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본 한국
얀 아르튀스-베르트랑 사진, 이어령.존 프랭클 에세이, 김외곤.조형준 사진 에세이 / 새물결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찾아 읽는 사진책 161

 


한국은 얼마나 아름다운 곳인가
― 하늘에서 본 한국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새물결 펴냄, 2008.11.15.

 


  프랑스사람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님은 비행기를 타고 지구별을 돕니다. 비행기에서 바라본 지구별을 사진으로 담습니다. 지구별 여러 나라에서는 이녁한테 사진을 찍어 주기를 바라면서 여러모로 도와주기도 합니다. 한국에서도 다섯 해에 걸쳐 찬찬히 사진을 찍어 2008년에 《하늘에서 본 한국》(새물결)을 퍽 두툼하고 큰 판으로 내놓기도 했습니다.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님은 한국을 찍은 사진책 머리말에서 “사람들은 제 사진이 너무나 아름답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정작 아름다운 것은 지구입니다(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하고 이야기해요.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님이 들려주는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지구별이 아름다우니, 이 아름다운 지구별을 바라보면서 아름다운 빛을 사진으로 아름답게 찍을밖에 없는’ 셈입니다. 내 마음에 사랑을 지피는 아름다운 짝꿍을 사진으로 찍어 보셔요. 얼마나 아름다운 사진이 태어납니까. 내가 사진을 잘 찍으니 아름다운 짝꿍을 아름답게 찍지 않습니다. 내 사진기가 대단히 값지거나 비싼 기계이기에 내 짝꿍을 아름답게 찍지 않아요. 나와 마주한 아름다운 짝꿍한테서 흘러나오는 아름다운 사랑빛이 사진으로 살포시 옮아갈 뿐입니다.


  예부터 사진찍기는 ‘넋찍기’라 했습니다. 사진에 찍히면 넋이 빠져나간다고 여겼습니다. 이 말은 옳을 수 있고 그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옳고 그름은 대수롭지 않습니다. 찍히는 사람이 아름답게 삶을 가꾸면, 이녁을 찍는 사진은 언제나 아름답지요. 찍히는 사람이 아름답게 삶을 가꾸지 못하면, 이녁을 찍는 사진은 언제나 아름다움이 드러나지 않습니다.

 

 


  사진책 《하늘에서 본 한국》은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님이 찍었기에 아름답지 않습니다. 한국이라는 나라가 아름답다면 누가 한국을 찍더라도 아름다운 빛이 서리기 마련입니다. 책끝에 붙은 “이 책은 하늘에서 보면 민족주의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는 것을 말해 준다. 심지어 DMZ를 찍은 사진들을 보더라도 한국이 남북으로 분단된 ‘미완’의 국가라는 느낌은 전혀 들지 않는다(존 프랭클).”와 같은 이야기를 헤아려 봅니다. 하늘에서 바라보면 남녘과 북녘이 따로 없습니다. 하늘에서는 군인과 대통령을 알아볼 수 없습니다. 하늘에서는 서울대 나온 젊은이와 고등학교만 마친 젊은이를 알아볼 수 없습니다. 하늘에서는 얼굴 이쁜 색시와 얼굴 못생긴 사내를 알아볼 수 없습니다. 하늘에서는 부자와 가난뱅이를 알아볼 수 없습니다. 또한, 하늘에서는 전라도와 경상도를 알아볼 수 없습니다. 하늘에서는 이것과 저것을 가르지 않습니다.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님이 하늘을 날며 사진을 찍는 까닭을 얼핏설핏 알 만합니다. 하늘에서는 국경이 없기에, 이녁은 언제나 지구별을 나들이할 뿐입니다. 이 나라와 저 나라를 가로지르지 않습니다. 가장 아름다운 지구별을 두루두루 나들이를 하면서 마음 가득 아름다운 빛을 담아요. 사진은 그저 거들 뿐이라 할까요. 손가락으로 단추를 누르기만 할 뿐, 언제나 아름다운 삶과 꿈과 사랑을 마주하니 즐거운 웃음으로 노래하듯이 사진을 빚는다고 할까요.


  그러면, 한국을 찍은 사진에는 어떤 빛이 서린다 할 만할까 돌아봅니다. 책끝에 붙은 “한국의 농촌에서는 사람의 그림자가 드문드문하고, 낙후된 실정이 여실히 드러난다. 환경이나 자연 풍광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좋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서울을 찍은 사진을 보면 저간의 사정이 짐작된다. 즉 한국 인구의 1/4에 가까운 인구가 수도인 서울에 집중되어 있으며, 날마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고 있다(존 프랭클).”와 같은 이야기를 새삼스레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시골에는 사람이 매우 드물고, 아이들은 거의 찾아볼 길이 없습니다. 한국에서 도시에는 사람이 매우 많고, 지나치게 넘칩니다. 사람도 자동차도 건물도 한국 도시는 끔찍하다 할 만큼 복닥복닥 어수선합니다.


