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로쟈 > 솔제니친 이후의 러시아문학

4년 전 페이퍼다. 솔제니친 이후의 러시아문학 강의는 내년쯤에 진행하려 한다. <로쟈의 러시아문학 강의> 셋째권이 될 수도 있겠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1-05-28 20: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5-30 20: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카스피 2021-05-29 0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솔족히 한국에서 러시아 문학하면 거의 19세기에 머물러 있는것 같아요.아무래도 1919년 러시아가 공산화되고 사회주의 문학작품이 주류가 되면서 세계적 명성을 갖게되는 작가가 드물어진데다가 우리의 경우 소련해체전까지 반공이 국시였던 탓에 소련의 문학이 국내에 번역될수 없는 환경탓도 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물론 이후 소련의 현대문학을 알리는 30권짜리 전집이 간행되기도 했지만 아무래도 큰 관심을 끌지는 못했던것 같습니다.
게다가 현대 러시아 문학이 영미권에서 크게 인기가 없었는지 국내에 번역된 작품이 적은 것(사실 러시아 전공자가 러시아문학을 번역하는 것보다 영어로 번역된 러시아 문학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이 더 많지 않을까 생각됩니다)도 한몫을 한 것이 아닐까 싶네요.

개인적으론 유명한 19세가 러시아 문학들은 초 장편들이 많아서 쉽게 손이 가질 않더군요.그래선지 20세기 러시아문학을 몇권의 SF소설이 다 인것 같습니다^^;;;

로쟈 2021-05-30 20:50   좋아요 0 | URL
19세기 문학과는 동질감이, 20세기 문학과는 이질감이 느껴져서라고 생각합니다. 충분히 소개되지 않은 면도 있지만, 소개된 대표작들이 생각만큼 반응을 얻지 못한 탓도 있고요..
 

한겨레에 실은 '언어의 경계에서' 칼럼을 옮겨놓는다. 강의에서 오랜만에 다시 읽은 김에 투르게네프의 소설 <첫사랑>에 대해 적었다...

















한겨레(21. 05. 14) 사랑, 황홀한 기쁨에서 두려운 열정까지


이반 투르게네프의 대표작은 <아버지와 아들>을 포함한 몇권의 사회소설이지만, 가장 널리 읽히는 소설로는 <첫사랑>(1860)이 유력하다. ‘첫사랑’이라는 제목의 기대치 덕분이겠다. 하지만 작품에서 첫사랑이 갖는 비중은 절반쯤이고, 나머지 절반은 치명적 사랑, 곧 열정에 할애된다. 소설에서 첫사랑의 주인공은 화자인 블라디미르이지만, 열정의 주체는 블라디미르의 아버지이다. 두 부자의 사랑 이야기를 나열하면 ‘아버지의 열정과 아들의 첫사랑'이 된다고 할까. 문제는 두 사람이 한 여자를 사랑한 데 있다.


발단은 블라디미르가 열여섯 살 때인 1833년 여름에 벌어진 일이다. 여느 귀족들과 마찬가지로 별장(다차)에서 여름을 나던 무렵 새 이웃이 등장한다. 가세가 기운 공작부인과 그 딸이다. 스물한 살의 매력적인 처녀 지나이다는 거침없는 말과 행동으로 초면부터 블라디미르를 압도한다. 아직 미성숙한 소년에 불과했지만 블라디미르는 곧장 지나이다에 대한 사랑에 빠지며 첫사랑의 달콤한 감정에 빠져든다. “감동받은 영혼의 상냥한 마음과 부드러운 소리, 선량함과 평안” 등이 그가 경험하게 된 “첫사랑의 감동이 주는 황홀한 기쁨”이다.


사실 이러한 사랑과 평행하여 진행되는 것이 아버지와 지나이다의 관계이지만, 그들의 이야기는 암시적으로만 전달된다. 아직 어수룩한 블라디미르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진행되기에 그는 그들의 관계를 보고도 보지 못한다. 그는 아버지의 행동과 지나이나의 심리 변화를 관찰하지만 그것을 이해하지는 못한다. 소설의 말미에 가서야 블라디미르는 아버지와 지나이다의 밀회 장면을 목격하고 비로소 그들의 관계를 깨닫게 된다. 그리고 “이것이 사랑인 것이군, 이것이 열정이야!”라는 발견은 더불어 “그런 사랑 앞에서 나의 설렘과 사랑의 고통은 너무나 어린애같이 작고 보잘것없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


블라디미르의 관점에서 보면 소설은 첫사랑의 설렘과 흥분으로 시작하여 그것이 열정에 비하면 보잘것없는 사랑에 불과하다는 깨달음으로 끝난다. 그렇다면 아버지의 경우는 어떨까. 실제 투르게네프의 아버지를 모델로 한 블라디미르의 아버지는 연상의 어머니와 정략결혼한 사이다(실제로는 여섯 살, 소설에서는 열 살 연상이다). 아버지는 어머니에게 별다른 애정이 없이 밖으로만 돌았고 어머니는 그런 남편을 질투하면서도 두려워했다. 아버지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의지였다. 인간에게는 자기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중요하지만 그 자유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의지다. 무언가를 원하는 능력을 갖게 되면 자유를 얻고 다른 사람들도 이끌 수 있다는 것이 아버지의 믿음이자 교훈이었다.


그렇지만 지나이다와의 사랑은 아버지의 생각에도 변화를 가져온다. 뇌졸중으로 쓰러지던 날 아들에게 남긴 마지막 편지에서 “아들아, 여자의 사랑을 두려워하거라. 그 행복, 그 독을 두려워해”라는 말을 유언으로 남기기 때문이다. 아들 블라디미르가 겪은 사랑이 풋풋한 첫사랑이었다면 중년의 아버지가 같은 상대와 경험한 사랑은 두려운 사랑으로서의 열정이었다고 할까. 짐작하건대 그 두려움은 자기 의지의 한계와 직면할 때 느끼게 되는 두려움일 것이다.


19세기 러시아의 전원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 언제까지 읽힐지 장담하기는 어렵다. 첫사랑의 성격과 의미도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투르게네프의 <첫사랑>이 읽을 거리가 된다면 첫사랑에서 치명적 사랑에 이르는 사랑의 스펙트럼을 여실하게 보여주어서가 아닐까 싶다.
















P.S. 투르게네프의 생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레너드 샤피로의 평전 <투르게네프>가 가장 자세하다. 올랜도 파이지스의 <유러피언>은 투르게네프와 그의 평생의 연인 폴린 비아르도 부부에 대해 다루고 있다. 강의중에 언급한 책으로 이샤야 벌린의 <러시아 사상가>도 투르게네프에 관한 유익한 평문을 포함하고있다. 벌린은 투르게네프 문학의 애독자이자 옹호자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

5년 전 소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1-05-14 21: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전출처 : 로쟈 > 자유롭고 평등한 관계의 모색

1년 전 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톨스토이와 초유기체

3년 전 페이퍼이다. 어제 끝난 <전쟁과 평화> 강의에서도 한번 더 언급한 김에 이 글도 불러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