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9월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이 서거했다. 세계적인 추모 행렬이 이어졌고 영국 왕실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영국의 드라마 시리즈 ≪다운튼 애비≫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영국 상류계급의 문화』는 영국을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세계나, 문화사에 관심이 있는 이들이라면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반대로 나처럼 ≪다운튼 애비≫에 대해 모르거나 해리 왕자와 메건 마클의 결혼 후 왕실 일원에서 물러나고 영국을 떠나 미국에서 살고 있다는 정도의 관심이 있는 이라면 매력이 적을 수도 있겠다.
영국을 생각하면 신사와 귀족의 이미지가 떠오른다. 책에서 소개하는 상류계급과 다르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책에서 등장하는 ‘어퍼 클래스’라는 계급은 작위가 있는 귀족뿐 아니라 ‘젠트리’라 부르는 지주도 포함된다고 한다. 시작부터 우리의 조선 시대의 가계도가 함께 겹쳐지는 건 왜일까. 아니나 다를까, 영국은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보수적이고 차별적인 제도가 많았다. 귀족의 칭호도 무척 복잡하다. 이름 하나로 모든 게 설명된다고 볼 수 있다.
칭호는 그 사람이 공작, 후작, 백작의 장남인지, 차남 이하의 아들인지, 그 아래의 작위를 가진 집안의 아들인지, 귀족의 딸인지, 아내인지, 이혼한 아내인지를 드러내는 구조로 되어있다. ‘정식’작위와 ‘예의상의’ 작위의 차이점도 사실은 영어 표지로 알 수 있다. ‘정식’작위는 The Duke of Devonshire라고 ‘The’가 어두에 붙는 반면, ‘예의상의’ 작위는 Marquess of Hartington이라는 식으로 ‘The’가 붙지 않는다. (『영국 상류계급의 문화』, 19쪽)
물론 그들 세계에서는 체계적이겠지만 말이다. 귀족과 지주의 작위와 토지, 재산은 전부 장남만 상속받을 수 있었다. 그러니까 진정한 ‘어퍼 클래스’는 장남이고 차남 이하의 아들들인 ‘미들 클래스’에게는 작위는커녕 토지 상속도 불가능해 직업을 가져야 했다. 그러니 딸은 아예 찬밥이 아닐까 싶은 생각. 영국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나 드라마 속 사교 모임에 등장하는 여인의 모습이 이해가 되면서도 무척 안타깝게 다가온다. 조선 시대의 조신한 양반가의 모습이라고 할까. 그러나 한편으로는 ‘어퍼 클래스’에게도 고충은 있었다. 바로 ‘노블레스 오블리주’였다.
어퍼 클래스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소유하고 있던 저택과 토지를 관리하는 것, 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이웃 주민들의 삶을 지키는 것, 그리고 저택과 토지를 온전히 다음 대에 물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자신들을 ‘소유자’가 아니라 ‘관리자’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주민들이 좀 더 가까운 길로 다닐 수 있도록 자신의 토지에 들어오는 것을 허가하는 ‘통행권’을 발급하고, 토지와 저택을 1년에 몇 번씩 공개하는 것도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의무다. (『영국 상류계급의 문화』, 90쪽)
상속받은 것을 유지하는 일, 사교 모임을 게을리하지 않고 주말마다 하우스 파티를 여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다. 귀족과 대지주들에게 재력이 큰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미국 부호의 딸이 영국 어퍼 클래스에 자연스럽게 합류한다. 시대적으로 ‘올드 머니’가 주름잡던 미국 사교계의 신참인 ‘뉴 머니’는 런던으로 건너와 영국 귀족들과 사귀고 결혼한 것이다. 귀족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이미지가 바로 그들이 살았던 집, 그러니까 성이나 컨트리 하우스다. 어퍼 클래스는 같은 계급의 사람이라면 직접 모르는 사람이라도, 자신이 부재중이라도 저택과 정원을 가정부와 집사에게 안내하도록 했다고 하는데 이것이 현재 관광으로 이어진 게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 종가의 고택을 지키는 종손을 떠올리면 쉽겠다.
