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대통령 선거 후보자 토론회를 못 본다.

트라우마가 있어서,

특정 정당의 후보자를 보면 혈압이 오르고, 울화가 치밀고,

얼굴이 벌게지다가 텔레비전을 깨버리고 싶어지기 때문이다.

 

엊그제 토론회를 보고 박중훈이 한 말이란다.

01 3456789

 

 

접힌 부분 펼치기 ▼  이 말의 뜻은

 

어? 이가 없네~ 

 

이걸 친구한테 물어봤더니,

이가 뽑혔다? 이랬다는... ㅋ~

펼친 부분 접기 ▲

 

 

 

이번 대통령 선거에선 기호 #번이 훨씬 공약이 멋지대~

이번 대통령 선거에선 기호 #번이 훨씬 공약이 멋지데~

 

어떤 것이 올바른 표기일까?

 

결론은,

둘 다 옳다. ㅋ~

 

그럼? 당연히 뜻은 다르다.

 

'-대'는 '~~ 하다고 해'의 뜻이고,

'-데'는 '~~ 하더라'의 뜻이다.

 

'이병헌 여동생이 그렇게 예쁘대~'는 '전하는 말'로,

그렇게 예쁘고 해~ 라는 말을 듣고 전하는 상황이고,

 

'이병헌 여동생이 그렇게 예쁘데~'는 '경험을 표현하는 말'로,

봤더니 정말 예쁘라~는 마음을 표현하는 상황이다.

 

연습을 몇 개 해보면 알겠다.

 

철수 : 야, 넌 기호 몇 번 찍을 거야?

영희 : 아우~ 말도 마. 이번에 나온 **이는 숨겨논 재산이 수천 억이라(데/대).

 

이 경우에는 '전해들은 말'이고, '~라고 하더라'의 뜻이니까,

과거 회상 선어말 어미인 '-더'가 들어간 '-데'가 알맞다.

 

철수 : 송년회는 어디서 할 거야?

영희 : 궁금해? 궁금하면 6백원 ㅋ~ 올해 송년회는 다들 바빠서 건너 뛴(대/데).

 

이 경우에는 '~한다고 해'의 의미니까,

'다'가 포함된 '-대'가 옳은 쓰임이다.

 

생김새가 비슷한 걸로 외우면 좋겠지?

'-더'와 어울리는 건 '-데'

'-다'와 어울리는 건 '-대'

 

그래서 다시 훈련해 보자면,

 

우와, 그넘 정말 많이도 먹더라~~~ 줄이면? 많이 먹데~

 

우와, 그넘 정말 많이도 먹는다더라~~ 줄이면? 많이 먹는대~!

 

 

쉽죠잉?

 

쉬운 사람은~ 500원 필요 없으니깐,

 

닥치고, 투표~!


댓글(8) 먼댓글(1)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양철나무꾼 2012-12-18 1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저도 '2가 뽑혔대~' 부류인데...^^
대통령 후보 말고,
교육감 후보도 깔끔하고 간략하게 정리해 주심 안될까요???

글샘 2012-12-18 23:44   좋아요 0 | URL
서울은 교육감도 같이 뽑죠~

문재인이 2번이고 문용린도 2번이라 헷갈리는 사람들도 있나보던데요~ ㅋ~
문재인의 2번은 '당적'에 의한 것이고,
문용린의 2번은 '뽑기'에 의한 것입니다.

문재인하고 같은 계열은 4번 이수호가 아닐까 싶네요~

북극곰 2012-12-18 16: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TV로 후보자 토론회를 못보는 이유가 저랑 비슷하군요.
근데 다음날 유투브로 본다는...

닥치고 투표!!

글샘 2012-12-18 23:45   좋아요 0 | URL
저는 못봐요. 동영상도...
어차피 투표할 번호는 정해져 있고...

제가 mb 뽑진 않았어도, 뽑으러 안 간 죄인 중 하납니다.

닥치고 투표~!!!

순오기 2012-12-18 23: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닥치고 투표!
우리집은 4표입니다~ 처음으로 넷이 뭉쳐서 투표하러 갈겁니다.^^

글샘 2012-12-18 23:46   좋아요 0 | URL
광주는 크게 걱정할 거 없죠.

부산도 박빙으로 점쳐지는 걸 보면... 야당이 좀 유리한 듯 싶기도 하구요. ^^

페크pek0501 2012-12-19 14: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닥치고 투표~~~ ㅋㅋ

테레사 2012-12-20 14: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 선생님, 어떻게 앞으로 살아야 하죠? 이 강고한 기득세력을 어떻게 하죠? 어째야 하는걸까요?
 