  사진책 《하늘에서 본 한국》을 들여다보면 골프장 사진이 틈틈이 나옵니다. 하늘에서 내려다보기에 골프장은 그야말로 그악스럽기 때문일까요. 어쩐지 도드라져 보이기 때문일까요. 숲하고 동떨어진 골프장이요, 시골마을하고도 엇나가는 골프장입니다. 외딴섬에 마련한 별장과 관광단지 사진도 가끔 나타납니다. 작고 예쁘장한 섬에 엄청난 돈을 들이부어 마련한 별장과 관광단지는 무엇을 말할까요. 왜 ‘한국을 이야기하는 사진’에는 그악스럽다 할 만한 모습이 자주 나타날까요.

 


  새마을운동 바람이 불러들인 ‘시골집 지붕’ 빛깔을 바라봅니다. 새마을운동 바람과 함께 온 나라 시골에 불어닥친 ‘비닐 농사’ 무늬를 바라봅니다. 고랑을 따라 길게 줄을 맞춰 땅을 뒤덮는 비닐입니다. 시골은 온통 비닐이요, 도시는 온통 아스팔트와 시멘트입니다. 한국은 오늘날 이런 모습입니다. 아름답다면 아름다울 한국이요, 안 아름답다면 안 아름다울 한국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거의 마지막에 실린 사진에 붙인 말을 읽습니다. “갈대밭으로 유명한 순천만에는 약 2600만㎡에 달하는 넓은 갯벌이 있다. V자 형의 개막이 그물이 군데군데 처져 있는 갯벌 위로 저녁노을이 곱게 물들어 한 폭의 아름다운 그림이 만들어졌다. 돈으로 계산할 수 없는 멋진 풍경을 선사하는 순천만 갯벌은 수산물이 풍부해 지역 주민들의 생계에도 보탬이 되고 있다(332쪽).”와 같은 말은 누가 붙였을까요. 한국사람이 붙였을까요, 프랑스 사진가 스스로 붙였을까요. 어쨌든, 순천만 갯벌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마을사람 살림살이를 북돋우는 아주 좋은 삶터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이런 말이 나온 지는 얼마 안 되었어요. 이런 말이 나오기 앞서까지 온 나라 갯벌을 온통 메우느라 바빴습니다. 우리 식구 살아가는 전남 고흥은 들과 바다와 섬과 갯벌이 한껏 어우러지며 아름다운 고장이지만, 거의 모든 갯벌을 메워 논으로 바꾸었습니다. 다른 바닷가 시골에서도 갯벌을 메우기 바쁘기만 했습니다. 서울과 가까운 도시에서는 갯벌을 메워 아파트를 올렸어요. 인천공항은 섬과 갯벌을 메워서 지었습니다.

 


  갯벌은 순천 갯벌만 예쁘지 않습니다. 온 나라 모든 갯벌이 예쁩니다. 그러나 순천을 뺀 다른 고장에서는 갯벌을 없애기에 바빴고, 메운 갯벌에 다시 바닷물을 끌어들이려 하는 고장을 찾기 어려우며, 제주섬은 바닷가를 빙 둘러 찻길을 닦았습니다. 한국은 틀림없이 지구별에서 손꼽힐 만큼 들과 숲과 멧골과 바다와 냇물이 아름다운 나라였을 텐데, 오늘날에는 지구별에서 손꼽힐 만큼 몽땅 망가뜨려 어지럽고 아픈 누리로 바뀌었습니다.


  한국은 얼마나 아름다운 곳일까요. 한국에서는 얼마나 아름다운 빛을 만날 수 있을까요.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님이 다른 나라에서 찍은 사진과 한국에서 찍은 사진을 굳이 견주어야 할 까닭은 없을 테지만, 저절로 견주고 맙니다. 자꾸 견주고 맙니다. 한국에서 만날 수 있는 빛은 아름다움보다는 그악스러움에 가깝고, 앞으로도 아름다움보다는 그악스러움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4347.3.2.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흥집 38. 이 예쁜 빨래터에서 2014.2.25.

