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22일
제목: 좋아, 지옥엔
내가 가겠어
“좋아, 지옥엔 내가 가겠어!”
(All right, then, I'll go to hell!)
흑인인 친구 짐을 돕기 위한 허클베리 핀의 선언이다. 마치
지장보살이 지옥에 있는 중생을 모두 제도하기 전까지 부처가 되지 않겠다고 한 서원과 다르지 않는 자비심이다.
허클은
사회가 옳다고 가르친 가치가 아닌, 자신의 내면이 옳다고 믿는 길을 택했다. 마크 트웨인은 허클의 눈을 통해 당시 미국 사회의 부조리인 노예제도를 비판했다. 톰 소여의 모험의 주인공, 톰은 상상력이 뛰어났고, 허클은 진실을 보는 시각을 지녔다. 톰소여는 작가의 어린 시절이
투영된 자아였다면, 허클은 작가의 성인 시절 투영된 자아로 볼 수 있다. 작가가 톰을 통해 어린시절 순수한 상상력과 낭만으로 미래를 그렸다면, 허클을
통해서는 사회의 부조리 같은 현실과 비판을 담은 것이다.
가만히 보면 그 시대를 뗏 목을 타고 모험을 했던 톰과 허클이 다시 소환해야 될 시점에 온 것 같다. 지금 이 시대의 기술과 문명은 나날이 빠르게 발전하지만 여전히 사회의 부조리는 해결되지 않았다. 인공지능 시대가 열렸다고 하지만 미래에 대한 희망보다는 두려움이 더 앞서는 것 같다.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톰과 진실을 볼 수 있는 눈을 지닌 허클이 우리에게 나침반이 되어 줄
차례가 되었다. 디지털 세상 속에서 우리는 새로운 모험을 떠나야 할 때다.
톰의 상상력으로 미래를 그리고, 허클의 눈으로 진실을 봐야 한다.
우리는 상상해야 한다. 그리고 혜안으로 통찰해야 한다. 톰 소여처럼, 허클 베리처럼, 그리고
나 자신만의 방식으로 질문을 던져야 한다. 닥쳐올 미래가 지옥이 될지 천국이 될지 모르지만 지옥이라도
좋다. 한번 부딪혀 보겠어.
디지털 대모험의 시대가 이미 열렸다. 우린 지금 출항할 순간이다.
- 1910년 4월 21일, 마크
트웨인 서거를 기리며
By Dharma & Mahe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