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 글을 아주 훌륭한 시라고 본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감동하는 어린이 시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순수한 직관(바로 보고 곧 느끼는 것)의 지혜로움이 아무런 장애도 입지 않고 잘 나타난 시라고 본다. 어린이가 가진 이런 '바로 봄'과 '바로 느낌'을 방해하지 않고, 그것을 불러일으키고 꾀어내도록 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것이 시 지도에서 기본적으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나는 생각한다.(p49) <우리 글 바로쓰기 5> 中


 이오덕(李五德, 1925 ~ 2003)의 <우리 글 바로쓰기 5>에는 좋은 어린이 시에 대한 이야기가 다뤄진다. 저자에 따르면 좋은 어린이 시의 조건을 어린이 생각(지혜로움)이 잘 표현된 시라고 할 수 있겠다. 다소 엉뚱해 보이지만, 좋은 시의 조건을 수식으로 표현한다면, '생각 * 표현 = 작품'이 되지 않을까. 생각과 표현 둘 중 어느 하나라도 없다면('0'이라면) 작품이 되지 않을테니 이들을 곱셈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조금 더 나가서, '좋은 생각' 또는 '잘된 표현'을 '+1'로 '좋지 않은 생각' 또는 '서툰 표현'을 '(-)1'로 바꿔보자. 간단히 '+1'을 긍정으로, '-1'을 부정으로 표현했을 때 수학에서와 마찬가지로 부호의 법칙이 성립할까?


(1) (+)1 * (+)1 = (+)1 -> 좋은 생각의 잘된 표현이 갖춰지면 좋은 작품이다.

(2) (+)1 * (-)1 =(-)1 -> 좋은 생각을 서툴게 표현하면 좋은 작품이 아니다.

(3) (-)1 * (+)1 = (-)1 -> 좋지 않은 생각을 잘 표현하면 좋은 작품이 아니다.

(4) (-)1 * (-)1 = (+)1 -> 좋지 않은 생각을 서툴게 표현하면 좋은 작품이다.


 부호의 법칙 (1) ~ (4) 번까지는 일반적으로 수학의 세계에서 공리(公理, axiom)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만, 이번 명제에서는 내용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1)번의 예는 다음과 같은 평가를 받은 작품이 속할 것이고, (1)과 (2)의 법칙은 받아들이는데 굳이 크게 무리가 없다 생각된다. 


 자연을 이렇게 따스한 정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은 너무나 훌륭하다. 읽으면 저절로 웃음이 나는 좋은 시다. 여기서는 자연이 인간이고 인간이 자연이다. 자연과 인간이 아주 하나로 되어 있는 훌륭한 시다.(p33) <우리 글 바로쓰기 5> 中


 그렇지만, 문제는 (3)법칙에서부터 의견이 갈릴 수 있다. <우리 글 바로쓰기 5>에서 여기에 해당되는 예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이 글에 대한 김 씨의 의견은 "아이가 어른의 눈치를 계산하지 않고 솔직한 자기 생각을 쓴 용기가 좋다. 그렇지만 이 글을 두고 자기 생각을 숨기지 않고 정직하게 썼기 때문에 좋은 글이라고 하며, 어른들의 잘못된 생활 태도를 지적하고 비판한 점을 칭찬할 수 있을까?" 하는 말로 시작하여 아주 부정적인 생각을 길게 적어놓았다.(p156) <우리 글 바로쓰기 5> 中


  김 씨의 의견에 따르면 '좋지 않은 생각(-1)'을 '숨기지 않고 잘 표현(+1)' 했기에, '좋은 글이 아니다(-1)'가 성립한다. 이는 수학의 부호의 법칙에 완벽하게 부합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주장은 수학과는 달리 논란의 소지가 있기에. 모두에게 받아들여지지는 않을 것이다. 저자도 이에 대해 비판하는 입장이다.


  나는 김 씨의 주장이 잘못되었다고 보는 사람이다.(p158)... 우리의 학교 교육은 자주성이고 자발성이고 창의성 같은 것은 철저하게 둘러막아버리고, 다만 지시와 명령만으로 아이들을 기계같이 움직이고 있다. 그래서 아이들은 자기의 마음과 삶을 잃어버리고 어른들이나 그밖에 힘이 있어 보이는 사람이 시키는 대로만 움직이는 슬픈 버릇을 몸에 익혀버렸다.(p160)... 많은 아이들이 시키는대로 움직이기만 하지만 이 아이만은 행동만 하지 않고 생각을 했다. 자기를 움직이게 한 사람의 태도에 대한 생각이다. 어쩌면 이 생각은 이 아이뿐 아니고 그 자리에 있었던 대부분의 아이들이 다 같이 가지고 있었을 것 같다. 그러나 그 생각을 이 아이는 확실히 붙잡았고 그래서 그것을 글로 밝혔다. 이것이 소중하다. 이것저것 다 살피고 계산해서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에 우러난 절실한 느낌과 생각을 솔직하게 나타내는 이것이 귀중하다.... 만약 교사가 참 교육자라면 학생의 이런 비판의 소리에 마땅히 반성해야 한다.(p163) <우리 글 바로쓰기 5> 中


 이 명제에서 부호의 법칙 (3), (4)는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김씨의 생각을 요약하면,어린이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어른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의견을 숨겨야 좋은 작품이라는 것으로 이는 수학의 법칙에는 들어맞는 생각이다. 그렇지만, 위와 같은 저자의 반대 입장처럼 다른 의견도 존재할 수 있기에, 부호법칙 (3)과 (4)에 대한 맞고 틀림은 각자의 몫으로 넘기도록 하자. 현실과 이론의 세계는 다르니까. 