바야흐로 김장의 계절입니다~

김치 냉장고와 냉장창고 덕에,

배추도 겨우내 등장해 주시고, 김장을 담글 필요가 없는 시대가 오고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온난화 탓인지, 겨울이 따뜻한 해에는 김장이 필요없는 때도 있구요.

예전처럼 땅에 파묻을 장소도 도시엔 없구요...

 

김치를 (담가/담궈) 먹는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을까?/ 담글까?/ 담굴까?)

포도주를 (담가/담궈) 마시는 일 때문에 교도소에는 포도 반입이 금지되어있대~

 

사전에 '담그다'를 찾아 보면 이렇게 나와있습니다.

 

담그다 (사람 김치 따위 발효 음식)재료 섞어 익도록 그릇 넣다.

 

'담그-'의 어간에 '-아'라는 어미가 결합되면,

'ㅡ'가 탈락되어 '담가'가 됩니다.

 

근데, 서울 지역에서도 '담궈' 먹는다는 식의 발음이 통용되는데요.

서울말이라고 모두 표준어는 아니랍니다.

 

'담궈'가 나오려면, '담구다'라는 어형이 사전에 있어야 하거든요.

근데 사전에 보면, '담구다'는 담그다의 잘못으로 표기되어 있죠.

그러니 '담궈'는 틀렸고, '담가'가 맞는 것입니다.

 

김치를 '담아' 먹는다~는 어떻냐구요?

그것은 어떤 특별한 그릇에 '담아' 먹을 수는 있겠죠. ^^

김치를 만드는 일은 '담가' 먹는다고 합니다.

 

마찬가지 사례가 '문을 (잠가/ 잠궈) 두시오.'와 같은 경우인데요.

이 경우에도 사전에서 '잠그다'를 찾아 보시면 되겠죠?

친절하게 찾아 드립지요. ㅎㅎ

 

잠그다(걸거나 꽂거나 하여 열리지 않도록 하다

 

그럼 '잠구다'도 찾아 보고 싶으시죠?

 

잠그다의 잘못으로 나와있거나, 잠그다를 참조할 것~ 이렇게 등장합니다.

'잠구다'는 표준어가 아니란 말씀이죠.

 

그러니, '잠그- + -어'에서 역시 '으' 발음이 탈락하고,

(한국어 화자의 특징은 입을 가로로 길게 벌리지 않는 것도 있습니다.

한국어의 '이'는 영어의 '이'발음과 아주 다르답니다.

영어 화자의 '이'는 입술을 가로로 길게 여는 소리입니다.

이런 한국어 화자에게 '으' 소리는 상당히 부담스럽죠. 그래서 툭~하면 호박 떨어지는 소리~ ㅋㅋ

툭~하면 '으' 소리가 '어'나 '아' 앞에서 탈락하게 되는 겁니다.)

 

'잠가' 주십시오. 처럼 쓰이는 거죠.

 

활용을 연습해 보자구요.

 

담그다. 담가, 담그니, 담가서, 담글까

잠그다. 잠가, 잠그니, 잠가서, 잠글까

 

날이 춥습니다.

날이 추울수록 봄이 가까워지는 거겠지요?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크아이즈 2012-12-09 2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나저나 글샘님네는 김장을 했나요?
(기왕이면 가르친대로 활용해야지. 김치를 담갔나요? 아니지, 담그셨나요? ㅋ)
별 걸 다 묻는 일인. 울집 김장이 넘 싱거워서 일 년 농사 망친 기분이라 다른 동네는 어쩐가 궁금해지옵니다.

글샘 2012-12-13 11:42   좋아요 0 | URL
우린 김장 담그지 않고 ㅋ~ 얻어다 먹습니다.

테레사 2012-12-10 1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우,,,정말 새겨듣겠습니다.

글샘 2012-12-13 11:42   좋아요 0 | URL
말 참 잘 들으시는군요. ㅎㅎ
 

신용 카드 많이 쓰시죠?

참 신기해요, 그쵸?

그 작은 플라스틱 안에 뭐가 들었길래, 그걸로 이런저런 일들이 가능한지 ㅋ~

 

카드를 긁을 땐 소액인데, 그게 모이면 왜 그렇게 거액이 되는 걸까요? --;

신용 카드 만든 사람, 천재인가 봅니다. ㅋ~

 

카드 긁을 때, 점원이 물어보죠?

캐시 오어 카드? 그렇겐 안 묻죠? ㅎㅎ

 

어떻게 (결재 / 결제) 하시겠습니까?

 

자신있게 뒤의 것을 택하셨다구요?