 


  이 예쁜 빨래터에서 빨래를 할 젊은 일손이 시골에 없다. 이 멋진 빨래터에서 물놀이를 할 어린이가 시골에 없다. 마을마다 빨래터가 있으나 빨래터에서 빨래를 하는 사람은 이제 찾아볼 길이 없다. 빨래터는 논에 물 댈 적에 호스를 길게 이을 적만 더러 쓸 뿐, 빨래터 몫을 하지 않는다. 그나마 마을 어귀에 빨래터가 있는 우리 마을에서는 빨래터를 틈틈이 치운다. 마을 안쪽에 있다면 아마 아무도 안 치운 채 물이끼범벅이 된 채 버려졌을 테지만, 마을 어귀에 있으니 길손과 나그네 눈치가 보여 곧잘 치우곤 한다. 우리 식구는 우리 마을에서 빨래터를 홀로 차지하듯이 치우면서 논다. 가까이에서 누리는 물놀이터가 된다. 겨울에는 물이끼만 걷지만, 봄볕이 따끈따끈 내리쬘 때부터 첫가을까지는 찰방찰방 빨래터를 가로지르면서 온몸을 적시고 논다. 젖은 옷은 물로 헹구고, 아이들은 새옷으로 갈아입는다. 마을빨래터에서 빨래를 하는 사람은 없으나, 우리 아이들은 물놀이를 마친 뒤 저희 옷가지를 저희가 이곳에서 설렁설렁 비비고 헹구는 시늉을 하면서 빨래놀이까지 한다. 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떤 분 책읽기

 


  어떤 분이 있다. 나는 이 어떤 분을 잘 모른다. 이 어떤 분도 나를 잘 모른다. 그런데 꽤 예전에 예닐곱 해쯤 앞서인가 어떤 분이 나한테 연락을 했다. 이녁이 쓴 책에 사진을 넣고 싶다면서, 내가 찍은 헌책방 사진을 줄 수 있느냐고 여쭈었다. 그래서 나는 어떤 분한테 두 가지를 물었다. 첫째, 헌책방 사진을 넣고 싶은 그 책이 어떤 이야기를 다루는지 원고를 보여주십사 묻고는, 둘째, 사진을 쓰려면 사진값을 치러야 할 텐데 사진 인세를 어떻게 하시겠느냐 하고 물었다. 첫째 물음에 어떤 분은 책을 이야기하는 책이라고만 했고, 원고는 보여줄 수 없다고 했다. 둘째 물음은 출판사에 물어 보겠노라 했다. 그래서, 어떤 원고로 나오는 책인지 알 수 없는데 헌책방 사진을 함부로 줄 수 없다고 했다. 헌책방을 노래하는 원고인지, 헌책방은 오래된 낡은 뒤처진 곳이라고 깎아내리는 원고인지 모르는 채 헌책방 사진을 함부로 줄 수 없는 노릇이라 했다. 나중에 출판사 일꾼하고 이야기를 나눈 뒤 연락하기를 사진값을 주기 어렵다 했다. 그러면 인세 몫에서 잘라 사진값을 주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다른 사람이 애써 찍은 사진을 거저로 가져가려 하면 안 된다고, 정 사진을 쓰고 싶으면 내가 찍은 사진은 인터넷에 많이 떠도니 그 사진을 잘 살펴보고 비슷하게든 똑같이든 찍어서 그 책에 쓰시라 했다.


  그 뒤로 어떤 분한테서 아무 연락이 없다. 그러고 몇 해 지나 지난해 첫겨울에 어떤 분한테서 다시 연락이 온다. 이번에도 책을 이야기하는 책을 그 어떤 분이 쓰는데, 전국에 있는 수집가를 인터뷰하는 책이라고 하면서, 나더러 ‘사진책 수집가’로 인터뷰를 하고 싶다고 여쭌다. 그래, 나를 얼마나 알아보고 살펴보았느냐고 묻는다. 나는 ‘사진책 도서관’을 혼자서 열어 꾸리는 사람이지, ‘사진책 수집가’가 아니라고 어떤 분한테 말한다. 그러니 어떤 분이 하는 말, ‘내가 하는 일을 내가 글로 정리해서 보내 줄 수 있느냐’ 한다. 인터뷰를 해서 책으로 내겠다면, 인터뷰를 할 사람이 고흥에 살건 서울에 살건 그이한테 찾아가서 만나고 이야기를 나눌 노릇이 아닐까. 인터넷에서 누리편지 한두 번 보내면서, 게다가 ‘내 삶을 나 스스로 정리해서 글로 써서 보내 달라’는 부탁은 뭔가. 인터뷰를 하시겠다면서 인터뷰를 받는 사람이 자기소개와 스스로 하는 일을 손수 정리해서 글로 쓰는 법도 있는지 궁금하다고, 이녁이 내 네이버블로그이든 알라딘서재이든 들어와서 도서관일기라도 좀 읽으시라고 말한다. 그러니 어떤 분은 내가 인터넷 게시판에 올린 글을 이녁이 정리해서 그 글을 이녁 책에 소개글로 넣으면 되겠느냐고 묻는다.


