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스펜스의 여왕' '최고의 이야기꾼'으로 칭송되는 영국의 여성작가, 라면 누굴 떠올릴 수 있을까? 작가소개는 그렇게 돼 있지만 어지간한 독자라면 '대프니 듀 모리에(1907-1989)'란 이름을 대기 어려울 것이다. 특히나 한국에 번역된 상황을 보건대 그렇다. 하지만 히치콕의 영화 <새>의 원작자, 라고 하면 얘기가 좀 달라진다. 왠지 친근한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아직 보지는 않았지만 히치콕의 <레베카>도 대프니 듀 모리에의 소설이 원작이라고 한다.

 

 

바로 그 대프니 듀 모리에의 <레베카>(현대문학, 2013)가 번역돼 나왔다. 알고 보니 처음은 아니다. 두 권짜리로 나온 <레베카>(생각의나무, 2010)가 있었지만 출판사가 부도가 나면서 절판됐고 이번에 현대문학사판으로 다시 나온 것. 역자가 같다. 다른 역자의 번역으론 <레베카>(동서문화출판, 2003)도 있다. 아직 절판되지 않았다. 현재 알라딘에서 구할 수 있는 건 이 두 종의 <레베카>뿐이다.

 

 

 

히치콕도 영화화에 욕심을 낸 미스터리의 고전, <레베카>는 어떤 소설인가. 평판만을 보자면 '클래식'에 가깝다.

1938년에 출판된 <레베카>는 그녀의 다섯 번째 소설이자 대표작으로 발간 후 영국에서만 28쇄를 거듭할 만큼 폭발적 반응을 이끌어냈다. 유럽은 물론이고 미국에서도 베스트셀러에 올랐으며 그해 미국 도서판매상협회가 선정하는 전미 도서상을 수상했다. 공포 소설에 심리적 기법과 로맨스 요소를 가미한 <레베카>는 영국 고딕 문학에 활력을 불어넣었을 뿐 아니라 섬세한 내면 묘사와 치밀한 사건 전개, 그 누구도 예상 못한 반전이 돋보이는 미스터리 고전의 반열에 올랐다. 그리고 이를 증명하듯 초판 발행 후 70년 이상이 흐른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절판된 적이 없는 책으로 유명하다.

그렇더라도 내 경우에 관심은 히치콕과의 관계에 두어진다. <새>와 <레베카> 모두 영화화됐지만 차이점이 없지 않다. 전자는 단편이고 후자는 장편이기 때문이다. 즉 <새>의 경우는 기본 아이디어를 차용한 것에 가깝지 않을까 한다.

 

 

정확히 그런지 확인해보려고 절판된 <새>(생각의나무, 2008) 중고판을 주문했다(영화 <새>는 다 품절되고 현재 알라딘에서는 공포영화 컬렉션 판으로만 구입할 수 있다).  

 

 

흥미로운 건 작가 대프니 듀 모리에의 영화배우 뺨치는 외모다. 히치콕이 좋아했던 금발의 미녀. 히치콕이 듀 모리에를 직접 만난 적이 있는지 궁금해진다.

 

 

영화 애호가라면 알겠지만 사샤(사차) 제바시 감독의 <히치콕>(2012)이 개봉 예정이다. 가장 방대한 분량의 히치콕 전기 결정판은 패트릭 맥길리건의 <히치콕>(을유문화사, 2006)이고 가장 최근에 나온 관련서는 <히치콕과 사이코>(북폴리오, 2012)다. 히치콕 관련서는 다 모으고 있는 터라 구해놓았지만 아직 손에 들진 못했다. 내년까지는 읽어볼 기회가 있을 것이다...

 

13. 03. 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난주 개봉 화제작은 조 라이트 감독의 <안나 카레니나>(2012)다. 감독보다도 타이틀롤을 맡은 키라 나이틀리와 남편 카레닌 역의 주드 로가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지난주 씨네21도 마찬가지인데, 사실 키라 나이틀리가 의외의 캐스팅인 건 사실이다.

