파견하여 시금치를 바쳤다"라고 했다. (53-4)


중국 전통 악기의 연주를 들으면서 술과 차는 계속 마시며 손님들과 큰소리로 대화를 나눈다. 중국에선 식사중에 시끄럽게 떠들어야 한다. 식사중에 너무 시끄럽다고 중국 사람이 예절이 없다고 생각하는 한국인이 있는데 이건 중국인의 풍속을 모르고 하는 말이다. 중국인은 시간이 꽤 소요되는 중요한 식사 중에는 시끌벅적해야 즐겁고 화기애애한 분위기라고 생각한다. (106)


뜨겁고 익힌 음식을 먹는 것도 중국 음식 습속의 하나이다. 뜨거운 음식은 중국 요리의 관건이자 영혼이다. <수원식단>에서 "요리의 맛은 신선한 재료를 모두 솥에서 조리하고 중요한 때에 갑자기 멈추었을 때 생겨난다. 너무 오랫동안 천천히 익히면 곰팡이가 핀 옷처럼 비록 비단옷이라도 어두컴컴해 곰팡이가 잘 보이지 않지만 모양이 흉한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147)


'징갱취제'라는 말은 "뜨거운 국에 덴 사람은 냉채도 불어서 먹는다"는 뜻이다. (148)


주나라의 개국 원로인 강상은 태공망으로 80에 이르러서야 문왕 희창의 중용을 받았다. 그는 문왕을 보좌하였고 남북으로 정벌을 나섰으며 폭군 주왕의 은나라를 멸망시켰다. 그는 주나라에 중용되기 전에 상당히 오랫동안 요리ㅏ로 일했다. 그는 또 은나라의 수도 조가에서 백정이었고, 황하의 맹진에서 밥과 반찬을 팔았다. 강태공은 고대 중국의 두번째 재상 요리사였다. (188)


삼국 시대의 만두는 북방 사람들이 즑 먹는 오늘날의 소가 없는 만두와는 달랐다. 당시의 만두는 고기로 소를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크기도 사람 머리만큼이나 컸다. 제갈량 이후의 위.진 시대 사람들이 만든 만두는 모두 소가 있었고 삼촌(三春)때 만들었다고 한다. [...] 제갈량이 남만 정벌을 완수하고 회군할 때가 삼촌이었다. 혼돈(餛飩)과 만두는 다르다. 혼돈의 속에는 거의 고기를 넣지만, 만두는 고기 외에 채소도 넣는다. 만두가 혼돈보다 크고, 혼돈은 동전 모양이고, 만두는 조개나 초승달 모양이다. 껍질의 모양도 혼돈은 네모 혹은 삼각형 등 다양하지만 만두는 대부분 원형이다. 혼돈은 고기국물에 삶지만 만두는 맹물을 끓여 삶는다. (216)


'초근'은 당나라 때 술안주와 밥반찬이었다. 이 음식은 보통의 미나리를 발효시킨 후에 조미료를 넣고 요리한 탕이다. 이 음식은 본래 그렇게 진귀한 음식은 아니었다. 그러나 맛이 뛰어나 당태종 이세민이 간언으로 유명한 위징에게 하사한 후에 역사책에 실리면서 유명해졌다. (224)


'호마병'은 서역의 음식으로 한나라 때 중국에 전래되었다. 한영제가 이 호병을 아주 좋아하여 장안 사람들이 모두 이 호병을 먹었다고 한다. [...] 당나라 때 백거이는 16세 때 장안에 있었고, 장안에서 여러해 관리로 있었으며, 장안에서 늘 '호마병'을 먹었고 만들줄도 알았을 것이므로 그가 시에서 말한 호마병은 사실과 샅다. 또한 "호마병 속에 소를 넣었다"는 말도 맞다. [...] 호마병은 외국과의 음식 문화 교류의 산 증거로 한대부터 당대까지 사람들에게 환영받았고, 오늘날에도 '소병'이라는 음식으로 남아있다. 보통 중국인은 아침식사로 소 없는 만두나 국수 또는 속에 계란 부침이나 기름에 튀긴 '유조'를 넣은 소병을 콩국이나 우유와 함께 먹는다. (228-9)