그럼, 훌륭한 국어 사용자신 거죠. ㅎㅎ

 

과장님한테 (결재 / 결제) 갔다가 박살만 났다구~ ㅠㅜ

 

이럴 땐 어떤 것일까요?

눈치를 보니, 앞의 것이 맞겠죠?

 

이 두 낱말은 전혀 뜻이 다른데,

한국어에서 [ ㅔ ] 음과 [ ㅐ ] 음은 비슷한 자리에서 발음되며,

입술의 생김새도 거의 같아서 혼동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답니다.

가장 흔한 예로 [ 네 ]라는 발음이 있습니다.

'너의'를 줄여서 '네'라고 말하는데요.

'만약 네가 나라면 넌 어떡하겠네'~ 이런 가사라면 [ 네 ]를  [ 내 ]로 잘못 이해할 수도 있는 거죠.

그래서 서울 지방에서도  [ 네 ] 를 [ 니 ] 라고 해서 [내]와 구별해 쓰는 일도 흔합니다.

 

자, 그럼 사전을 찾아 보죠.

 

결재 [決裁] 결정 권한이 있는 상관이 부하가 제출한 안건을 허가하거나 승인함, 허가하거나 승인하다

 

결제 [決濟] 돈이나 증권 따위를 주고받아 당사자 사이의 거래 관계를 끝맺음, 주고받아 매매 당사자 간의 거래 관계를 끝맺다

 

재(裁)라는 한자에는 '옷 의(衣)'자가 들어있죠? '마를 재'입니다. 천을 가위로 자르는 거죠.

 

가위로 잘라도 되는지 허락을 얻는 경우에 쓰는데요.

'재가(裁可)'를 얻는다~ 처럼 씁니다. '가'는 '가능한지'란 뜻이니, 가능한지 허락을 얻는다~는 뜻이죠.

'재판(裁判)'은 많이 쓰는 말이죠? 재판받으러 가면 안 되죠~ 구찮아여~ 그쵸? ㅋ~

 

건널 제(濟)라는 한자는 물을 건너간다~ 돈을 건네준다는 뜻입니다.

 

결제하는 건, 돈을 건네줄 것을 결정하는 거죠~

빌린 돈을 다시 갚을 때, '변제'라는 말을 씁니다.

돌아오는 말일까지 변제할 것을~ 이렇게 말이죠.

 

헷갈리는 말은 여러 가지 비슷한 말을 자꾸 써보다보면 잘 알게 됩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aint236 2012-11-20 1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완전 거꾸로 생각했었는데 다시 생각해보니 이것이 맞네요. 가끔 아는 것도 엉뚱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퀴즈쇼에 나가면 엉뚱한 것을 틀리는 분들의 마음을 조금은 알 것 같네요.

글샘 2012-11-20 12:51   좋아요 0 | URL
맞아요. 이렇게 쌍으로 헷갈리는 건, 아는 건데도... 결정적 순간에 헷갈리죠. ㅎㅎ
 

스마트폰 게임이 유행이라, PC방 영업이 덜 된다고 합니다.

게임 중에 '퀴즈킹'인가 하는 게임이 있습니다.

문제를 주고, O X로 답하는 게임인데, 순발력과 지력이 필요합니다.

워낙 분야가 다양해서, 상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예 정보도 알아야 해서 쉽지만은 않더군요.

그 게임에 가끔 한글 맞춤법에 맞는 것을 물어보기도 하는데, ㅋ~ 제일 자신있는 분야더군요.

퀴즈킹 하실 분, 이 교실을 부지런히 읽으시길...

 

한번은 '마침표와 종지부는 같은 말이다.'하는 문제가 나왔더군요.

그래서 저는 당연히  X 를 자신있게 눌렀습니다.

마침표와 종지부는 항상 같은 말'은' 아니거든요.

왜 아닌지, 제목과 연관지어 생각해 보시지요. ^^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마침표(.)는 '온점'이라고 부릅니다.

이 '온점'은 문장을 '평서문'으로 마쳤음을 표시하는 것이지요.

이외에도 '마쳤음(종지)'을 알리는 표시가 몇 가지 더 있지요.

'느낌표(!)'는 감탄문으로 마쳤을 때 쓰는 것이고,

'물음표(?)'는 의문문으로 마쳤을 때 쓰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마침표(한자어로 종지부라고 합니다.) 안에는 온점(.), 고리점(。세로쓰기에서 쓰이는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네 가지 마침표(종지부) 중에서 특히 '온점'이 가장 대표적인 종지부이므로 그걸 흔히 '마침표'라고 부르지요.

 

그러니 마침표에는 두 가지 뜻이 있는 셈입니다.