 

 법칙(-1)(-1) = 1은 음수의 곱셈에서 성립하는 법칙인데 이와 같은 법칙은 분배법칙a(b + c) = ab + ac를 유지하고자 하는 바람의 결과이다. 왜냐하면, (-1) (-1) = -1이 성립한다면, 분배법칙에서 a = -1, b = 1, c = -1로 각각 잡았을 때, - 1(1 - 1) = -1-1=-2가 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1(1 - 1) = -1.0 = 0을 얻기 때문이다. 음수와 분수에 적용되는모든 다른 정의가 증명될 수 없다는 사실과 ˝부호의 법칙˝ (3)을 수학자들이 받아들이기에는 오랜 세월이 걸렸다.(p73) <수학이란 무엇인가> 中


 수학 이야기는 여기까지 하도록 하고, 책으로 넘어가 보자. <우리 글 바로쓰기>의 저자 이오덕은 생각의 가치보다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가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 글은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는 것이며,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의 생각 중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다. 때문에, 글의 내용에 무엇이 담겼는가에 대한 책임은 어른의 몫이고, 아이들의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는 저자의 교육철학을 우리는 배울 수 있다. 


 이 시는 실제로 체험한 것을 쓴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니 거짓스럽게 느껴진다. 자기의 마음과 삶을 정직하게 쓰려고 하지 않고 '이런 것을 써야 근사한 시가 되겠지'하고 썼으니 말이다. 실제로 겪지 않은 일을 상상으로 쓸 때는 바로 그것이 상상임을 읽는 이들이 알도록 써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니까 거짓말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어른의 시와 어린이 시가 다른 점이다.(p37) <우리 글 바로쓰기 5> 中


 글쓰기는 인간교육의 가장 좋은 수단이 된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저마다 쓰고 싶은 것을 정직하게 쓰게 하지 않고, 교육을 잘 한 것처럼 윗사람이나 학부모나 사회 사람들에게 보이려고 하는 선전의 수단으로 이용이 될 때는, 이 글쓰기가 아이들을 아주 좋지 못한 사람 - 꾀부리고 거짓말 꾸며대고 사람답지 못한 짓을 하는 사람으로 만들게 한다.(p101) <우리 글 바로쓰기 5> 中


 그리고, 이러한 저자의 생각은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ere, 1940 ~ )의 <무지한 스승 Le Maitre Ignorant >에서 '보편적 가르침'과 맞닿아 있음을 우리는 볼 수 있다.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강요가 아닌 해방이며, 이를 위해서 생각을 받아들여야 한다. 

 

 지도와 교육의 조화로운 균형은 이중의 바보 만들기의 균형이다. 여기에 정확히 해방이 대립된다. 해방이란 모든 인간이 자기가 가진 지적 주체로서의 본성을 의식하는 것이다. 그것은 데카르트의 정식을 거꾸로 뒤집은 평등의 정식이다. "나는 인간이다. 고로 나는 생각한다." 이 뒤집기는 인간 주체를 코기토(Cogito)의 평등 안에 포함시킨다. 생각은 사유 실체가 가진 한 속성이 아니다. 그것은 인류의 속성이다.(p33)... 보편적 가르침의 모든 실천은 다음의 질문으로 요약된다. "너는 그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니?"(p77) <무지한 스승> 中


 우리는 아이들에게 그들의 생각을 끊임없이 물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주의깊게 들어야 한다. 우리(어른)들의 생각을 아이들에게 무조건 따를 것을 강요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왔는가. 배에 가만히 있으라는 선내 방송에 따른 이들이 희생되었던 4.16 세월호 참사는 (비록 그것이 모든 원인은 아닐지라도) 어른들의 일방적인 강요가 비극적인 결과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사건이라 생각한다. 가볍게 시작한 글이 무겁게 끝나게 되지만,  자신이 가진 생각을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이 좋은 생각보다 더 중요한 것이라는 것을 <우리 글 바로쓰기> <무지한 스승>을 통해 생각하며 글을 마무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폴 존슨(Paul Johnson, 1928 ~ )의 <모던 타임스 2 : Modern Times: The World from the Twenties to the Nineties>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80년대를 다룬 책이다. 1권과 마찬가지로 주요 인물의 성격과 태도를 상세히 묘사하며, 이들이 세계사를 어떻게 움직였는가를 서술하는 방식은 마치 <삼국지연의 三國志演義>에서 조운이 유선을 구한 장판전투(長坂戰鬪)나 관우가 유비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오관참육(五關斬六)을 그리는 것과 같은 호쾌함을 주기에 전체적인 현대사의 사건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그림] 장판전투(출처 : 위키백과)


 그렇지만, 역사(歷史)가 우리에게 의미가 있는 것은 현대에 교훈을 주기 때문이 아닐까. 그런 면에서 저자가 매카시즘(McCarthyism)을 다룬 장에 유독 시선이 머무른다. 1950년대 미국 정부의 고위직에 공산주의자가 침투해 체제전복을 꾀하고 있다는 근거없는 고발로 1950년부터 1954년까지 미국 전역에 공산주의자 색출 열풍을 일게 한 이 사건에서 데자 뷰(deja vu)를 느끼게 된다.


