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에그몬트 서곡


[네이버 지식백과] 카네이션 [Nelken] (무용이론사전, 2011. 9. 5., 메디컬코리아 편집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75888&cid=50341&categoryId=50341 독어 '넬켄'은 카네이션을 뜻한다.


정옥희의 책 '이 춤의 운명은 - 살아남은 작품들의 생애사'(열화당)로부터 옮긴다.

Tanzabend Nelken / mise en scène de Pina Bausch. - Avignon : Palais des papes, 30-07-1983 By Michaud, Fernand (1929-2012). Photographe -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피나 바우쉬의 '카네이션', 부퍼탈 탄츠테아터 https://www.lgart.com/product/ko/performance/252888 올 가을 우리 나라에서 공연한다.





1980년 여름, 남아메리카에서 순회공연 중이던 피나 바우슈와 무용수들은 칠레 안데스산맥의 한 계곡에서 카네이션 들판을 마주친다. 카네이션이 끝없이 펼쳐진 언덕의 빛과 공기는 그대로 극장으로 녹아들어 선연한 인상을 남긴다. 카네이션 가득한 들판의 풍경에서 시작된 「넬켄」은 우선 공간을 강하게 구축함으로써 그 공간을 누비는 무용수를 선명하게 부각시킨다.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이 작품을 위해 무용단은 매 공연마다 현지에서 철물을 구해 무대 구조물을 세우고, 몇천 송이의 조화 카네이션을 정성 들여 꽂는다.

핑크색 카네이션이 고르게 피어난 들판은 고전 회화에서나 등장할 법한 이상적인 낙원, 아르카디아(‘목가적 이상향’이라는 뜻의 축복과 풍요의 낙원)다.

하지만 낙원의 평화는 금세 깨진다.
카네이션 언덕이 있던 칠레는 피노체트의 군사독재 정부가 장악했고, 그녀의 조국엔 베를린 장벽이 굳건하던 때였다. 바우슈가 역사적 사건을 구체적으로 묘사한 것도 아니었던 데다 이제는 독재정권도 베를린 장벽도 무너졌지만, 그녀가 묘사하는 감시 사회는 여전히 파장력을 지닌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