 

1. 종지부 = 마침표 : 문장 끝마침을 알리는 표지(온점, 고리점, 물음표, 느낌표가 쓰임)

 

2. 마침표 = 온점(.)

 

우리가 흔히 문장에서 '마침표를 찍었다'고 할 때는 2번의 뜻으로 쓰잖아요?

예를 들면, '안 후보와 문 후보는 주말 회동으로 단일화 논란에 마침표를 찍었다.'고 할 때는,

'물음표, 느낌표'를 포함하는 1번의 뜻이 아니라고 봐아겠죠?

 

그래서, 다시 문제를 내 본다면 이렇습니다.

 

1. 물음표는 종지부이다. (항상 그렇다.)

2. 느낌표는 종지부이다. (항상 그렇다.)

3. 마침표는 종지부이다. (항상 그렇다.)

 

4. 물음표는 마침표이다. (항상 그렇다.)

5. 느낌표는 마침표이다. (항상 그렇다.)

 

6. 마침표와 종지부는 같은 말이다. (그럴 때도 있고 아닐 때도 있다.)

 

국어 사전에서 '마침표'를 찾아 보니 이렇게 설명되어 있네요.

 

마침표 :  문장 끝맺음 나타내는 부호 통틀어 이르는 . 온점, 고리점, 물음표, 느낌표 등이 있으며, 흔히 온점만을 가리킨다.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테레사 2012-11-19 17: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 정말이지 너무 유익한 글샘님의 맞춤법 교실이라니...

글샘 2012-11-19 22:53   좋아요 0 | URL
정말요? ^^ 유익하다니... 기쁩니다. ㅋ~

근데요~ '너무'는 부정적일 때 쓰는 게 옳걸랑요. ^^
'정말' 유익한 글이에요~ 이게 좋죠.
'너무' 유익해서 재수없어요~ 이럴 땐 '너무'가 맞겠지만. --;

마립간 2012-11-20 1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광의의 종지부와 협의의 종지부의 의미. 문제가 묻는 것이 필요충분조건을 묻는 것인가, 필요조건 또는 충분조건을 묻는 것인가에 따라 답이 달라지는 것이고.
결론적으로 '마침표와 종지부는 같은 말이다. ; OX 문제'는 좋지 않은 문제네요.
이런 조건에 논란이 없는 문제를 내는 것은 매우 어려워요.

글샘 2012-11-20 10:01   좋아요 0 | URL
네. 그거죠. ㅋ~
마침표 집합 안에는 [마침표, 느낌표, 물음표]가 들어있는 셈이죠. ㅎㅎ

맞아요. 논란이 없는 문제... 어렵죠. ㅋ~

테레사 2012-11-20 1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님...네네. 맞습니다..제가 자주 실수하죠? 하지만, 이렇게 교정해 주시면, 참 좋겠어요. 감사합니다.

글샘 2012-11-20 12:59   좋아요 0 | URL
ㅋㅋ 까칠하죠? 일부러 그런 거라구요~ 맞춤법 교실이니까~
(그리고 '글샘 님'이라고 띄어서 써야 하는 게 맞답니다~)

마립간 2012-11-20 13:15   좋아요 0 | URL
글샘님 (글샘 님), '님'은 접미사로 앞명사에 붙쳐쓰는 것이 맞지 않나요? 검색에는 '글 샘 님'이라고 나오네요.

글샘 2012-11-20 14:17   좋아요 0 | URL
궁금이 스머프 마립간 님 ㅋ~

접미사 '-님'은 '선생-님, 해-님' 같이 쓰는 경우구요.
글샘 님의 '님'은 '안철수 씨', '문재인 군' 처럼 이름 뒤에 쓰는 '의존 명사'로 쓰는 경우입니다.

사랑하는 '님'과 함께 같이 산다면~ 하는 '님'은 이제 쓰면 안 됩니다. '임'이라고 써야 하구요. 이게 명사란 건 아시겠죠? ㅎㅎ
인터넷에서 '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는 '2인칭 대명사'로 쓰인 경우죠. ㅋ~


마립간 2012-11-20 15:03   좋아요 0 | URL
글샘 님, 설명 감사합니다. 다시 틀리지 않기 위해 확인하기 다시 여쭤보면 보통명사 뒤에 접미사, 고유명사 뒤에 의존명사로 판단하면 옳은 것일까요? (예전에 학습란/학습 난에서 고민을 했던 기억만 있고 뭐로 결론을 냈는지 기억이 안 나네요.)