  도무지 이야기가 안 되어 더는 대꾸를 하지 않는다. 설마 어떤 분은 내가 쓴 글을 나도 모르게 편집해서 ‘마치 나를 만나서 인터뷰도 하고 얘기를 듣기라도 한 듯이’ 꾸며서 책을 내지는 않겠지? 알라딘서재에 있는 어떤 분도 내 얘기를 엉뚱하게 편집질을 해서 ‘마치 나를 잘 아는 이웃이라도 되는 듯이’ 꾸며서 책을 내어 놀래킨 적이 있는데, 부디 뒷통수 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남 이야기를 하자면, 남이 쓴 책이라도 좀 제대로 읽거나, 남이 일하는 사진책 도서관으로 찾아와서 이야기를 듣기라도 하기를 바란다. 4347.3.2.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삶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13) 통하다通 60 : 통하는 데

 

둘은 티격태격하기도 하지만 통하는 데가 있었다
《캐롤린 베일리/김영욱 옮김-미스 히코리》(한림출판사,2013) 91쪽

 

 통하는 데가 있었다
→ 마음이 맞는 데가 있었다
→ 마음이 맞기도 했다
→ 잘 맞는 데가 있었다
→ 잘 맞기도 했다
 …


  다투다가도 사이좋게 지내는 이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어느 때에는 서로 잡아먹을듯이 다투지만, 어느새 활짝 웃으면서 어깨동무를 합니다. 아무래도 서로 마음이 맞는 데가 있으니 다툴 수도 있고 사이좋게 지낼 수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마음이 하나도 안 맞는다면 아예 다툴 일조차 없으리라 느껴요. 마음이 안 맞으면 서로 모르는 채 스쳐 지나가는 사이였겠지요.


  때로는 어긋나지만 때로는 잘 맞습니다. 때로는 티격태격 툭탁툭탁 삐걱거리지만 때로는 빙글빙글 웃습니다. 마음이 맞는다고 할 적에는 뜻이 맞습니다. 뜻이 맞을 적에는 생각이 맞습니다. 한마음이 됩니다. 한뜻이 됩니다. 한솥밥을 먹는 사이처럼 살가이 지냅니다. 4347.3.2.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둘은 티격태격하기도 하지만 잘 맞는 데가 있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343 : 냉동 포도, 꽁꽁 언 얼음


그곳에는 히코리가 후식으로 먹을 냉동 포도송이들이 많이 있었다 … 첫 번째 개울을 따라 스케이트를 지쳤다. 꽁꽁 언 얼음 밑으로 졸졸 개울물이 흐르고 있었다 

《캐롤린 베일리/김영욱 옮김-미스 히코리》(한림출판사,2013) 91쪽 

 

 후식으로 먹을 냉동 포도송이 (x)
 꽁꽁 언 얼음 (o)

 


  겹말이 나타나는 까닭은 깊이 살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월을 잘 살피면, “꽁꽁 언 얼음”이라는 대목이 있어요. 얼음이니까 꽁꽁 ‘언다’고 할 테지요. 그러면, ‘냉동(冷凍)’이란 무엇일까요. ‘얼림’이나 ‘얼리게 하는 일’을 가리킵니다. 겨울이 되어 들판에 있던 포도송이가 꽁꽁 ‘얼’기에, 이 포도송이는 ‘언’ 포도송이입니다.


  감을 얼리면 ‘언 감’입니다. 딸기를 얼리면 ‘언 딸기’입니다. 얼리니 ‘언’이라고 붙입니다. 4347.3.2.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곳에는 히코리가 입가심으로 먹을 언 포도송이들이 많이 있었다 … 첫째 개울을 따라 스케이트를 지쳤다. 꽁꽁 언 얼음 밑으로 졸졸 개울물이 흐른다

 

‘후식(後食)’은 ‘입가심’이나 ‘주전부리’로 다듬습니다. ‘번(番)째’도 ‘일요일날’이라는 말투처럼 으레 쓰는 말입니다. 그대로 두어도 나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글이 어린이책에 나오는 만큼, ‘番’과 ‘째’가 같은 말이니, “첫 번째 개울”은 “첫 개울”이나 “첫째 개울”로 손봅니다. “개울물이 흐르고 있었다”는 “개울물이 흐른다”나 “개울물이 흘렀다”로 손질합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