 매카시(Joseph Raymond McCarthy, 1908 ~ 1957)가 여러 사람의 인생에 피해를 입힐 수 있었던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첫째 미국의 명예 훼손에 관한 법률이 불완전했기 때문이다. 언론은 그의 근거 없는 주장을 그대로 발표했다. 사실 그들은 그럴 권한이 없었다. 그럼에도 그들은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았다. 무책임한 비방을 일대 스캔들로 만든 것은언론, 특히 통신사들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워터게이트 사건이 마녀 사냥으로 확대되었던 1970년대와 비슷하다. 둘째 일부 사회나 단체, 특히 할리우드와 워싱턴의 도덕적 비겁함 때문이다. 그들은 곳곳에 만연한 불합리와 비이성에 굴복했다.(p176) <모던 타임스2> 中


 21세기에도 빨갱이, 좌파 등의 이야기로 상대를 공격하고 온갖 거짓뉴스가 세상을 어지럽히고 있는 가운데 우리는 1950년대 미국의 사례로부터 교훈을 얻을 수 있을지도 모든다는 기대감을 갖게 된다. 


  아이젠하워( Dwight David "Ike" Eisenhower, 1890 ~ 1969)는 '감추어진 손'이라 할만한 은밀한 통치 스타일의 가장 전형적인 사례를 보여준다. 그는 재임 기간 내내 이런 통치 스타일을 즐겨 사용했다. 그의 사후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그 사실이 밝혀졌다. 아이젠하워는 20세기 미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대통령이다.(p178) <모던 타임스2> 中


 폴 존슨은 <모던 타임스 2>정치에서 '보이지 않는 손 invisible hand'을 통해 미국을 번영의 시기로 이끈 아이젠하워가 어떻게 매카시즘을 잠재울 수 있었는가를 보여준다. 그리고, 우리는 이로부터 트럼프(Donald John Trump, 1946 ~ )가 왜 그토록 북한문제에 매달렸는지,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배울 수 있다. 아직, 문재인과 트럼프 두 대통령이 역사의 평가를 받기에는 이르지만, 적어도 이들이 택한 가치가 무엇인지는 역사가 답해주고 있다...  


 평화는 미국 선거에서 언제나 필승의 카드였다...  공화당 후로보 대통령에 당선된 1952년의 아이젠하워는 한국전쟁을 불필요한 전쟁이자 반복된 실책으로 여겼다. 그는 교착 상태에 빠진 협상을 마무리 짓기 위해 행동에 나섰다. 이 전술은 효과를 거두었고, 9개월이 안 되어 불완전하나마 협정을 타결 지을 수 있었다. 그는 반공 히스테리를 막기 위해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당시 심한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사실 그는 문제의 본질을 잘 알고 있었다. 매카시즘이 선풍을 일으킨 것은 한국전쟁 때문이고, 한국전쟁이 끝나면 매카시즘도 곧 시들해질 것임을 알았다. 그는 평화를 위한 노력에 우선 순위를 부여했다.(p177) <모던 타임스2>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칸토어(Georg Ferdinand Ludwig Philipp Cantor, 1845 ~ 1918)는  1874년 <모든 대수적 실수의 모임의 어떤 성질 uber eine eigenschaft des inbegriffes aller reellen algebraischen zahlen>이라는 다소 밋밋한 제목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이 논문에서 대수적 실수의 집합이 가산 무한임을 증명한다. 이에 반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은 가산이 아니며, 따라서 자연수 집합처럼 가산인 무한집합보다 더 높은 등급의 무한집합이라는 것이 이 논문의 혁명적인 결과였다.(p196) <The Princeton Companion to Mathematics 2> 中


  칸토어의 집합론 중 무한(無限)의 개념을 설명한 논문의 내용을 쉽게 설명한 내용을 <수학이란 무엇인가 What is Mathematics?>에서 찾아 옮겨본다. 칸토어는 모든 유리수를 a/b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유리수 a/b를 a번째 열과 b번째 행에 대응시켜 정렬한 대각선 논법을 활용하여 유리수가 정열할 수 있는 무한집합임을 증명했다.


 [그림] 대각선 논법(출처 : 위키백과)


 무한에 대한 분석에서 칸토어가 처음으로 발견했던 사실은 유리수의 집합(정수의 집합을 부분집합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무한집합이다.)이 정수의 집합과 대등이라는 사실이었다... 칸토어가 관찰한 바와 마찬가지로 연속적인 원소들 사이의 크기관계를 무시하면 모든 유리수를 정수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수열 r1, r2, r3,... 로 정렬할 수 있다. 바로 이 수열에는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유리수가 결정되어 모든 유리수가 단지 한 번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 집합의 원소를 정수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수열로 정렬하는 것을 집합의 가부번화(denumeration)이라고 한다.(p103) <수학이란 무엇인가> 中


 반면, 여기에 무리수가 더해진 실수의 집합은 가부번화될 수 없음도 증명한다. 모든 실수가 가부번화되지 않는다는 증명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가부번화 할 수 없는 실수를 찾으면 된다. "모든 백조는 하얗다"는 명제의 가부는 한 마리 검은 백조(black swan)면 족하듯, 칸토어는 이 검은 백조를 찾음으로써 실수 집합이 가부번이라는 것을 밝혀낸다.


