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좋아하는데 좋아하는 만큼 기록은 힘이 든다. 좋아하는 것에 대해 잘 말하고 싶은 마음과 좋아하는 것을 다른 이들도 좋아해 주기를 바람이 있기 때문이다. 좋음은 그거 취향이고 개인적인 생각이라는 걸 알면서도 그렇다. 2023년에도 책을 읽었고 기록했다. 몇 권을 읽었는지 그런 건 세어보지 않는다. 읽은 책을 다 기록하는 것도 아니다. 어떤 책은 의무감에 어떤 책은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어떤 책은 진짜 진짜 좋아서, 그런 이유로 기록하지 못하는 책도 있다. 아니, 많다.
2023년 내 맘대로 좋은 책들을 생각하니 가장 좋은 책들로 떠오른 책은 딱 5 권이다. 2023년에 읽고 리뷰를 기록한 책에서 고른 것이다. 그렇다. 나의 기억력은 이렇게 낮은 수준이다. 그 다섯 권이라도 있었으니 얼마나 다행인가.
클레어 키건의 『맡겨진 소녀』에 대해서는 그냥 좋다는 말로 충분하다. 올해의 기쁨이라고 하면 클레어 키건이라는 작가를 만나게 된 것이다. 담담하면서도 함축된 문장에 내포된 갖가지 감정을 한 마디로 뭐라 표현할 수 있을까? 부모와 아이의 관계, 잘 몰라서, 서툴다는 이유로 애정을 표현하지 못하는 것은 가장 큰 죄일지도 모른다. 소설 속 소녀의 얼굴 표정을 상상하는 일은 너무 가슴 아프다. 하지만 그 소녀가 자신만의 환한 표정을 짓게 될 순간을 기대는 포기할 수 없다.
백수린의 산문집 『아주 오랜만에 행복하다는 느낌』은 제목 그대로 행복한 느낌을 안겨주었다. 그저 보통의 일상을 담은 산문집인데, 이상하게 마음이 아리고 벅차올랐다. 이미 작가의 산문을 읽은 기억이 있지만 이 산문집은 이전의 글, 앞으로의 글에서도 가장 좋은 산문집이 될 것이다. 하루를 살고 기록하는 기쁨과 소중함을 알려주는 책이라고 할까. 내가 좋아하는 단어, 순환을 더욱 좋아하게 만든 이런 구절은 여전히 좋다. 그러고 나면 다시 봄이 왔고, 자연의 이치대로 모든 순환이 다시 시작됐다. (44쪽)
지극히 개인적인 좋음으로 김연수의 『너무나 많은 여름이』를 빼놓을 수 없다. 여름의 크리스마스처럼 깜짝 등장한 단편집. 쓰고 나니 민망하다. 아주 짧은 단편으로 구성된 이 단편집은 김연수의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는 것 같았다. 조금 더 다정해진, 조금 더 친근해진, 무람없는 친구를 만난 기분, 커피를 마시며 소소한 일상에 대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이야기를 나누는 느낌. 그래서 다음 김연수의 소설을 기대하게 만든다. 그러니 여름마다 이 소설집이 떠오를 것 같다.
2023년에 한 읽기 중 나쓰메 소세키 읽기도 있다. 한 달에 한 권 읽기를 했는데, 책장에서 한 권씩 꺼내 읽은 재미가 있었다. 나름 뿌듯한 기분이 좋았다. 나쓰메 소세키를 조금 더 알게 되고 다가섰다고 느꼈다. 어쩌면 가장 심심하고 담백한 맛, 조미료는 없는 본연의 글이라고 할까. 특히 나쓰메 소세키의 『마음』, 『행인』은 어려웠지만 깊은 여운을 남겼다.
내가 나를 안다는 것, 타인을 안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지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것에 대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도 했다. 올해도 한 달에 한 권 읽기(문학동네, 민음사 세계문학 )를 하기를 바란다.
기록을 살펴보면서 아, 이 책도 읽었구나 떠올리며 좋았던 책은 또 있다. 작가들이 외로움을 주제로 쓴 산문집 『 ALONE 』, 현대인의 고독과 내재된 어떤 슬픔을 만나면서 우리가 얼마나 외로운 존재인가 생각했다. 내가 알지 못했던 한 번도 생각하지 못했던 외로움에 대해서도 말이다. 문학으로의 의미가 아닌 저마다 살아오면서 만났을 외로운 순간의 기억이 아프면서도 아름다웠다.
그런 느낌은 윌리엄 트레버의 단편집 『마지막 이야기들』에서도 어이진다. 다양한 삶에 대해, 누군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감정을 섬세하게 다룬 윌리엄 트레버. 10편의 짧은 소설에 담긴 매혹적인 삶은 먼 훗날 우리의 삶도 누군가의 기억하는 비밀을 간직한 이야기가 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설명할 기회를 놓치고 용서할 기회를 놓쳐버린 삶에 대한 안타까움.
여성 작가가 들려주는 글쓰기에 대한 어려움, 혹은 간절함에 대한 책도 좋았다. 『쓰지 못한 몸으로 잠이 들었다』란 제목만 읽어도 목이 미어진다. 읽지 않아도 그들의 이야기를 듣지 않아도, 무엇이 힘든지 알 것 같아서다. 읽기는 어떤 상황에서는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것을 정리하거나 새롭게 쓰는 일은 어떤 시간과 공간을 필요로 한다. 그로가 하나가 되어 새로운 무언가로 태어날 수 있는 시간.
『자두』로 만난 이주혜의 산문집 『눈물을 심어본 적 있는 당신에게』는 이주혜가 쓰고자 하는 방향이 무엇인지 조금이나마 알 것 같았다. 같은 여성으로 동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세대의 여성의 이야기였다. 상처와 기억, 그리고 위로를 전하는 마음이 느껴졌다. 내 어머니의 서사, 그들을 향한 이해와 공감이 늦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
2023년에 읽었지만 2024년의 좋은 책이 될 소설은 이렇다. 그러니까 읽었지만 좋음을 아직 쓰지 못해 목록에 오르지 못한 책들이다. 권여선과 최은영의 단편집, 클레어 키건의 소설.
올해에는 한 달에 한 권 책장 속 세계문학 읽기와 시집 읽기를 하고 싶다.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우선은 쓰고 본다. 쓰면 생각할 것이고 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르니까. 혼자의 생각이라 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