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4.20. 바보 이오덕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언제나 처음은 씨앗 한 톨입니다. 두 톨도 석 톨도 닷 톨도 열 톨도 온 톨도 즈믄 톨도 아닌 한 톨입니다. 모든 숲은 씨앗 한 톨부터 첫밗을 엽니다. 사람도 늘 첫걸음을 씨앗 한 톨로 뗍니다. ‘나’는 ‘낳은’ 숨빛입니다. 나로 낳은 ‘나’를 바라보고 품을 줄 알 적에 ‘날’ 수 있고, 훨훨 날면서 ‘놀’다가 문득 ‘너’를 만나는 길에 ‘너머’로 갑니다. 그런데 나를 잊을 적에는 ‘너무’ 한켠으로 기울면서 ‘넘치’게 마련이요, 언제 어디에서나 나를 찾고 보고 그리고 돌아볼 적에는 ‘너울거’립니다.


  숲노래 씨한테 부산이란 곳은 2000년 어느 날부터 이웃으로 스몄습니다. 1994년 3월에 들어간 뒤에 싸움터(군대)를 거치고서 1998년 12월에 그만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만난 동무 가운데 여태까지 이따금 말을 섞는 꼭 한 사람이 있는데, 부산내기입니다. 이 부산내기를 보려고 2000년에 처음 부산마실을 하면서 보수동책골목에 들렀다가 깜짝 놀랐어요. 이토록 아름책터를 품은 고장이 부산이라면, 부산사람은 서울바라기를 할 까닭이 없이 스스로 스스럼없이 스승길을 걸을 만하리라 여겼습니다.


  지난 2023년 가을부터 부산 동광동 〈곳간〉에서 ‘살림씨앗’ 배움모임을 함께 꾸리는데, 올 2024년 4월부터 부산 연산동 〈카프카의 밤〉에서 ‘이응모임’이란 이름으로 “이오덕 읽기 모임”을 함께 꾸립니다. 아마 2024년 5월부터 부산 거제동 〈책과아이들〉에서 ‘바보눈’이란 이름으로 또다른 “이오덕 읽기 모임”을 함께 꾸리려고 합니다.


  인천에서 나고자란 뒤에 서울에서 열린배움터를 다니다가 그만두고는, 보리출판사 영업부 일꾼으로 책마을에 발을 들이다가, 《보리 국어사전》 엮음빛(편집장)을 맡더니, 어느새 ‘이오덕 글갈무리(유고 정리)’를 하다가, 2011년부터 전남 고흥 깃새로 옮겨서 살아가는데, 인천서도 서울서도 전라남도에서도 아직 한 적이 없는 “이오덕 읽기 모임”을 부산에서는 두 갈래로 새롭게 꾸린다니, 스스로 보기에도 놀랍고 대견하며 대단하고 대수롭구나 싶어요. 이른바 ‘대박’입니다.


  여러 ‘대-’ 낱말을 슬쩍 읊어 보는데, ‘대’는 ‘대나무’에서 비롯한 ‘대’입니다. 뼈대요 꽃대이고, 장대에 바지랑대입니다. 속대에 ‘대다·기대다·대님’이고, ‘대차다·당차다’이면서, ‘대롱·빨대’예요. 그냥 우리말입니다. 그저 우리말이지요.


  이오덕 어른을 읽는 길은 어렵지도 쉽지도 않습니다. 누구나 그저 스스로 우리 삶으로 읽고서 우리 살림으로 풀고서 우리 사랑으로 익혀서 우리 노래로 품는 숲빛을 헤아리면서 뚜벅뚜벅 걸어가면 즐겁습니다. 받들거나 우러르거나 모시거나 섬기거나 올리거나 기려야 하지 않습니다. ‘어른’이란, ‘아이’ 곁에서 상냥하게 웃고 부드럽게 말하면서 기쁘게 북돋아서 함께 손을 잡고 걸어가는 어깨동무인 사람입니다. “이오덕 어른”이라 할 적에는 대단하거나 놀라워서 우리 손이 안 닿는 곳에 있는 분일 수 없습니다. “이오덕 어른”이라 할 적에는 우리가 오늘 이곳에서 스스로 어떻게 웃고 춤추고 노래하다가 놀고 쉬고 일하고 살림하는 마음인지 가만히 돌아보는 조그마한 씨앗이라는 뜻입니다.