 칸토어에 따르면 실수는 정수와 유리수의 집합이 가지는 무한성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고도의 무한의 형태이다... 무한소수 z=0.abcde.... 를 생각하자. 이 새로운 수 z는 나열할 수 있는 어떤 수와도 같지 않다. 왜냐하면 첫 번째 수와는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수가 다르다. 그리고 두 번째 수도 소수점 아래 두 번째 수가 다르고 일반적으로  n번째 수와는 소수점 아래 n번째 수가 다르다. 결국 연속적으로 정렬된 소수의 표가 실수를 모두 포함하지 않음을 보인 것이다. 따라서 이 집합은 비가부번이다.(p105) <수학이란 무엇인가> 中


 그리고, 이로부터 무한(infinity)의 종류는 나뉘게 되고, 무한의 집합에도 '더 큰 집합'이 존재할 수 있다는 밋밋한 논문의 내용이 도출된다. 여기서 우리는 이런 질문을 던질 수 있을 것이다. 이게 우리와 무슨 관계가 있을까?


 적어도 두 종류의 무한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정수의 가부번 무한과 연속체가 가지는 비가부번 무한이 그것이다. 정수의 집합은 실수 집합의 부분집합이지만, 실수의 집합은 정수의 집합이나 정수집합의 부분집합 어느 것과도 대등이 아니다. 따라서 정의에 의하면 실수의 연속체는 정수의 집합보다 큰 기수를 가진다.(p108) <수학이란 무엇인가> 中

 

 <10의 제곱수 Powers of Ten>에는 10 제곱미터 반경안에서 피크닉 도중 낮잠을 자는 남녀의 모습이 나타난다. 영화에서는 남자의 손등안을 조명하면서 10의 -16제곱미터의 세계(미시세계)부터 10의 24제곱미터의 은하계(거시세계)까지를 폭넓게 보여준다. 여기에서 보여준 세계는 영화가 만들어진 1977년까지의 인식범위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오늘날에는 틀림없이 더 많은 것이 밝혀졌을 것이다. 앞으로 과학기술이 발전한다는 전제하에 우리는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 세계는 무한의 세계라 할 수 있겠다. 미시세계와 거시세게 모두가 무한의 세계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미시세계의 무한이 거시세계의 무한보다 작다고 분명하게 말할 수 있다. 이는 미시세계가 우리 몸안의 부분집합이기 때문이다. 소우주(小宇宙 microcosm)와 대우주(大宇宙 macrocosm)는 이처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force)를 통합한다는 대통합이론(Theory of Everything)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생각도  해본다. 지나치게 나간 것 같아, <Powers of Ten>의 공식사이트  http://www.powersof10.com/film의 주소를 공유하면서 마무리하자.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금모자 2020-03-29 16:1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아미르 D. 악젤의 《무한의 신비》는 칸토어 전기인데, 칸토어가 무한을 연구하면서 유태교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알 수 있는 책입니다. 예를 들어 칸토어가 무한을 표현할 때 쓰는 기호는 알레프라는 히브리 문자죠. 연구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알 수 있는 흥미로운 책이라 추천합니다.

겨울호랑이 2020-03-29 16:24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칸토어가 유태교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잘 몰랐는데, 황금모자님 덕분에 알게 되었습니다. 좋은 책 추천 감사합니다! 황금모자님 건강한 한 주 보내세요^^:)

북다이제스터 2020-03-29 17: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주는 유한한데 경계가 없다”는 이야기를 근래 듣고 저도 ‘무한’에 요즘 관심 많습니다. ^^

겨울호랑이 2020-03-29 17:15   좋아요 0 | URL
유한하지만, 경계가 없다는 말이 어렵게 느껴집니다. ㅜㅜ 공부가 더 필요한 것이겠지요. 무한 등은 평소 우리의 인식범위를 넘어선 개념이어서인지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북다이제스터님 공부하시다 좋은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악마가 이미 시몬 이스카리옷의 아들 유다의 마음속에 예수님을 팔아넘길 생각을 불어넣었다.(요한 13 : 2) ... 유다가 그 빵을 받자 사탄이 그에게 들어갔다. 그때에 예수님께서 유다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하려는 일을 어서 하여라."(요한 13: 27)


 The devil had already induced Judas, son of Simon the Iscariot, to hand him over(Jn 13 : 2)... After he took the mersel, Satan entered him. So Jesus said to him, "What you are going to do, do quickly."(Jn 13 : 27)


 그(루시퍼)는 여섯 눈구멍으로 울고 세 조각

 턱 위로는 눈물과 피맺힌 침을 뚝뚝 흘리더라.