삼립호빵은 한국사람들이 겨울철에 즐겨 먹는 음식으로 발효 찐빵 안에 소를 넣는다. 호빵이 원 이름이나 상표인 삼립이 입말로 붙어 네음절 전체가 음식을 통칭하기도 한다. 주로 단팥소를 넣은 '호빵'이 많고, 양념한 채소와 고기 소를 넣어 '채소 호빵'이라고 부른 만두 형 호빵도 인기다. 찜기에 넣어 익혀 먹는 게 보통이나 21세기에는 물에 뭍혀 전자레인지에 거꾸로 넣어 30초, 바로 세워 30초 돌려 먹는 식이 유행이 되었다. 호빵마다 붙어있는 종이는 먹지 않는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0-12-16 09:1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 어제 팥호빵만 사왔더니 둘째가 자기는 야채호빵이라고 얼마나 투덜대던지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종이는 먹지 않습니다

유부만두 2020-12-17 09:44   좋아요 1 | URL
하하 단발님댁에도 단팥 파 와 야채 파로 나뉘었군요. 이건 찍먹 부먹 만큼이나 화합이 어렵단 말이에요. ㅋㅋ

scott 2020-12-16 10:2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안돼요. ㅋㅋㅋ 유부만두님 ㅋㅋㅋ
호빵은 팥 앙꼬가 꽉차야하는데 생생야채는 만두맛 나잖아요 ㅋㅋㅋㅋ

종이에 팥앙꼬붙어 있는거 가장 아까워하는 1人

유부만두 2020-12-17 09:45   좋아요 2 | URL
종이에 팥 앙꼬, 꼭 사수 하십셔!

스콧님은 팥 파, OK 기억하겠습니다. 전통을 중히 여기시는 심성이시군요.

하나 2020-12-16 12:3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만두님 왤케 웃겨여 문체 위화감 1도 없는 거 보소. 장인이시네 ㅋㅋㅋㅋㅋ 전 만두 좋아해서 그런지 채소 호빵 좋아요

scott 2020-12-16 14:55   좋아요 2 | URL
하나님, 만두소는 껍질이 얇아야 여러개 먹을수 있어요 ㅋㅋ
바닥은 바싹하게 구워지고 주름진 부분은 촉촉한 만두!
(ง •̀_•́)ง ෆ

유부만두 2020-12-17 09:46   좋아요 2 | URL
저 장인이에여?? 칭찬인거져??
ㅋㅋㅋ 그리고 절 좋아하신단 말씀, 제가 딱 저장했어요. 그 맘 변치 말아요.

유부만두 2020-12-17 09:47   좋아요 2 | URL
스콧님, 만두 껍질의 분석 까지 하셨군요. 그쵸. 바삭과 촉촉에 따라 여러 레이어의 맛을 만들어내는 만두입니다. ..

잠깐만요, 우리 호빵 얘기하고 있었쟈나요?

moonnight 2020-12-16 14:0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종이는 먹지 않는다ㅎㅎㅎㅎ 저도 야채호빵 좋아합니다 ㅎㅎㅎ

유부만두 2020-12-17 09:47   좋아요 1 | URL
아, 야채호빵 한 표 더 나왔습니다! ㅎㅎㅎ
우리 종이는 먹지 않아요. 종이는 그 위에 글이랑 그림만 눈으로 봐요.

수이 2020-12-17 10:4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야채 여기 손 🤚!!!

유부만두 2020-12-17 15:25   좋아요 0 | URL
오키, 잘 하면 우리가 이기겠다!

psyche 2020-12-17 13:2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 유부만두님! 하나님 말씀대로 장인 인정!!
나도 야채 손!!

유부만두 2020-12-17 15:26   좋아요 1 | URL
헤헤헤. 말 장난하기 장인.

언니도 야채!

그런데, 언니 예전에요, (그러니까 우리가 젊을 아니 어릴 때)
야채 호빵이라고 한 봉다리 사면 꼭 한개씩 팥호빵이 들어있었어요. 그런거 기억나요? 나 그럴때 배신감에 막 화내고 그랬다? 내가 먹는거에 진심이잖아.....
 

모든 무서운 일이 가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린이가, 청소년이, 어른이 '여성'이기 때문에 무서워하게 되는 그 많은 일들이 모두 그렇다. 그런 무서움은 아무런 가치가 없을 뿐 아니라 세상을 좀먹고 무너뜨린다. 우리는 어린이가, 여성이 안전을 위협받는 세상에서 살게 할 수 없다. (53) 



