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의 실타래: 노하우
큰 일정은 J로 작은 일정은 P로
계획의 큼직한 틀은 짜되 세세한 시간은 놓아둘 것
우연한 만남을 추수하되
다음 이동이 정해진 상태이니
그 인연의 영원하지 않음에 즐겁게 안타까워할 것
그 지역의 바람과 기운을 느끼지 않은 채
컴퓨터 앞에서 제한된 정보로 미래의 시간을 과하게 디자인을 하지 말 것
less is more
예를 들어
외국여행갈 때 출도착 항공권, 숙박지
한국여행갈 때 출발편
그리고 해당 동선 안에 있는 미술관 2-3곳의 휴무,오픈시간,현재전시와 교통편만 살펴보고
현장에 가서 보되 생각했던 것보다 더 전시가 좋을 경우 더 많은 시간을 쏟는다
다음 스케쥴 소화해야하니 허겁지겁 보고 쫄래쫄래 출구로 나가지 않는다
어차피 근시일내에 다시 오지 못할 거라면 눈앞의 만남에 충실하기
시간에 쫓겨서 제대로 보지 못한 경우 아쉬움이 더 많이 남는다
가지런하지만 유연한 여행일정과
무리하지 않는 효율적인 동선계획과
예상치못함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계획변경과
적절하고 충실한 시간할애
4박5일, 9박10일의 여행이 너무 빡빡하면
처음만 좋고 중간은 허둥지둥대다가 마지막에는 제풀에 지친다
현지인처럼 하는 여행
마치 국내여행하듯 하는 외국여행이란?
예를 들어 무비자 90일 범위 안의 일본 일주 계획을 짠다고 생각할 때
공간에 맞춰 시간을 정하는 게 아니라
시간흐름에 따라 공간을 정하기
베르그송이 지적한 거북이 못 따라잡는 제논의 역설 문제와 같다
거리이동과 시간은 다르다고 하였다
당연히 사전패스구매, 현금인출+이동방법, 전시일정 확인은 해야하지만
교통에 숙박까지 싹 다 정해놓으면
"그 도시 그 호텔 예약때문에 지금 가야해"하고 그림 보다가 중간에 끊게된다.
마치 코스 요리 음미하다가 디시 중간에 떠나는 셈. 뒷맛이 개운하지 않다.
마치 똥 싸다가 중간에 끊는 셈. 시원하지 않다
대안은?
외국 무비자 가능해도 복귀 항공편이 없으면 반려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out티켓는 필요
이동계획과 루트를 정하고
in/out항공권을 끊고 첫 도착공항과 복귀공항 근처 숙박만 정하고 중간 시간은 자유롭게
그러니 현지에서 교통/숙박을 계속 구매하면서 이동한다
마치 한국에서 국내여행할 때도 고속버스는 10-30분 단위로 있어서 여행 일정을 약간 느슨하게 짤 수 있고 부득이한 경우 숙박도 해볼 수 있는 것처럼 (물론 KTX의 경우 복귀편도 미리 예약을 해야하는데 특히 주말일 경우 더더욱 매진되는 까닭. 그래서 주말에는 지방에 잘 안감)
예컨대 85일차에 OO시로 도착하는 계획. 대략 A도시 3일 B도시 1일 C도시 10일 움직인다 볼 게 없으면 하루 먼저 출발할 수 있고 볼 게 많으면 이틀 더 쓸 수 있다 그러나 85일에는 Z도시까지 도착한다.
이런게 외국여행을 국내여행처럼 하는 것
시간흐름에 맞춰 공간을 세팅하는 것
이런 스타일의 MBTI는?
아마 N을 기준으로 두고 J+P가 결합된 모델
문자를 그림으로 그려보니 I/E, J/P는 호환이 되는군
T와 P는 억지로 된다
N과 S는 호환이 안된다
그럼 그렇지
헛소리다 꿱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