 

 입이란 입은 이빨로 한 죄인을 

 발기는 게 삼을 찢는 듯한데, 이렇게

 세 놈을 아파 못 견디게 굴더라.


 스승이 가로되, "저기 드높이 가장 무서운

 벌을 받는 영혼이 유다(이스카리옷)이니, 

 그 골통이 쑥 들어가고 정강이만 쑥 내밀었구나.(p466) <단테의 신곡 上 지옥편 제34곡 52 ~ 63)> 中 


 기독교 역사 2000년 중 가장 유명한 죄인, 배신자인 유다 이스카리옷. <성경 The Bible> <신곡 La Divina Commedia>에서도 설명되고 있듯 생전에는 사탄(Satan)의 유혹을 받은 존재로, 죽어서는 지옥에서 루시퍼(Lucifer)에게 괴롭힘을 당한다. 이처럼 기독교인들에게 그리스도를 죽음으로 이끈 배신자인 유다는 용서할 수 없는 죄인이다. 때문에, 기독교 문명에서 그에 대한 평가가 좋지않은 것은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많은 작품에서 유다는 '할 말 없는 죄인'에 불과하지만, 레오니드 안드레예프(Leonid Andreyev, 1871 ~ 1919)의 <가룟 유다>는 그런 관점에서 벗어난 작품이다.

 

 힘이 있어 보였지만 유다는 왜 그런지 나약하고 병색이 있는 듯 가장했고, 목소리는 일정치 않았다. 때로는 힘 있고 남성적이고, 때로는 듣기에 불쾌하고 기분나쁘며 남편을 욕하는 늙은 여편네의 째지는 목소리를 냈다... 붉은빛의 짧은 머리칼은 그의 이상한 두개골을 감추지 못했다. 그의 두개골은 두 번의 칼질에 의해 절단된 듯 뒤통수에서부터 네 부분으로 확연히 구분되어 있어 불신과 불안감을 불러일으켰다. 그런 두 개골을 갖고 있다면 고요와 평화는 있을 수 없으며 유혈의 무자비한 전투 소리가 끊이지 않고 들릴 것이다. 유다의 얼굴 역시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날카롭게 관찰하는 검은 시선의 한쪽 눈은 활기차고 생동감이 넘치며 그 주위는 많은 주름이 져 있었지만, 다른 쪽은 생기도 없이 밋밋하고 마비된 듯하고 주위에 주름살도 없었다.(p30) <가룟 유다> 中


 <가룟 유다>에서 유다의 외모는 이중적이다. '살아 있는 눈'과 '죽은 눈'을 가진 좌우 비대칭 외모를 가진 인물. 마치 마징가Z의 아수라 남작처럼 다른 면을 가진 유다는 그의 외모처럼 스승에 대한 사랑과 미움이 공존하는 인물이다. 스승을 사랑하지만, 동시에 스승을 미워하는 제자. 한 인물 속의 애증(愛憎)의 감정은 결국 그를 파탄으로 이끈다.


 모든 이에게 예수는 부드럽고 아름다운 한 송이 꽃, 좋은 향기가 나는 장미였지만, 유다에게는 날카로운 가시였다. 마치 유다에게는 심장도 눈도 코도 없어 그가 다른 사람들처럼 부드럽고 순수한 꽃의 아름다움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p45) <가룟 유다> 中


 자네(유다)는 아름답지 않고 자네의 혀 또한 얼굴처럼 유쾌하지 않네. 자네는 거짓말을 일삼고 항상 험담을 늘어놓네. 그러면서 예수가 자네를 사랑하기를 바라는가?(p60)... 도마, 난(유다) 그를 아네. 스승님은 유다를 두려워하는 거야! 스승님은 용감하고 강하고 아름다운 유다로부터 숨고자 하네. 스승님은 바보, 배반자, 거짓말쟁이를 사랑하네. (p61) <가룟 유다> 中 


  스승의 사랑을 바라지만, 스승의 사랑을 받지 못한 유다. <가룟 유다>에서 유다는 똑똑하지만 거짓말을 일삼는 비열함도 함께 가진 이중적인 인물로 설명된다. 그리고, 하나의 사건은 유다를  제사장 안나스에게 이끌어 스승을 팔아 넘기게 된다.


 그들은 스승님을 항상 사랑합니다만, 살아 있을 때보다 죽었을 때 더 사랑합니다. 스승님이 살아 있으면 가르침에 대해 물을 것이고 그러면 그들은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그러나 스승님이 죽으면 그들이 스승이 될 것이고 그때는 다른 이들의 마음이 불편하겠지요!.... 그들은 불쌍한 유다를 모욕했습니다. 그들은 제가 은화 세 닢을 훔쳤다고 말했습니다. 마치 유다가 이스라엘에서 가장 파렴치한 사람인 것처럼 말입니다!(p77) <가룟 유다> 中 


[그림] 스승을 넘기는 유다( 출처 :https://www.history.com/news/why-judas-betrayed-jesus)


 <가룟 유다>에서 끊임없이 번민하는 유다의 모습이 제시된다. 예수를 유대 제사장들에 넘긴 후 유다가 자살한 것은  역사적 사실이다. 성경에서는 유다의 죄책감에 초점에 맞추지만, <가룟 유다>에서 유다는 조금 다르다. 예수 죽음의 책임을 자신에게만 전가하지 않고, 다른 제자들에게 되묻는다. 가장 사랑받는 제자라 불렸던 요한, 반석 위에 교회를 세울 것이라는 말을 들은 베드로, 예수 오른쪽과 왼쪽에 앉게 해달라고 청한 야고보와 요한. 그들 중 어느 누구도 예수가 잡혔을 때 예수 곁에 있지 않았음을 유다는 비판한다. 너희들이 나를 배신자라고 욕하지만, 너희들 역시 나와 마찬가지가 아니냐는 유다의 물음은 통렬하다.