가해자가 성장 과정에서 겪은 일을 범행을 정당화하는 데 소비하는 것은 학대 피해 생존자들을 모욕하는 일이다. '학대 대물림'은 범죄자의 변명에 확성기를 대 주는 낡은 프레임이다. 힘껏 새로운 삶을 꾸려가는 피해자들을 '불우한 가정에서 자란 예비 범죄자'로 보게 하는 나쁜 언어다. 가정에서 아이를 학대해선 안 되는 이유는 아이를 아프게 하고, 존엄을 무너뜨리고, 상처를 남기기 때문이다. 그것만으로도 이유는 충분하다. 가해자의 잔인한 범행을 나는 '악惡'이라는 개념 말고 다른 것으로 이해하지 못한다. 악행의 기승전결은 전혀 알고 싶지 않고, 합당한 벌을 받기를 바랄 뿐이다. (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티셔츠만 입고 있어도 여자잖아. 우리 오카마는 이렇게 화장을 하고 한껏 꾸며 봐야 겨우 오카마 밖에 될 수 없으니까." 난 이것이야말로 평범함이라는 것이로구나 생각했다.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수수하게 티셔츠만 걸쳐도 여자로 있을 수 있다는 것. 

  우리 남자는 더 나아가 '어느 쪽에 속하는 성性인가?'를 생각하는 과제조차 면제받고 있다. 남자는 마음껏 '개인'으로서 행동하고 있지만, 우리 곁에서 여성들은 '여자로 있다.' 

  자, 그렇다면 사회에 의해 물들여지고 딱지가 붙여진 존재가 '평범해지는' 것은 어떻게 해야 가능할까? 


  본인의 의사를 존중한다는 형태를 취하는 착취가 있다. 그리고 본인을 걱정한다는 식으로 억지로 책임을 떠맡기는 듯한 개입이 있다.

  우리는 신이 아니다. 우리가 양손에 들고 있다고 생각하는 올바름은 어디까지나 자신의 입장에서 본 올바름이다. 이것이 타자에게도 통용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다. 




문학의 집에는 여러 개의 입구가 있습니다. 계단과 양 옆의 기둥까지 갖추고 있는 정문이 있지요. 그 문으로 들어갈 때는 마치 궁전에 들어가는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또한 옆문도 있습니다. 더 소박하고 더 개인적인 문. 이 문으로 들어가는 사람은 고독합니다. 그들은 혼자 다니지요.

그리고 뒷문이 있습니다. 부엌으로 바로 들어가는 문, 요리사와 접시닦이, 장사꾼들이 이용하는 문이지요. 그곳은 항상 소란스럽습니다. 많은 것들이 드나드는, 바로 그 문이 아이다와 사비에르,  그리고 제가 이용한 문입니다. 늘 서로에게 말을 건네면서요.

이제 여러분에게 건넵니다. 


존 버거 

2009년 7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머니가 그녀에게 남긴 가르침들 가운데 조금이나마 쓸모가 있었던 내용은 하나도 없었고, 스칼렛은 그래서 분개하고 당혹했다. 엘렌은 그녀가 딸들을 키울 당시의 문명이 붕괴되리라고는 예측하지 못했고, 딸들을 그토록 훌륭하게 훈련시켜서 등장시키려고 했던 사교적인 무대가 없어지리라고도 예기치 않았으리라는 점을 스칼렛은 깨닫지 못했다. 엘렌이 스칼렛에게 상냥하고 우아하며, 명예롭고 친절하며, 겸손하고 진실해야 된다고 가르쳤을 때는 그녀 자신의 삶이 거쳐 온 안일한 세월이 해마다 되풀이되는, 평화로운 미래의 나날을 어머니가 멀리 내다보았으리라는 사실도 스칼렛은 깨닫지 못했다. 그들이 그런 가르침을 따르면 세상이 여자들을 호의적으로 대우하리라고 엘렌은 말했었다. 


    스칼렛은 절망에 빠져 생각했다. <아무것도, 그렇다, 아무것도, 어머니의 어떤 가르침도 나에게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 친절해 봤자 지금 내가 무엇을 얻겠는가? 상냥함의 미덕은 무엇인가? 차라리 검둥이처럼 쟁기질을 하거나 목화를 베는 기술을 배웠더라면 훨씬 좋았으리라. 오, 어머니, 어머니의 얘기는 옳지 않았어요!> 


    질서 정연했던 어머니의 세계는 사라졌으며 잔혹한 세상이, 기준과 가치관이 한꺼번에 달라진 세상이 대신 찾아왔다는 생각을 스칼렛은 마음을 가다듬고 해볼 겨를이 없었다. 그녀는 다만 어머니의 얘기가 옳지 않았다고만 믿었고, 그래서 그녀로서는 준비를 하지 못했던 새로운 세상을 맞기 위해 재빨리 변모했다. 

(26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쟁터에서 애슐리가 멜라니에게 보낸 편지 내용. 스칼렛이 몰래 훔쳐 읽다가 애슐리의 고뇌에 놀라고 별다른 애정 표현이 없어서 안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