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도담서림(道談書林)
  • 봄빛
  • 정지아
  • 12,600원 (10%700)
  • 2008-03-31
  • : 516

정지아 소설, 무거운 내용인데도 가볍게 읽었다. 무거움을 웃음으로 덜어주고 있는 소설들이었다. [아버지의 해방일지], [자본주의의 적], [나의 아름다운 날들], [빨치산의 딸]들. 모두 재미있게 읽었다.


사실 재미있게 읽었다는 말을 하기엔 다루는 내용들이 무겁다. 한국 현대사의 비극이 소설 속에 스며들어 있기 때문이다. 엄혹한 시절을 살아낸 사람들의 이야기가 많이 실린 작품들이었는데...


그럼에도 그 엄혹함 속에서도 웃음이, 낙관, 긍정이 나타나서 좋았다고나 할까. 어떤 비극적인 상황에서도 고꾸라지지 않고 기어서라도 앞으로 나아가는 사람들 이야기. 그런 사람을 소설에서 만나는 것은 우리 삶에 도움이 된다.


이 소설집도 마찬가지다. 분명 소설의 주요 인물들은 한 세상을 살아내고 이제는 스러질 일만 남은 사람들이다. 그럼에도 정지아는 그런 사람들의 모습에 따스한 눈길을 보낸다. 그들의 모습이 빛바랜 흑백사진처럼 다가오지만, 흑백사진은 그 자체로 아련한 추억을 불러일으킨다.


안쓰러움, 그러나 그토록 오랜 세월을 거쳐왔던 신산한 삶들이 결코 무시해서는 안 될 것이라는 사실을 이 소설집은 보여주고 있다.


치매에 걸린 노인, 한 평생 자신의 마을을 떠나보지 못한 사람 등을 보여주면서도 그들에 대한 애정을 놓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 현대사를 관통하면서 살아온 사람들, 지금은 늙고 병들어 힘을 발휘하지 못하지만 그들이 열심히 최선을 다해서 자신들의 삶을 살아왔음을 이 소설집은 보여주고 있다.


봄빛... 그렇다. 봄빛은 겨울을 나고 이제 새로운 시작을 할 때 이미 지나온 것들을 따스하게 비춰준다. 그러한 봄빛 속에서, 봄볕 속에서 고단했던 삶을 위로받을 수 있다. 이 소설이 보여주는 것이 바로  그러한 고단한 삶을 잠시나마 위로해주는 봄빛(봄볕)일 것이다.


11편의 소설이 실려 있는데 어느 소설도 순탄한 삶을 사는 사람들이 주인공이 되지 않는다.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짐을 지고 살아간다. 운명을 받아들이든 맞서 싸우든 자신의 삶의 길을 가는 사람들이다. 


작가는 이러한 사람들에게 따스한 눈길을 보내고, 손을 내밀고 있는 것이다. 열심히 살아서 이제는 앞으로 나아갈 길보다는 과거를 돌아보는 길이 훨씬 길어진 사람들. 그 길을 되짚어 가는 사람들도 있지만, 길은 끝나지 않는다.


끝까지 가도 가도 길은 끝나지 않는다. 하여 많이 걸어온 길, 잠시 쉬어가는 사람들, 그 쉼에 함께하는 빛, 봄빛, 봄볕. 과거의 신산함을 녹여주고 쉬게 해준다. 완전히 녹이지는 못하겠지만, 또한 봄볕에 피부가 타듯이 또다른 일들이 기다리고 있겠지만, 우리가 가고 있는 길에서 잠시 쉴 때, 그 쉼을 함께해주는 봄빛과 같은 사람들, 장소들이 있음을...


이 소설은 그렇게 우리 삶이라는 길을 함께해주는 봄빛과 같은 역할을 한다. 언뜻 쇠락한 삶들이 풍경으로 제시되는 것 같지만, 멈춤이 아니라 나아감을, 우리가 지나온 길과 가야할 길을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소설집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