 자네가 말하는 훌륭한 희생이라는 게 정말 있는가? 희생이 있는 곳에는 통곡 소리와 배신자들만이 있네. 희생이란 한 사람의 고통이자 모든 이들의 치욕이네. 배신자들, 자네들은 이 땅에 무슨 짓을 한 건가? 자네들 자신이 모든 죄를 짊어졌네. 자네로부터 배신자 종족과 소심쟁이, 거짓말쟁이 가문이 시작되지 않겠는가? 자네들은 이 땅을 파괴하려 했네. 자네들은 조만간 자네들이 예수를 못 박은 십자가에 입 맞출 것이네!(p136) <가룟 유다> 中 


 <가룟 유다>에서 유다 죽음의 동기는 죄책감이라기보다는 허무감에 가깝다. 스승을 사랑하는 마음과 미워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사건. 예수 수난기. 유다의 분열된 마음이 가져온 이 사건과 유다의 죽음을 통해서 비로소 유다의 마음은 하나로 통일이 된다. 여기서 한 가지 물음을 던지게 된다. 유다의 죽음은 <성경>의 내용처럼 그 자신을 회개하지 않은 죄인으로 만든 선택이었을까, 아니면, <가룟 유다>에서처럼 분열된 인격의 통합으로 이룬 완성이었을까. 잘 모르겠다.


 예수는 죽었다. 공포와 꿈이 실현됐다. 이제 누가 유다의 손아귀에서 승리를 빼앗겠는가? 실현됐다. 지구상에 있는 모든 군중이 골고다에 모여 '구해 주소서, 구해주소서!' 외치도록 내버려 두자. 피와 눈물의 바다가 땅 위에 흐르겠지만 그들은 단지 치욕스러운 십자가와 죽은 예수만을 발견할 것이다.(p124)... 유다는 자신의 발밑에서 하늘과 태양을 느꼈다. 이 세상에서 유일하게 외로운 그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세력의 무력함을 느끼고 그 모든 것들을 심연 속으로 던져 버렸다.(p125)... 기괴한 열매처럼 유다의 몸은 밤새도록 예루살렘 위에서 흔들렸다. 그러나 죽어서 이상해진 얼굴이 어느 방향을 향하건, 핏기로 가득 찬 붉은 두 눈은 쌍둥이처럼 닮아 있었고 한결 같이 하늘을 바라보고 있었다.(p141) <가룟 유다> 中 


 <가룟 유다>에서 유다는 모순된 인물이다. 거짓말을 일삼는 교활한 인물이기도 하면서, 스승의 사랑을 원하는 지고지순한 인물이기도 하면서, 상처 받기를 두려워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또한, 유다는 도마와 대화를 나눌만큼 이성적인 면도 가진 반면, 베드로와 힘을 겨눌만큼 튼튼한 신체도 가진, 문무(文武)를 겸비한 매우 복합적인 면을 가진 인물이다. 우리의 인식과는 다른 유다의 모습을 우리는 <가룟 유다>에서 발견한다. 우리는 유다의 다른 면을 외경(外經)에서 찾을 수 있는데, 지난 2006년 세상에 알려진 <유다복음 The gospel of Judas>이 그것이다. 

 

 유다가 말했다. "선생님, 제 후손들이 그 통치자들의 다스림을 받을 수 있을까요?" 예수가 대답하여 그에게 말했다. "오라, 나는 [-2행 누락-], 그러나 너는 네가 그 나라와 그 모든 세대를 보면 많이 슬퍼질 것이다." 유다가 이 말을 듣고 그에게 말했다. "내가 받아들인 그것은 좋은 것입니까? 왜냐하면 당신은 저 세대를 위해 저를 떨어뜨려 놓으셨습니다." 예수가 대답하여 말했다. "너는 열세번째가 될 것이며 다른 세대들에 의해 저주받을 것이다. 그리고 너는 그들을 다스리게 될 것이다. 마지막 날에 그들은 네가 거룩한 [세대]로 올라간 것을 저주할 것이다. 예수가 말했다. "[오라], 내가 너에게 어느 누구도 본 적이 없는 [비밀]에 대하여 가르쳐주마. 왜냐하면 위대하고 끝없는 세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유다복음> 中 (번역 출처 : http://m.pressian.com/m/pages/articles/320?no=320)