 

제인 오스틴이라면 몰라도, 톨스토이라니. 영국의 로맨틱코미디 명가 워킹타이틀이 러시아의 걸작 소설을 영화화한다는 것도 의문이었지만, <안나 카레니나>의 가장 큰 미스터리는 키라 나이틀리가 안나를 연기한다는 것이었다. 푹 꺼진 눈매에, 남자아이같이 호탕하게 웃던, <오만과 편견>과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의 깡마른 그 배우가 안나 카레니나를 맡았다고? 다음은 모두의 우려와 달리, 자신만의 안나를 성공적으로 연기해낸 키라 나이틀리의 이야기다.(씨네21)

키라 나이틀리의 연기에 대해서는 호평도 많이 나오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아무리 그렇더라도 원작의 안나와 동일시하기가 쉽지 않았다. 여러 버전의 <안나 카레니나>를 봐 왔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잘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배우는 역시나 그레타 가르보다. 클레런스 브라운 감독의 흑백영화 <안나 카레니나>(1935)에 나온 안나(참고로 이 영화에서 브론스키는 이미지로만 보자면 최악의 캐스팅이었다) 물론 조건이 있다. 러시아식 털모자를 쓴 안나. 모자를 벗은 안나는 또 다른 이미지이기에. 이미지만으로 보자면 줄리앙 뒤비비에 감독의 <안나 카레니나>(1948)의 주연 비비안 리보다도 더 빼어나다.

 

 

그레타 가르보의 눈빛과 카리스마에 견주면 알렉산드르 자르히 감독의 러시아판 <안나 카레니나>(1967)의 안나 역 타치야나 사모일로바도 빛이 바랜다.

 

 

톨스토이의 원작에서 안나는 서른 살의 유부녀이지만 스무살의 아름다움을 뽐내는 것으로 돼 있다. 그레타 가르보가 안나 역을 연기했을 때 그녀의 나이가 서른이었다. 사모일로바는 34살. 영화에서는 30대 중반, 심지어는 40대로도 보인다(무도회에서 브론스키와 춤추는 장면에서는 연인이 아닌 모자가 춤추는 것 같다!). 아무리 연기를 잘한다고 해도 여성적 매력이란 점에서 감점을 당할 수밖에 없다.

 

요즘 관객들에겐 그래도 가장 친숙한 소피 마르소는 어떤가. <안나 카레니나>(1997)는 소피 마르소가 31살에 찍은 영화다.

 

 

예쁜 얼굴이지만 '고뇌'를 표현하기에 좀 부족한 마스크다. 키라 나이틀리가 안나 역에 잘 어울리지 않는다고 했지만 털모자를 쓰면 좀 나아진다. 역시 러시아 영화에서는 모자를 쓰는 게 낫다...

 

 

결론적으로 <안나 카레니나>는 여전히 적임자를 미래형으로 남겨놓고 있다...

 

13. 03. 27.

 

P.S. 브론스키 역에 가장 어울리는 배우는 누구일까? 저마다 취향이 다를 수 있지만, 나더러 캐스팅하라면 러시아판 <안나 카레니나>(1967)에 나오는 바실리 라노보이를 꼽겠다. '러시아 영화사상 가장 잘 생긴 장교'라고도 일컬어진다. <전쟁과 평화>(1965)에서는 나타샤를 유혹하는 유부남 아나톨로 출연한 경력도 있다. 60년대니까 좀 옛날이긴 하지만 러시아에서는 이런 배우를 '잘 생겼다'고 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 북캘린더를 보니 이번주 2월 6일이 프랑수아 트뤼포의 생일이다. 1932년 2월 6일생.(1984년 10월에 세상을 떠났다.) 그러면서 소개된 대표작이 <히치콕과의 대화>(한나래, 1994)다. 흠, 절판돼 유감스럽다고 몇번 언급한 책. 소장도서였지만 행방불명인 책이기도 하고(결과는 같은 셈인가?). 다시금 유감이 되살이나 재출간을 독촉하는 의미로 또 한번 언급한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의 러시아어본을 갖고 있고, 영어본도 구할 참이다. 히치콕 영화에 대해서 뭔가 써보기 위한 준비를 조금씩 하고 있는데(내년쯤엔 영화에 관한 책을 쓰려고 한다. 영화에 관한 책이면서 영화책에 관한 책), 당연히 이 책도 중요한 참고도서다.

 

 

 

트뤼포를 검색하다 보니 앙드레 바쟁의 <장 르느와르>(한나래, 2005)에도 트뤼포가 엮은이로 뜬다. 프랑스의 대표적 영화평론가 바쟁의 책은 국내에 네댓 권 소개돼 있는데, 작가론으로는 <오손 웰즈의 영화미학>(현대미학사, 1996)이 더 번역돼 있다. 