글샘 2012-11-20 15:42   좋아요 0 | URL
-란 [접미사]
일부 한자어 명사 뒤에 붙어,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 특별하게 구분한 지면’의 뜻을 더하여 명사를 만드는 말.

비고란, 문화란, 학습란...

헷갈리시면, 편하게 언제든 물어보세요~ ㅎㅎ 즉답이 가능할진 모르지만~ ㅋ

마립간 2012-11-20 16: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 님, 다시 한번 감사드리고, 테레사님에게는 저의 궁금증 때문에 댓글이 달려 죄송합니다.
글샘 님의 글을 보고 돌이켜 보니, 제 혼자 생각에 처음에 '란欄'을 불완전 명사로 판단하고 '학습 난'으로 생각했던 것이 계속 혼돈을 주고 있습니다. (저는 국어와 무관한 사람임에도.^^ 일반인이 보기에 어찌 보면 불완전 명사처럼 보이지 않나요?)

글샘 2012-11-20 16:20   좋아요 0 | URL
궁금해? 궁금하면 500원~ ㅋ~

궁금하면 국어사전 찾아보세요~ 상세하게 잘 나와 있답니다. ㅎㅎ

글샘 님...은 참 잘했구요~ ㅎㅎ
테레사님...은 틀린 거 아시죠? ㅎㅎ

마립간 2012-11-20 16:48   좋아요 0 | URL
글샘 님, 저기요. (쑥스...) '테레사님'의 '님'과 '학습 난'의 '난'은 알고도 틀리게 쓰기로 했습니다. ('글샘 님'만 예외로 하기로 했습니다.)

글샘 2012-11-21 21:08   좋아요 0 | URL
ㅋ~ 굳이 그렇게 쓰시겠다면~ 쓰는 이 맘이죠. ㅋ~
다만, '학습 - 난'을 합성어로 생각하셔도~ 붙여 쓰시는 게 맞겠네요. ㅎㅎ

마립간 2012-11-22 17: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 님, 한가지 더 여쭤볼게요. 국어사전은 네이버 국어사전으로 충분한가요?
('님'으로 시작한 국어 공부 ; 접미사, 어미, 의존명사, 조사 - 전체가 헛갈리고 있습니다.)

글샘 2012-11-22 22:28   좋아요 0 | URL
님~을 국어 사전에서 찾아보세요~
그러면, 다른 표제어로 실려 있거든요.
같은 단어인데 여러 품사로 쓰이는 게 아니라,
아예 다른 단어란 뜻이죠.

테레사 2012-11-26 11:58   좋아요 0 | URL
마립간 님, 저도 댓글 보고 공부하고 좋습니다. 저는 일부러 띄어쓰기 무시하고 내맘대로 띄기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예컨대 내 사랑을 내사랑으로, 대표적이죠..이래야 마치 특별한 의미의 내사랑같거든요.ㅎㅎ
 

앞으로, 택배 상자에 과자류는 일체 금지~~~!

 

한자로 一切 로 쓰고 '일체', 또는 '일절'로 읽는다.

두 가지로 소리나니 헷갈릴 일은 당연지사.

 

잘못 쓰면 안 되는 걸 알면서도, 틀린 말을 쓰게 되는 것이 우리네 언어 습관이다.

'다른'을 써야하는 자리에 '틀린'을 쓰는 일처럼...

 

'너랑은 생각이 많이 틀려.'

 

틀린 것은 잘못된 것, 나쁜 것이다.

다른 것은 당연히 옳을 수 있는 개연성을 내포한 것이고...

 

금지, 안 됨, 하면 안 된다~ 처럼 부정으로 쓰일 때는 '일절' 이라고 해야 한다.

<부인, 금지>로 쓰일 때는 '일절'이라고 외워두면 좋겠다.

 

시험 도중 화장실 가는 일은 '일절' 금지입니다.

여기서 흡연은 '일절' 허용되지 않습니다.

그 정치가는 부정한 돈을 '일절' 받지 않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렇게 쓰는 말.

 

그럼, '일체'는? '모든, 전부, 다'를 뜻할 때 쓴다.

당연히 긍정적인 말들과 어울린다. (문법에서 호응한다고 한다.)

 

이번 체육대회에는 주류와 안주 '일체'를 공급합니다.(주류, 안주 일절은 틀림, 주류, 안주 반입은 일절 금지는 맞음 ㅋ~)

대통령 각하께서는 재산 '일체'를 재단에 기부하셨습니다.

 

이렇게 쉬운 걸 왜 자꾸 틀릴까요?

헤헤~

언어는 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허용되던 말들이, 표준어, 한글 맞춤법의 변화에 따라 틀린 말이 되는 것들이 많으니,

공부를 게을리하면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