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러셀을 읽다가 생각나서 도킨스도 펼쳤다. 러셀의 진도에 맞추려면 <과학의 탄생>도 서가에서 빼내야겠다. 그나저나 트웨인 시대에 지구를 반 바퀴 돌았다면 지금은 열두바퀴 반을 돌지 않을까?..

사람들이 단순히 이야기를 지어내는 것은 유감스럽게도 사실이고, 인터넷은 그것을 뼈저리게 느끼도록 해준다. 그리고 소문과 가십은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전염병처럼 퍼져나간다. 위대한 미국 작가 마크 트웨인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진실이 신발을 신는 동안 거짓말은 지구 반 바퀴를 돌 수 있다." 악의적인 거짓말뿐 아니라, 사실이 아니지만 말하기 즐겁고 재미있는 훌륭한 이야기도 전염성이 강하다. 여러분이 선의로 이야기를 듣고, 그 이야기가 사실이 아니라는 걸 확실히 알지 못할 경우에는 특히 그렇다. 또 즐겁지는 않아도 으스스하고 괴기스러운 이야기가 있는데, 그것은 수많은 이야기가전해지는 또 다른 이유이다.
- P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러셀이 키르케고르에 무슨 했나 궁금해서 펼쳤는데 한마디도 나오지 않는다. 대신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에 대한 명쾌한 설명을 읽는다...

종교개혁과 반反종교개혁은 둘 다 문명의 발전이 더딘 나라들이 지적으로 발전한 이탈리아의 지배에 맞서 일으킨 반란이었다. 종교개혁은 정치적 반항이자 신학적 반항이기도 했다. 말하자면 교황의 권위를 거부했고, 교황이 천국으로 통하는 열쇠의 힘으로 요구하던 조공을 더는 바치지 않았다. 반종교개혁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운동의 지적이고 도덕적인 자유에 맞선 반항일 따름이다. 그래서 교황의 힘이 약해지지 않고 오히려 강해지는 한편, 교황의 권위가 보르자 가문이나 메디치 가문의 안이하고 태평스러운 방종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도 명백해졌다. 대략 종교개혁은 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났고, 반종교개혁은 스페인을 중심으로 일어났다. 동시에 종교 전쟁은 대부분 스페인과 적대국들 사이에서 스페인의 국력이 최고조에 이른 시기에 벌어졌다.
- P8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용가이자 안무가, 그리고 춤 교육자인 저자의 자전 에세이다. 아이를 낳는 숙제를 어떻게 해치웠는지 궁금해할 독자를 고려해서인지 자신의 비결을 얼른 들려준다...

아티스트가 되기로 결정하고 선언하니 아이를 낳는다는 것이 숙제처럼 느껴졌다. 난 하고 싶은 게 생각나면 바로 해야 했다. 앞뒤 재지 않았다. 망한다고 해도 그냥 해야 했다. 반면에 너무 느긋하고 게을러서 주변 사람들이 힘들어하기도 한다. 미리 안 하고 끝까지 버티고 놀다가 한계 상황이 되면 움직인다. 한마디로 제멋대로인 성격이다. 그래서 ‘얼른 숙제를 해치우고, 하고 싶은 예술 신나게 하자!‘고 마음먹었다. 마치 초등학교 때 맘껏 놀기 위해서 숙제를 얼른 해버렸던 것처럼 말이다. 병원에 가서 임신을 가장 빨리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의사를 졸랐다. 그리고 바로 시험관시술로 아들딸 쌍둥이를 낳았다. 아이를 낳고 나는 본격적으로 안무를 하기 시작했다. 작품을 만들어 창작하는 즐거움에 빠지기 시작했다. 10개월후 프랑스 바놀레 안무 콩쿠르에 갑자기 지원서를 냈다. 프랑스 본선으로 가기 위한 예선에 뽑혀서 한국에서 공연을 했다. 주변 사람들이 놀랐다. 매일 못한다고 도망다니던 내가 자발적으로 이렇게 큰 무대에 나가니 말이다.
- P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문과 과학분야의 ‘중국‘교양서를 종종 읽는다. 경쟁력을 가늠해보기 위해서다...

국가박물관에서 일한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나는 한 가지 원칙을 믿게 되었다. "인류 역사에서 일어나는 어떠한 사회적 행위든그 안에는 자연 과학의 기저 논리가 있다"는 원칙이다. 뉴기니의 식인 풍습도 마찬가지다. 내 우상이자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교수인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뉴기니에서 오랫동안 조사와 연구를 한 후, 그곳의 식인 풍습에 대해 이런 관점을 제시했다.
"식인 풍습이 존재하는 것은, 현지의 단백질 부족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 P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책(과학을 다룬 책)이지만 난데없이 철학의 급소를 찌른다. 많은 사람의 생각을 움직이는 소수의 생각을 바꾸는 데 철학의 용도가 있었지만, 현재도 유효한가 의문이다(오늘날 철학은 주로 다수를 혐오하는 용도로 쓰인다. 무지한 것들이라니!). 그러는 중에 철학의 시간은 점점 느려진다...

"새로운 과학적 진리는 반대자들을 설득하거나 감화시키지 않는다. 그보다는 반대자들이 다 죽고 나서 새로운 진리에 익숙한 새로운 세대가 나타날 때 비로소 승리한다."

물리학자 막스 플랑크의 말이다. 간단히 말해서 과학이 발전하기 위해시는 이전 세대가 죽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런데 내가 보기에 이 말은 과학보다 철학에 더 어울린다. 과학으로 다가오는 실체적 변화는 받아들이기 싫어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실체가 없는 이 생각이란 놈은 고쳐 먹으려고 부단히 노력하지않으면 결코 바뀌지 않는다. 이전 세대가 죽지 않으면 세계의 철학은 정체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기술의 발전으로 점점 더 오래 살고 있다. 그러니 현실에 맞게 끊임없이 변하고 가끔은 앞에 서서 사회를 이끌어야 할 철학의 시간은 점점 느려진다.
- P4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