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내가 골고루 번갈아 읽고 있는 책이다. <움베르토 에코의 문학강의> 이전에는 <피와 눈의 나라 러시아 미술>이 있었고,
<레이븐 블랙> 이전에는 <꽃밥>이 있었다.

<자코메티>는 도대체 얼마나 오래 잡고 있는지 기억도 가물가물하고,
<미의 역사>는 <자코메티>보다는 덜되었으나, 오래 붙잡고 있을 각오로 반년여만에 비닐을 뜯은 책이다.

<카페 여주인>은 아마도 읽으려고 꺼내 놓은 것이 아닌것 같은데, 어느 순간 보니, 읽고 있더라.

워낙에 두세권의 책을 한꺼번에 읽는 편이기는 하지만, 이번엔 내가 생각해도 좀 심했다싶다.
그렇다고 내용이 헷갈리거나 할 일은 없다. 아니, 재미있는(?) 우연을 발견하고, 혼자 즐거워하기도 한다.

<미의 역사>와 <문학강의> 둘다 에코의 책인데, 한두챕터씩 읽는 와중에 <미의 역사>의 '비례와 조화로서의 미' 와 <문학 강의>의 '발루아의 안개'에서 꽉 막혔다. 무지한 내머리를 탓하는 대신, 폭염과 애꿎은 에코 할아버지를 탓하다, 폭염이 물러가고 밤이 내려앉아, 마음이 좀 나아진 무렵에는, 이해하길 포기하고, 다 읽고 다시 읽을 생각하고, 편하게 읽어나갔다.<미의 역사>는 뒤로 갈 수록 나아지리라 생각하지만, 끊임없이 인용되는 플라톤을 비롯한 고대 철학가들의 글들과 피타고라스로 시작한 비례 이야기는, 음악의 비례 이야기에서 그야말로 두 손을 들어버렸다. <문학 강의>에서 '발루아의 안개'는 네르발의 <실비>라는 단편을 해부하고, 분석하고, 재결합하고, 다시 쪼개고, 뭐, 그런 내용인데, <실비>라는 작품이 생소할뿐더러, 문학작품 쪼개고 분석하는 일에 익숙지 않은지라, 네르발의<불의 딸들>을 보관함에 담아 두는 것으로 마음을 안정시키고, 읽어내려갔다. 다행히, 두 책 다, 그 다음 챕터는 재미있는 부분인데, <미의 역사>에서는 '중세의 빛과 색채' 이야기가, <문학 강의>에서는 '와일드 : 아포리즘과 역설' 이 나온다. 안도의 한숨을 내쉬며, 조금 풀어진 마음으로 책장을 넘기는데,

<미의 역사>의 '중세의 빛과 색채' 들어가는 말에 강력한 데자부.
<문학 강의>에서 이전에 읽었던 '<천국 편>읽기' (단테의 신곡중 '천국') 에 순서와 조사만 조금씩 바뀌고 똑같은 말이 있었다. <문학 강의>의 그것은 신곡 700주년을 기념하여 기고한 글이었었다. 무튼, 그런 소소한 발견에 즐거워하며, 남은 책들을 읽고 있다.

<자코메티>와 <미의 역사>가 끝나면, 좀 줄여나가서, 두-세권 정도의 멀티리딩으로 복귀할 예정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7-08-28 02: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생각해봤는데, 텔레비젼 미니시리즈 보는거랑 비슷해요 ^^
 

시베리아의 어느 군인의 아들로 태어나 미하일 브루벨은 어릴적부터 미술에 관심이 많았고, 군인임에도 불구하고, 준엄한 규칙보다는 문학, 철학, 예술을 가르치고자 하는 아버지의 밑에서 그의 미술 공부를 지원 받을 수 있었다. 어린시절 형제 자매의 죽음은 트라우마로 남았고, 정신병원에 들어가는 등 생의 굴곡을 넘고 넘어 자살로 마감한 천재화가. 그의 그림은 그가 태어난 곳만큼이나 서늘하다.


                                                                                           'sitting demon' 앉아 있는 악마


브루벨은 악마 연작 시리즈로 유명한데, 러시아의 시인 레르몬트프의 시와 소설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작품이다.
인간의 여자를 사랑한 악마. 여자는 악마를 무서워하면서도 사랑해 악마와 결혼하나, 그 다음날 시체가 된다는 슬픈 이야기.
중성적인 얼굴에 뾰족한 귀. 노을지는 하늘과 화려한 꽃을 배경으로 손에 깍지를 끼고 하염없이 앉아 있는 악마에게
우리는 두려움보다는 연민의 페이소스를 느끼게 된다.


