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너무도 멀리 와버렸구나!
이런 생각이 든다. 어디서 멀리 왔을까? 바로 흙에서다.
흙에서라고? 흙은 바로 우리 곁에 있지 않은가. 지금도 우리 발 밑에...
발 밑이라고? 보이지 않는다. 도시에 사는 사람들에겐.
그들에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포장된 땅만 보인다. 땅은 있되, 흙은 없는 상태.
그것이 현대 도시인들의 생활이다. 김기택 시인은 그래서 '그는 새보다도 적 게 땅을 밟는다'고 하지 않았던가. 흙이라 하지 않았는데, 흙이 아니더라도 땅이라는 우리가 발 딛고 살아야 할 것에서도 멀어졌는데, 하물며 흙이랴!
시골에나 가야 아니면 등산을 가야 흙을 밟게 되는데, 그래서 흙의 소중함을 잃고 사는 것은 아닌지.
이러한 흙에 대한 애정을 담은 시집이 바로 이 [흙의 경전]이다. 흙을 경전처럼 소중히 여긴다면 지금 우리가 이렇게 기후 재앙에 시달리지는 않았을 텐데.
흙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이 쫓겨나는 모습이 이 시집에 담겨 있다. 물론 흙과 멀어지는 사회만을 다루고 있지는 않다.
역사적으로 우리가 겪은 개발, 독재, 분단 등이 이 시집에 실려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은 바로 '흙'이다. 땅이다. 무엇에 덮이지 않은,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그러한 땅.
그래서 이 시집에 나오는 인물들은 땅에 살아가는 존재, 논이나 밭에 내려온 새들도 함께 살아야 할 소중한 존재로 여긴다. 이런 인물들에게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유흥이라는 이름으로 - 이 시집에 골프장 건설로 땅을 잃게 된 사람들 이야기가 나오니, 골프장을 과연 땅이라고, 골프를 치는 사람들을 보고 땅을 밟고 살아가는 사람들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골프장에 깔린 잔디들은 도시에 깔린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별 다를 것이 없다- 사람들을 흙에서 멀어지게 한 역사가 과연 우리에게 행복을 주었는가를 생각하게 한다.
시집의 뒤에는 연작시가 실려 있는데, 우리 개발의 역사 속에서 흙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무엇보다도 그러한 개발로 인해 우리는 기후 재앙이라는 위기에 빠지게 되었으니, 흙, 땅. 그것은 우리의 생존에 필수임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
날이 더워지고 있다. 흙과 멀어져 더더욱 더워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