원래 그들의 부와 권위를 과시하기 위한 대저택이기는 하나, 그곳에서 ‘사람이 살고 있다’는 분위기가 느껴지지 않으면 가짜처럼 인식되고 만다. 물론 20세기 이후의 컨트리 하우스 관광에는 어퍼 클래스의 생활을 엿보고 싶다는 관음적인 요소가 있는 것도 분명하지만 ‘소유주가 살고 있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는 어퍼 클래스에 대한 기대도 틀림없이 존재하는 것이다. (『영국 상류계급의 문화』, 140쪽)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가 어퍼 클래스의 자제들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변한 과정과 대학에서 생활하는 모습도 만날 수 있다. 현재 어퍼 클래스는 여전히 영국의 문학과 문화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지속적으로 묘사된다. 그들과 만난 적 없고 접한 적 없는 이들에게 궁금증으로 가득한 존재인 건 틀림없는 모양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도 누군가에게는 영국의 문화와 어퍼 클래스에 대해 알아가는 중요한 통로가 된다.
영국의 ‘어퍼 클래스’의 흐름이나 변화에 대한 제인 오스트의 소설이나 애거사 크리스티의 작품처럼 다양한 작가의 소설이나 회고록을 통해 설명한다 게 인상적이다.. 영국 문학을 많이 접한 이들이라면 이 접점이 흥미롭게 작용해 풍부한 독서로 이어져 만족할 것이다.
이 책과 『영국 빅토리아 여왕과 귀족 문화』를 같이 읽어도 좋겠다. 빅토리아 여왕의 시대, 그러니까 여왕으로 살아온 삶을 조금이나 알 수 있다. 제목 그대로 빅토리아 여왕과 그를 둘러싼 영국 왕실과 귀족 문화에 대해 알려준다. 그러나 빅토리아 여왕의 개인적인 일상이 전부는 아니다. 당대의 모든 기록을 동원하여 설명하는 세계사 책이라 할 수 있다. 빅토리아 여왕이 쓴 일기, 당대의 기록인 신문기사, 여왕과 동시대를 살았던 이들의 자서전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기록을 들려준다. 영국사이자 세계사인 것이다.
책은 ‘제1장 즉위준비 1819-1837’를 시작으로 대관식, 빅토리아 왕국, 여왕의 결혼, 만국박람회와 전쟁, 남편의 죽음과 여왕의 마지막 ‘제9장 끝날 때’까지 시간별로 소개한다. 고백하자면 빅토리아 여왕이 직접 일기를 썼다는 사실을 나는 처음 알았다. 우리의 역사를 생각하면 왕조 실록처럼 여왕을 보필하는 누군가의 기록이 아닌 여왕이 자신의 일상을 기록했다는 점이 무척 남다르다. 18세의 나이에 자신이 여왕이 되었다는 사실과 결의에 찬 다짐을 자세하고 담담하게 기록했다.
커닝엄 경은 유감스럽게도 나의 할아버지, 국왕께서 이미 세상에 없다는 것, 오늘 새벽 2시 12분에 숨을 거두셨으면 이로 말미암아 내가 여왕이 되었다는 사실을 고했다. 커닝엄 경은 무릎을 꿇고, 내 손에 입맞춤을 했다. (빅토리아의 일기 (1837년 6월 20일), 12쪽)
신의 뜻에 따라 이 지위에 오른 이상, 나는 전력을 다해 나라를 위한 의무를 다할 것이다. 나는 너무나 어리고, 전부라고까지 하지 않더라도 많은 부분에서 경험이 부족할 테지만, 지금의 나만큼 올바른 일을 하겠다는 진정한 선의와 열의를 품은 사람은 없으리라는 것만은 분명하다. (빅토리아의 일기 (1837년 6월 20일), 41쪽)
이처럼 책에서 빅토리아 여왕의 일기를 만나는 일은 흥미롭다. 일기뿐 아니라 여왕과 관련된 각종 삽화와 초상화로 그 시대를 실감 나게 보여준다. 어떤 옷을 입고 어떤 음식을 먹고 어떤 공간에서 지냈는지 세계사를 이해하는 재미를 더해준다.