 

 

 

개인적으로 더 관심을 갖고 있는 건 그의 영화론 <영화란 무엇인가>(시각과언어, 1998)이다. 이번에 다시 찾아보니 대학도서관에서 볼 수 있었던 영어본이 보급판으로 나와 있다. 여유가 생기는 대로 구해볼 참이다.

 

 

더 찾으니 영화학자 더들리 앤드루의 평전 <앙드레 바쟁>(2013)이 근간 예정이다. 예전에 나온 책이 있는데, 개정판인지 새로운 책인지 모르겠다. 바쟁의 <잔혹영화>(현대미학사, 1995/2012)는 (아마도 품절됐다가) 작년에 다시 찍었다. <전후 뉴웨이브까지의 프랑스 영화, 1945-1958>(2012)도 영어본이 눈에 띈다.

 

 

말이 나온 김에 프랑스 영화사에 관한 참고도서를 찾아봤다. 르네 프레달의 <오늘날의 프상스 영화>(동문선, 2012)가 가장 최근에 나온 것이고, 장 피에르 장콜라의 <프랑스 영화사>(동문선, 2003)는 절판됐다. 김호영의 <프랑스 영화의 이해>(연극과인간, 2003) 정도가 국내서. 독자가 없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영화학 쪽도 빈곤하기 짝이 없다...

 

13. 02. 03.

 

 

 

P.S. DVD로는 '프랑소와 트뤼포 베스트 콜렉션' 같은 게 나왔었지만 현재는 모두 품절 상태다. 그래도 데뷔작 <400번의 구타> 같은 대표작들은 개별 타이틀로 구해볼 수 있다. <프랑스와 트뤼포의 400번의 구타>(성신여대출판부, 2008)라는 국내 저자의 연구서도 나와 있는데, 왜 검은 색 표지를 썼는지는 모르겠다. 오래 전에 본 영화이지만 한번 더 보고 싶다. '천 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를 트뤼포 버전으로 말하면 '400대는 맞아야 어른이 된다'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주 국제영화제가 한창 진행중인데, 영화사의 고전 가운데 새롭게 발굴/복원된 작품을 소개하는 2012 JIFF ‘되찾은 시간’ 코너의 '오프스크린' 행사 강연자로 참석하게 됐다. 내가 맡은 영화는 아르헨티나의 감독 우고 산티아고(Hugo Santiago)의 <인베이전>(1969)이다. 보르헤스가 시나리오 작업에 참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영화 소개를 옮겨놓는다. 영화는 오늘 저녁에 상영된다(http://www.jiff.or.kr/g00_event/g10_special_0102.asp).  

 

 

혁명의 열기가 세계를 휩쓴 직후인 1969년, 아르헨티나는 기나긴 군사독재 중 유화 국면을 맞는다. 검열이 느슨해진 틈을 타, 우고 산티아고는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및 아돌포 비오이 카사레스와 함께 군사 쿠데타를 빗댄 <인베이전>의 시나리오를 쓰고 제작과 연출을 도맡는다. 권총 한 자루만으로 무력 침공을 시도하는 잔악한 무리를 막으려 동분서주하는 이들의 이야기는, 감독이 어느 인터뷰에서 언급한 것처럼 ‘일리어드’를 떠오르게 한다. 침공을 막기 위해 제거해야 하는 트럭과 송신 장치는 트로이의 목마와 닮았고, 용맹하고 정의로우나 시작부터 패퇴가 예정되어 있는 인물들의 운명은 트로이인들과 같다.

 

고다르의 <알파빌>처럼, B급 범죄물이면서 현실 풍경을 배경으로 한 저예산 SF의 외양을 지닌 영화는, 가상의 도시 아킬레아를 무대로 삼았으나 기실 항구도시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담은 지정학적 다큐멘터리이기도 하다. 또, 20세기 라틴아메리카 사를 극사실주의로 기술하는 역사물처럼 보이기도 한다(1976년 아르헨티나에서 또 한 번 일어날 쿠데타와 길고 엄혹한 저항의 시간을 예감하는 결말 시퀀스는, 1973년 칠레 산티아고 스타디움에서의 학살마저 미리 보여주는 듯해 소름이 끼칠 정도다).

