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구름모모



여성과 운명에 대해 성찰하는 소설들 중에서 『환락의 집』이라는 민음사 세게문학전집이 있다. 2권으로 구성된 소설로 이디스 워튼의 출세작이며 여성 최초로 퓰리처상 수상작가의 작품이다. 19세기말 뉴육의 아름답고 젊은 여성 릴리 바트는 상류 사회의 언저리에서 생활하는 인물로 높은 교양과 고상한 취향을 지녔지만 일찍 부모를 잃고 부유한 남자와 결혼을 통해서 상류층으로 진입하려고 하는 여성이다. 작가는 뉴욕 벼락부자들의 과시적 소비와 경박함을 소설을 통해 폭로하면서 여성이 스스로 정체성을 찾아간 과정을 전하는 소설이다.

현대사회의 언론이 부추기는 여성의 아름다움이라는 기준으로 제시되는 것들을 떠올린다. 더불어 남성의 아름다움까지도 범벅이 되어버린 현대사회의 양상까지도 둘러보게 된다. 반면 어느 곳에서는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의 가치를 발견한 이들도 발견하게 된다. 미의 기준, 아름다움의 상징성을 추앙하는 기준은 시대의 흐름을 따라 변화되고 있음을 목도하게 된다. 아름다움도 상대성을 띠면서 시대가 제시한 유행, 아름다움에 휘청거리는 무리에 있지 않는지 숙고하게 하는 소설로 이어진다.


칙칙한 여성을 누가 원하겠어요?

사람들은 우리가 죽을 때까지

예쁘기를, 잘 차려입기를 기대하고 있어요.


그레이 헤어에 관심을 가지면서 흔들림 없이 지금의 나이듦을 사랑하고 있다. 『문숙의 자연식』이라는 책을 재독하면서 이 소설의 주제와 접목하게 된다. 정체성을 찾는다는 것을 큰 의미이며 삶의 중심점을 찾는 과정이다. 작가가 소설을 통해 문제를 발견하고 스스로 찾아간 정체성의 실체가 이 소설의 이야기가 된다. 『테트리스 부부』소설에 등장하는 아내의 과시적 소비 성향도 함께 떠올리지 않을 수가 없었다. 숙고의 시간조차 없이 큰 파도에 휩쓸린 현대인들의 과시적 소비와 경박함이 어떤 파국이 되는지 차분히 생각하게 되는 시간으로 이어진다.

정체성이 무엇인지 알지도 못하고 생을 마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소망 없는 불행』소설에 등장한 작가의 어머니처럼 여러 작가들의 책을 읽으면서 자신을 들여다보는 여성도 존재한다. 헨리크 입센 『인형의 집』이라는 최초의 페미니즘 희곡도 떠올리게 된다. 자신이 누구인지 한번은 깊게 들여다보는 시간은 필요해진다. 그 시간은 결코 무용하지 않으며 성장의 기회로 이어지는 출발선이 되기 때문이다.

결혼과 사랑에서 방황한 한 여성의 이야기가 소설로 전해진다. 『순수의 시대』, 『버너 자매』를 읽고 릴레이 독서로 읽은 작가의 작품이다. 관습과 규율, 시대적 아름다움의 기준을 의심하게 된다. 진정한 자아를 찾는 여정으로 이어지는 멋진 작품이다.

경박한 사회는 오로지

그 경박함이 파괴하는 것을 통해서만

극적인 의미를 얻을 수 있다. _이디스 워튼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