                                                                                 Demon fallen 추락한 악마

고통받고 상처받은 후에 버려진 악마. 연작 시리즈중 마지막 작품이다. 부자연스럽게 목이 꺾인 악마는 이카루스 이후에 하늘에서 추락한 또 하나의 존재이다.  온통 폭풍우와 태풍의 격렬한 감정 속에 팽개쳐진 악마의 얼굴은 차라리 고요하다.

악마 시리즈 외의 다른 그림들을 보면, 역시 처연하다


Princess Volchova  


                                                                                                라일락Lilac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중 3막 '마르게리테의 정원'을 테마로 제작하였다. 스산한 밤의 라일락꽃(화가 자신이 좋아한 꽃이기도 했다.) 밤의 소녀의 모습은 밤, 그 자체이다.


                                                                                Swan Princess 백조공주

이주헌의 <눈과 피의 나라 러시아 미술>의 표지그림이기도 하다. 림스키 코르사키프의오페라 <황제 술탄 이야기>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졌다. 마법에 걸린 아름다운 백조공주를 구한 왕비와 왕자의 이야기이다.


                                                                                               red flowers

그의 그림의 개성은 허구 속의 인물화에서뿐만 아니라 정물화에서도 빛난다. 온통 검은 벽에 하얗고 빨간 꽃과 잎은 
어딘지 모르게 마법에 걸렸을 것 같지 않은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7-08-25 2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림은 클릭하면, 크게 보임.

2007-08-25 20: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Lolita, light of my life, fire of my loins. My sin, my soul. Lo-lee-ta: the tip f the tongue taking a trip of three steps down the palate to tap, at three, on the teeth. Lo. Lee.  Ta. She was Lo, plain Lo, in the morning, standing four feet ten in one sock. She was Lola n slacks. She was Dolly at school. She was Dolores on the dotted line. But in my arms she was always Lolita. Did she have a precursor? She did, indeed she did. In point of fact, there might have bee no Lolita at ll had I not loved, one summer,a certan initial girl-child. In a princedom by the sea. Oh when? About as many years before Lolita was born as my age was that summer. You can always count on a murderer for a fancy prose style.
Ladies and gentlemen of the jury, exhibit number one is what the seraphs, the misinformed ,simple, noble-winge seraps, envied. Look at this tangle of thorns.

집에 롤리타의 다른 두 버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50주년 에디션이란 말에 끌려집었던 빈티지출판사의 롤리타
빈티지 출판사 특유의 불투명하게 가끌거리는 표지가 잡티 하나 없이 빛나는 소녀의 피부와 소녀의 순수한 입술색과 어울린다.

 

민음사 표지도 나쁘지 않다. 소녀의 얼굴사진.흑백이고, 부분이다. 소녀의 반짝이는 철없는 눈동자에는 소녀를 찍는 검은 그림자가 비추인다.  

롤리타, 내 삶의 빛이요, 내 생명의 불꽃. 나의 죄, 나의 영혼. 롤-리-타. 세 번 입천장에서 이빨을 톡톡 치며 세 단계의 여행을 하는 혀끝. 롤.리.타. 그녀는 로, 아침에는 한쪽 양말을 신고 서 있는 사피트 십인치의 평범한 로. 그녀는 바지를 입으면 롤라였다. 학교에서는 돌리. 서류사으로는 돌로레스. 그러나 내 품안에서는 언제나 롤리타였다.
그녀 전에 다른 여자가 있었던가? 있었지. 그래 있었어. 사실은 어느 여름날 내가 어느 어린 소녀애를 사랑하지 않았더라면 롤리타는 없었을 것이다. 바닷가 어느 왕자의 궁에서. 아, 언제? 롤리타가 태어나기 전 그해 여름 내 나이 때. 여러분 멋진 산문체를 얻으려면 언제나 살인자에게 오시오.
존경하는 배심원 여러분, 증거 서류 제 1호는 천사들, 뭔가 잘못 알고 있는, 단순하고 날개 달린 고귀한 대천사들이 무엇을 시기했는지 보여줄 것입니다. 이 번민에 뒤엉킨 걸 좀 보십시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7-08-25 19: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민음사 표지도 맘에 들어했는데 위엣 건 정말 예술이네요~
 

 

내가 요즘 뒤적이고 있는 미술책 두권은 열린책들에서 나온 움베르토 에코의 <미의 역사>와 학고재에서 나온 이주헌의 <눈과 피의 나라 러시아 미술>인데, 두 권다 도판이 정말 훌륭하다.양적으로 질적으로 훌륭하고, 평소 많이 보지 못하던 그림들이 나온다. 러시아는 물론이고, 러시아 미술은 내게 낯선데, 그 드라마틱함과 스토리텔링이 흥미롭다. 위의 그림은 콘스탄틴 플라비츠키가 그린 <타라카노바 황녀>이다. 프랑스 국적의 타라카노바는 자신이 결혼하지 않은 여제 엘리자베타의 숨겨진 딸이며 진정한 제위 계승자라고 공개적으로 주장했고, 화가난 예카테리나 여제는 그녀를 러시아로 데려와 감옥에 가둔다. 비운의 황녀는 그해 홍수가 났을 때 침수된 옥에 갇혀 수장되었다고 한다.