   Judas said, "Teacher, surely the rulers are not subject to my seed?" Jesus answered. He said to him, "Come ..... [about two lines are untranslatable] [b]ut because you will groan deeply when you see the kingdom and its entire race." When Judas heard these things, he said to him, "What benefit have I received because you separated me for that race?" Jesus answered. He said, "You will become the thirteenth and you will be cursed by the rest of the races - but you will rule over them. In the last days, they will < > and you will go up to the holy ra[ce]." Jesus said, ["Com]e and I will [te]ach you about the [things ..... that] no human will see.(p116) <Judas, 9 : 26 ~ 10 : 1> 中 


 영지주의(Gnosticism) 복음서로 여겨지는 <유다복음>이 기독교에서는 받아들여지지는 않지만, 이 안에서 유다는 예수에게 인정받는 첫 번째 제자이면서, 비밀을 전수받는 존재로 묘사된다. 신앙적으로는 내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겠지만, <유다 복음>의  인간 유다의 다른 면을 발견한다는 것에 의의를 두도록 하자. <가룟 유다>와 <유다 복음>을 통해 용서받을 수 없는 악인(惡人)이 아닌 인간 유다에 대해 다시 생각하면서 페이퍼를 갈무리한다...


PS. 사탄과 루시퍼에 대한 이야기는 제프리 버튼 러셀(Jeffrey Burton Russell, 1934 ~ )의 <악의 역사> 시리즈를 통해 다음 기회에 정리해보도록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의 자리도, 도시의 운명도, 주민의 안전도 수시로 위협받고 사라지며 새로운 존재들로 대체되는 것이 가나안에서의 삶이었다. 그런 까닭에 가나안에서 우기와 건기를 지배하는 신의 지위는 더욱 높아갔고 주민의 삶은 더욱더 신에 종속되는 동시에 순간의 안전과 아름다움에 매몰되었다. 순간이 지배하고, 신의 지배력이 절대화되는 땅 가나안에 아람 사람 아브람과 그 일행이 발을 내딛게 된 것이다.(p26) <고대 이스라엘 2000년의 역사> 中


 <고대 이스라엘 2000년의 역사>라는 책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책은 구약시대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를 배경으로 한 책이다. 본문은 아브라함으로부터 시작해서 로마의 속주로 전락하기까지의 과정이 잘 정리되었으며, 여러 그림과 유물의 사진이 이 시대에 대한 이해를 돕기에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대와 다른   책의 내용으로 다소 아쉬움을 갖게 된다. 


 역사(歷史 history)란 무엇일까. 역사란 인류 사회의 변천과 흥망성쇠(興亡盛衰)에 대한 기록이다. 때문에, 역사의 주체는 당연히 인간이 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고대 이스라엘 2000년의 역사>에는 인간이 아닌 다른 주체, 야훼가 등장한다. 그리고, 책에 대한 아쉬운 지점이 바로 이 부분이다.


 저자들은 가나안에서 신(神)의 존재가 다른 문명보다 특별했다 느꼈을까. 그래서인지, 책에서 전체 사건은 '신과의 계약 - 파기 - 벌 - 용서'의 성서적 해석을 크게 넘어서지 않는다. 역사적 사건은 이러한 해석에 대한 이해를 돕는 장치로 작동한다. 예를 들어, 여로보암(Jeroboam, BC 998 ? ~ BC 977 ?)에 의한 남유다 - 북이스라엘의 분열계기를 설명한 대목을 살펴보자. 솔로몬(Solomon, BC 971 ? ~ BC 931 ?)의 우상숭배로 인한 파멸적 결과로 이 사건을 해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해석은 성서적 해석을 크게 넘지 않은 것으로, 역사적 해석이라 보기 어렵다.


 '다른 신을 좇지 말라'는 야웨의 명령, 두 번에 걸친 권유에도 불구하고 솔로몬은 왕비들과 함께 그들의 신을 좇는 모습을 보여준다. 기름 부음 받은 다윗의 계승자, 야웨 하나님의 축복으로 제국의 번영을 가져온 지혜의 왕이라는 자신의 본래 자기에서 떠난 것이다. 결국 솔로몬은 야웨로부터 제국의 분열을 선언받는다.(p198)... 여로보암의 반란은 새 의복을 열두 조각으로 찢고 그 가운데 열 조각을 취하도록 한 실로 사람 아히야의 예언에 용기를 얻어 일으킨 것이었다.(p199) <고대 이스라엘 2000년의 역사> 中


 그렇다면, 역사적 해석이란 무엇일까. 역사를 E.H.카의 유명한 역사에 대한 정의 -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 - 에 따라 역사적 사실을 통해 과거의 사건을 재해석하고, 과거와 현재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그 의미를 발견하는 과정이라 한다면, 우리는 큰 흐름 속에서 일련의 사건들이 큰 흐름 속에서 반복, 재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역사적 해석이라면 사건에 이러한 의미를 찾는 과정이 아닐까.


