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장에 ‘후설의 복귀‘는 방법론의 발명, 특히 철학의 본질이 밝혀지는 질문의 발명에서 유지되는 지성의 힘의 복귀이다. 현상학은 독일 관념론이 19세기에, 경험론이 18세기에, 데카르트주의가 17세기에, 토마스 아퀴나스와둔스 스코투스가 스콜라 철학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고전철학에 속하는 것처럼 20세기에 속할 것이다. 이제 현상학도 저 위대한 사유의 모델들처럼 과거에 속하여 찬란하고 지고한 사유들의화랑에 한 자리를 차지하지 않겠는가?- P9
현상학의 갱신은 오늘날 하나의 조건에서만, 현상학을 궁극적으로 결정하는 질문, 그 철학의 존재 이유이기도 한 질문 자체가 갱신된다는 조건에서만 가능하다. 여기서 갱신은 확장, 교정, 더 나아가 다른 것을 위해 현상학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이 의존하는 것을 전복해서 모든 것이 변화하는 방식으로 현상학을 근본화하는 것이다.- P10
다시 말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나타남 그 자체와 관계한다. 이 후자를 통각하고 그 자체를 분석하는 것은 역사적인 현상학에 대한 진정한 기여가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현상학의 주제이다. 그런데 이것은 전통적인 철학의 문제 제기, 즉 고전적인 의식이나 그리스적 진리의 문제로 돌아가는 것이어서는 안 될 것이다.- P10
물질 현상학은 이 비가시적인 현상학의 실체를 지시할 수 있다.
이 실체는 아무것도 아닌 것이 아니라 어떤 정감un affect), 더 자세히말하면 모든 정감을 가능하게 하는 것, 궁극적으로 모든 촉발과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물질 현상학의 관점에서 현상학적인 실체는 삶이 자기를 느끼는 정념적인pathétique" 직접성이다. 이런삶은 정념적인 밀착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며, 이런 방식으로 삶은본래적인 현상화의 ‘어떻게‘에 의한 현상성 그 자체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P12
역설적이게도자기 속에서 자기하고만 관계하는 삶만이 유일하게 가능한 상호주체성을 완성할 수 있는 환경e milieu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 역설은, 삶이 자기에 이르고 자기의 고유한 존재를 획득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내재적인 주체성의 시련‘épreuve‘ 에서라는 것을 이해하면 생각보다 훨씬 줄어들 것이다. 이 시련으로부터 자기는 자기이고, 이런 방식으로 자기는 자기로부터 불어나고 성장한다. 이것은 이 장의 두 번째 텍스트에서 다뤄지는 것으로, 특히 타자의 ‘존재‘를 촉발할 수 있는 모든 것은 자기 속에서 본래적으로 도래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여기서 자아와 타이는 공통의 탄생, 즉 같은 본질을 가진다- P16
다시 말해 모든 것은 삶으로 기울고 삶 속에 존재하며 모든 것은 살아있다.
물질 현상학의 과제는 거대하다. 그것은 실재를 사유하는 것이문제인 경우, 지금까지 무시된 현상들의 질서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다시 생각하는 것이다. 실재의 각각의 영역은 새로운분석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 분석은 실재 속에서 그것의비가시적인 영역으로까지 나아가야 한다. 이것은 또한 결국 살아있는 우주로 우리가 물질적 자연이라고 부르는 것과도 연관된다.- P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