즉위 3년 후 독일의 작은 연방국 군주의 차남 앨버트와 결혼한 여왕. 어머니의 오빠의 자식, 사촌 오빠와의 결혼은 예정된 수순이었지만 빅토리아는 핸섬하고 지적인 앨버트에게 반했다. 여왕이면서 한 남자의 아내로 모두 아홉의 자식을 둔 빅토리아 여왕. 하지만 빅토리아 여왕은 아이보다는 남편에 대한 애정이 컸다. 빅토리아 여왕에게 혈우병이 유전자가 있어 영국 왕실에 퍼트렸다는 사실도 이 책을 통해 알았다.
빅토리아와 아이들의 관계는 복잡한데, 시기에 따라, 연령에 따라, 그녀 자신의 상태와 기분에 따라 변화해 간단히 말로 표현할 수 없다. 생후 얼마 되지 않은 갓난아이는 ‘개구리 같다’면서 귀엽게 생각하지 않기도 했다. 아이보다 남편의 존재가 훨씬 컸고, 그와 단둘이 마음껏 시간을 보내고 싶다는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144쪽)
앨버트는 왕궁 개혁을 착수했는데 명령 계통을 정리하고 권한을 강화했다. 사용하지 않는 양초의 교환 구매나 허위 인원을 위한 와인 구입비 청구를 폐지시킨 것. 예나 지금이나 이렇게 줄줄 새는 비용이 있다는 게 놀랍지도 않다. 여왕이 신경을 쓰지 못하는 부분을 앨버트가 꼼꼼하게 챙기고 있었다. 아마도 영국의 공식적 여왕은 빅토리아였겠지만 여러 곳에서 앨버트의 영향력이 존재했을 것이다. 일중독자였던 앨버트는 런던 만국 관람회 당시 쓰러질 정도였으며 산업계, 군대, 교육계를 비롯한 노동자의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다방면에 참여했다. 치통, 두통, 위통을 달고 살았고 1861년 12얼 14일 생을 마감했다. 남편의 사망 후 빅토리아가 일상을 찾는 일을 어려웠을 것이다. 아무리 여왕이라 할지라도 말이다. 빅토리아는 남은 생애 40년을 원칙적으로 과부의 복장으로 지냈다고 한다.
1832년 7월, 13세일 때, 어머니가 일기장을 준 일을 계기로 빅토리아는 더욱 구체적으로 하루하루의 기록을 일기로 남기기 시작했다. 이 일기는 가족의 죽음 등 도저히 말로 할 수 없을 것 같은 중대한 일이 일어났을 때 중단하는 경우는 있었지만 반드시 재개되었고,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계속 기록되었다. 또 언니, 숙부, 아이들, 가족과 친척에게는 대량의 편지를 썼다. (21쪽)
빅토리아의 치세는 길었다. 경험을 쌓은 그녀의 의견은 존중되었고, 발군의 기억력을 기초로 제시되는 과거의 지식은 대신들에게도 나름대로 존중받았다. 하지만 편지나 총리와의 회견을 통해 매일 영향력을 발휘한다 해도, 최종적인 결정에는 의회의 영향이 우선시되었으며, 정치나 외교, 군사에 관한 커다란 문제에 여왕 개인의 의견을 밀어붙이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러한 입장으로 서서히 물러났기 때문에, 수많은 군주제 그 자체가 폐지되던 역사적 흐름 속에서도 21세기인 지금에 이르기까지 영국 왕실이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66쪽)
이 책은 분명 영국사, 세계사를 다룬 게 맞다. 그러나 빅토리아 여왕, 한 사람의 생애에 대한 기록도 맞다. 목차를 통해 시대별뿐만 아니라 관심이 가는 특정 시간을 먼저 읽어도 무방하다. 64년 동안 여왕으로 존재한 사람, 굳건하게 군주제와 자신의 자리를 지킨 사람, 그녀의 생애가 곧 역사라는 사실을 확인한다. 일기를 통해 그녀의 감정과 개인적인 생각, 가족과 친척과의 관계까지. 풍부한 사료와 사진으로 영국의 역사를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은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다. 영국으로 떠날 수 있다면 좋겠지만 나 같은 독자는 이런 책도 꽤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