 '역사가는 사실의 잠정적인 선택과 그 선택을 이끌어준 잠정적인 해석에서 출발한다. 그가 연구하는 동안 사실의 해석 그리고 사실의 선택 및 정돈 그 두 가지는 이러저러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미묘한 그리고 아마도 얼마간 의식되지 못하는 변화들을 겪는다. 그리고 이 상호작용에는 현재와 과거 사이의 상호관계도 역시 포함되는데, 왜냐하면 역사가는 현재의 일부이며 사실은 과거에 속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나의 첫번째 대답은, 역사란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의 과정,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 a continous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the historian and his facts, an unending dialogu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라는 것이다.'(p50)


 역사의 반복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우리가 무언가 새로운 것을 할 때, 과거의 인간과 사례를 불러내어 반복한다는 것. 사람은 여태껏 보지도 알지도 못하는 사태에 직면할 때, 그것을 기존 지식으로 어떻게든 이해하려고 하며, 그리고 실제로는 다른 일을 해버리는 것에는 어떤 불가피성이 있다. 둘째, 과거의 사태를 부정하고 잊어버렸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반복되는 것. 이 강박적 반복은 '억압된 것의 회귀'(프로이트)이다. 이것 또한 피할 수 없다.(p45) <역사와 반복> 中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아시모프(Isaac Asimov, 1920 ~  1992)의 <아시모프의 바이블 : 오리엔트의 흙으로 빚은 구약 Asimov's Guide to The Bible: The Old Testament>의 내용은 보다 역사적 해석에 가깝다. 고대 이스라엘 왕국 속에 내재된성(聖)과 속(俗)의 권력다툼은 중세 교황권과 황제권의 대립으로 재현되었고, 오늘날에도 여러 형태로 변형 반복되는 모습 속에서 우리는 역사의 교훈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림] 북이스라엘 왕국과 남유다 왕국(출처 : https://www.conformingtojesus.com/charts-maps/en/israel_and_judah_map.htm)


 솔로몬 왕국의 가장 큰 위험은 내부에 있었다. 유다와 이스라엘 사이의 적대 의식은 결코 소멸되지 않았고 단지 휴면 상태에 있을 뿐이었다. 그것도 한 눈을 뜬 채로 말이다. 그 한 눈은 바로 예언자 집단이었다. 이스라엘의 첫 왕 사울의 시대에도 왕권과 사무엘이 지도하는 예언자들의 권력 사이에 알력이 있었다.(p438)... 솔로몬의 관대한 종교정책은 예언자 집단, 특히 (유다 출신보다는) 이스라엘 출신 예언자들을 소외시켰다. 이스라엘인 예언자들은 예루살렘을 신앙의 중심지로 삼는 것을, 따라서 이스라엘의 여러 성소들의 중요성이 줄어드는 것을 썩 내켜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들에게는 종교적 감정은 민족주의와 뗼 수 없는 관계였다. 이스라엘의 예언자 아히야는 에브라임 사람인 여로보암을 주목했다. 여러보암은 예언자 집단과 많은 이스라엘인 불평분자의 지원을 등에 업고 반란을 일으켰다.(p439) <아시모프의 바이블 : 오리엔트의 흙으로 빚은 구약> 中


 아시모프는 남북국의 분열을 '계약 위반'의 관점에서 접근하지 않았다. 성소(聖所)의 위치를 둘러싼 왕과 예언자 집단의 대립. 이것은 정치와 경제의 이권(利權) 다툼이었고, 여로보암은 '단'과 '베델'에 성소를 두면서 자신을 지지한 예언자 집단에게 보답을  하게된다. 아마도 이들 예언자 집단은 두 곳에 성소를 두면서 이스라엘의 종교행사인 파스카(peschach, 유월절) 등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갈 수 있었을 것이다. 현대의 예루살렘(Jerusalem) 역시 3대 종교의 성지로 많은 순례자가 방문하고, 많은 돈이 이 지역에 뿌려짐을 생각한다면 우리는 성소의 의미를 경제적으로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북이스라엘 왕국의 북쪽 경계가 상업이 발달한 페니키아(Phœnicia)임을 생각한다면, 이를 상업을 기반으로 한 북쪽 집단과 유목을 중심으로 한 남쪽 집단의 패권다툼으로 바라볼 수도 있지 않을까. 이는 역사 속에서 상업의 카르타고(Carthago)와 농업의 로마(Roma)의 포에니 전쟁으로 재현되었다고 바라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성소를 둘러싼 갈등은 로마 제국의 5개 대주교(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간의 갈등으로 재현된다는 점에서 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 1941 ~ )이 말한 역사의 반복을 생각할 수 있겠다. 개인적으로 인간의 역사는 형이상학적인 이념(理念)이나 사상(思想)이 아닌 정치(政治)와 경제(經濟)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비로소 객관적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많은 경우 사람들은 자신의 안정과 이익을 위해 움직이기 때문에, 역사의 해석도 여기에 맞추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만약, 여기에 절대적 존재인 신(神)이 개입한다면, 어떻게 될까. 그것은 더 이상 역사가 되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한다. 신의 선택을 받은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간의 선(善)-악(惡)의 대립으로 모든 세계관이 정리되겠지만,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역사적 교훈을 끌어내기는 어렵지 않을까.


 이러한 이유로 <고대 이스라엘 2000년의 역사>는 역사를 제목에 붙인 성경 입문서로, <아시모프의 바이블 : 오리엔트의 흙으로 빚은 구약>은 성경을 제목에 붙인 고대 근동 역사 입문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PS. 이 짧은 이야기를 하려고 너무 많이 떠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