침대위까지 침범하기 직전인 물빛은 희미하게 들어오는 빛으로 인하여 더욱 긴박하게 보인다. 감옥 안의 쥐들 역시 물을 피해 침대로 올라와 있고, 타라카노바 황녀는 침대에 올라 선채 벽에 등을 대고 허공을 바라보며 절망적인 표정을 짓고 있다. 빛에 의해 강조된 양털 이불과 그녀의 하얀 드레스와 드러난 어깨와 가슴의 피부색은 그림자진 그녀의 회한어린 얼굴 반쪽과 등 뒤의 그림자의 대비로 인해 더욱 극적이다. 비정한 여제와 비운의 황녀이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7-08-24 2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 아름다워서 더 처절하군요

하이드 2007-08-24 23: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 페이지를 꽉 차지하고 있는 이 그림의 도판이 너무 좋더라구요. 비극적인 분위기의 여자가 주인공인 그림을 좋아라해요.

turnleft 2007-08-25 02: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강렬한데요.

마노아 2007-08-25 0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보관함에 있었는데 관심이 또 쑥 올라가요.

하이드 2007-08-25 08: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정말 좋아요. 처음 보는 내용이 대부분인데, 다행히 이주헌이 글도 쉽게 쓰니, 흥미롭게 읽을 수 있겠더군요. ^^

오차원도로시 2007-08-25 09: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왜 전 카사노바 황녀로 읽고 들어왔을까요?;;
 

러시아가 동방정교(Eastern Orthodoxy : 사도 시대부터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인도, 그리스, 동유러 방면으로 널리 전파되어 동방의 헬라 문화권 안에서 성장한 그리스도 교회의 총칭)를 받아들인 가장 큰 이유는 교회와 예배의식이 매우 아름다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러시아 건국 신화를 담은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키예프 러시아의 공후 블라디미르는 986년 러시아 땅에 종교를 전하려는 주변 국가의 사절단을 접견하고 각 종교의 본거지에 사신을 파견했다. 그렇게 여러 종교를 살핀 결과 이슬람교도는 술을 마실 수 없다는 사실에 좌절했고, 유대교는 유대인들의 거친 운명을 보며 기대를 거두었다고 한다. 또 가톨릭 교회에서는 미사에서 영광을 볼 수 없는 등 별다른 감흥을 얻지 못했다. 하지만 동방정교는 달랐다. 다녀온 사신들은 감탄에 감탄을 연발했다. "신臣들은 신臣들이 천국에 있는지 지상에 있는지 알 수가 없었나이다. 지상에는 그러한 광휘와 아름다움이 있을 수 없기에 제대로 묘사할바를 모르겠나이다. 다만 그곳에서는 신께서 인간들과 함께 하신다는 것 그리고 그 사람들의 예배의식은 다른 민족의 예배의식보다 더 아름답다는 것을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신들은 그 아름다움을 잊을 수가 없나이다."
  예배의식이 매우 아름다웠다는 말에 감동한 블라디미르는 988년 세례를 받고 동방정교를 국교로 선포했다. 아름다움이 종교를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는 것은 러시아인들의 미의식을 세삼스레 돌아보게 한다.

                                                                                                       이주헌 <눈과 피의 나라 러시아 미술>中

오래간만에 이주헌의 책을 읽고 있다. 러시아 미술에 관한 책은 처음인데, 동방정교에 관한 글과 그림들을보니, 그리스의 박물관들에서 본 성화들, 카자흐스탄에서 본 그림같은 교회들이 생각난다. 그나저나 '미美'를 이유로 동방정교를 국교로 정했다니, 재미있는 유래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즈행복 2007-08-23 22: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 를 이유로 국교로 정한 것은 당연한(?) 일 같은데요? 그것말고 도대체 뭘 이유로 생각할 수 있겠어요?^^
이쁜게 최고고 이쁜게 착한거라는데? ㅋㅋ

2007-08-24 00: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turnleft 2007-08-24 02: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파란색으로 칠한 이슬람교 이야기 압권!! 저라도 그랬을 듯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