 

한편, 괴수나 새의 울음, 노이즈, 탱고 선율 등이 직조하는 초현실적 사운드스케이프, 흑백 필름이 드리우는 빛과 그림자를 마술처럼 활용하는 미장센과 외화면 구성의 아름다움은, 이 작품을 상투적인 정치 영화가 아니라 세계영화사의 숨은 보석으로 기억하게 한다.(제13회 전주국제영화제 메인 카달로그 리뷰어. 신은실)

 

오프스크린 3 : <인베이전>

• 강연자 : 이현우 (인문학자, 인터넷 서평꾼 ‘로쟈’)
• 일시 : 4월 29일(일) 20:00
• 장소 : 전주시네마타운 5관

 

12. 04. 29.

 

P.S. 참고로 영화는 유튜브에서도 전편을 볼 수 있다(123분 분량). 자막이 없는 게 흠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필요 때문에, 거기에 덧붙여 재발한 관심 때문에 영화 관련서들을 사들이고 있는데, 미처 주목하지 못했던 책들도 눈에 띈다. 로버트 스탬의 <영화이론>(케이북스, 2012) 같은 경우가 그렇다.  

 

 

 

보통 영화를 공부한다고 하면 영화이론과 영화사에 관한 '교과서'를 구비해놓는 게 기본이었는데, 바로 그 영화이론 교과서라 불릴 만한 책이다. 원서는 진작에 구입해놓은 터라 번역본 출간이 반갑다. 스탬은 영화이론 앤솔로지 <영화와 이론>의 공동편자이기도 하다.  

 

 

초급 단계의 영화이론을 학습했다면 바로 다음에 읽어볼 만한 책이 스탬의 <어휘로 풀어읽는 영상기호학>(시각과언어, 2003)이다. 책이 출간됐을 때쯤 한번 소개한 기억이 난다. 당시엔 문화기호학과 영화기호학 관련서들이 드물지 않게 나왔었고 스탬의 책은 그중 요긴한 가이드북이었다. 그의 책으론 <자기 반영의 영화와 문학>(한나래, 1998)이 가장 먼저 소개됐었는데, 지금 다시 검색하니 절판됐다. 어디에 두었는지 한번 찾아봐야겠다.

 

 

영화사 책으로 가장 많이 읽혔던 건 잭 C. 엘리스의 <세계영화사>(이론과실천, 1988)였는데, 어느새 절판된 지 오래다. 새로 나온 건 버지니아 라이트 웩스먼의 <세상의 모든 영화>(이론과실천, 2008). 원서도 6판까지 나온 걸 보면 가장 많이 읽히는 영화사가 아닌가 싶다. 개인적으로 갖고 있는 책은 <옥스포드 세계영화사>(열린책들, 2006). 996쪽에 이르는 '중량감 있는' 책이다.  

 

 

거기에 더 얹어서 크리스틴 톰슨 등의 <세계영화사1-3>(시각과언어, 2000)도 과거엔 필수 아이템이었는데, 이 역시 절판된 지 오래군.  

 

 

 

영화이론과 영화사로 들어가는 게 전공수준의 공부라면 교양수준의 영화공부도 물론 가능하다. 교과서격의 책은 루이스 자네티의 <영화의 이해>(현암사). 찾아보니 역자와 출판사가 바뀌었고,  얼마전 12판의 번역본이 나왔다. <영화의 이해>(케이북스, 2012). 판을 거듭하는 것으로 보아 이 역시 가장 인기 있는 교과서인 듯싶다.   

 

 

 

그렇게 책들을 구비하고 나서 독서와 함께 해야 할일은 물론 영화를 보는 것이다. 개인적으론 지젝의 <삐딱하게 보기>(시각과언어, 1995)를 다시 읽는 김에 히치콕의 '전작'에 도전하기로 했다. 말 그대로 '전작'에 모두 도전하는 건 아니고, 구할 수 있는 작품들은 대충 다 구해서 보자는 정도다. 물론 그래도 20편은 훌쩍 넘어간다. 히치콕에 관한 책은 그간에 모아두긴 했는데, 분량 때문에 미뤄둔 패트릭 매길리건의 방대한 전기 <히치콕>(을유문화사, 2006)을 이번에 구입했다. 오래전에 간단한 리뷰를 적기도 했지만 가장 간명한 전기는 로로로 시리즈의 <앨프레드 히치콕>(한길사, 1997)이고 가장 요긴한 자료는 프랑수아 트뤼포의 <히치콕과의 대화>(한나래, 1994)다. 절판된 게 심히 유감스러운 책. 개인적으론 분실한 책이라 더더욱 아쉽다. 재출간되기를 기대한다. '히치콕 컬렉션'에 대해선 다음에 따로 적어야겠다...

 

12. 03. 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