  앞으로 부산 아닌 여러 고장에서도 “이오덕 읽기 모임”을 다르게 펴고 나눌 수 있습니다. 뜻하는 곳과 이웃이 있으면 스스럼없이 찾아갈 테니까요. 재미있게도(?) 광주·전남에서는 여태 어느 곳에서도 어느 분한테서도 “이오덕 읽기 모임”을 하자는 말을 들은 바 없습니다. 서울에서도 이런 말을 아직 못 들었습니다. 굳이 이오덕을 얘기하는 자리를 열어야 하지는 않고, 꼭꼭 이오덕을 살피는 마당을 펴야 하지는 않아요. 그저 이오덕이라는 씨앗 한 톨이 이 땅에서 우리 곁에서 어떻게 노래빛으로 피어났는지 되새기면서, 우리 마음씨에 우리 말씨를 얹고 우리 글씨를 놓고서 우리 목소리를 밝히면 넉넉하고 아름다울 뿐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엄청나고 신기하게 생긴 풀숲
다시마 세이조 지음, 고향옥 옮김 / 우리교육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4.21.

그림책시렁 1391


《엄청나고 신기하게 생긴 풀숲》

 다시마 세이조

 고향옥 옮김

 우리교육

 2007.5.10.



  지난해인 2023년만 해도 비바람이 지나가면 이틀쯤 하늘빛이 맑았습니다. 올해인 2024년은 비바람이 씽씽 휘몰고 지나가도 이튿날조차 하늘빛이 안 맑습니다. 시골집에서 아이들하고 하늘을 보다가 깜짝 놀라는 나날입니다. “왜 이럴까? 무슨 일일까?” 하고 갸웃하면서 하늘바라기를 하던 어느 날, 문득 하늘소리가 마음으로 스밉니다. “얘야, 보렴. 서울(도시)은 서울대로 길바닥을 까맣게 덮고 잿더미(아파트)가 끝없이 솟느라 흙이 사라졌어. 서울을 비바람으로 씻어도 먼지가 돌아갈 흙이 없으니, 먼지는 다시 하늘로 퍼진단다. 시골은 예전에 흙과 풀밭으로 논둑이고 빈터가 흔했다면, 요새 시골은 논둑에 고샅에 도랑마저 잿빛으로 덮고서 다들 부릉부릉 모는구나. 이제는 시골에서도 먼지가 돌아갈 흙이 확 줄어드니, 너희가 사는 곳은 먼지투성이일밖에 없단다.” 《엄청나고 신기하게 생긴 풀숲》을 물끄러미 넘기다가 생각합니다. 이 그림책을 펴는 어린이는 풀밭이나 풀숲에서 맨발로 뛰어 본 하루가 있으려나요? 풀이름을 다 알아야 하지 않고, 꽃이름을 모두 외워야 하지 않습니다. 풀놀이를 하고 풀노래를 부르면 즐겁습니다. 놀고 노래하는 사이에 스스럼없이 마음으로 스며서 이름을 붙입니다. 통통 튀는 공이 돌아다닐 풀밭이 왜 사라지는지 우리 스스로 돌아봐야지 싶습니다. 어린이는 뭘 해야 할까요?


ㅅㄴㄹ


#田島征三


《엄청나고 신기하게 생긴 풀숲》(다시마 세이조/고향옥 옮김, 우리교육, 2007)


풀숲에 커다란 꽃이 활짝 피어 있어

→ 풀숲에 꽃이 크게 활짝 피었어

24


덩굴들이 나를 붙잡으려고 해

→ 덩굴이 나를 붙잡으려고 해

29


어느새 내 마음은 친구들로 가득 찼어

→ 어느새 마음은 동무로 가득 찼어

36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O 마오 16
다카하시 루미코 지음, 서현아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4.20.

책으로 삶읽기 924


《마오 16》

 타카하시 루미코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3.10.25.



《마오 16》(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3)을 읽는다. 두 아이 ‘마오’하고 ‘나노카’ 사이에 이따금 피어나는 마음은, 둘을 비롯해 둘레에서 피어나는 마음하고 매한가지이다. 둘이 스스로 ‘남 아닌 나’로서 어떤 마음인지 또렷하게 읽고 밝힐 수 있을 때라야, 둘뿐 아니라 모두 앙금을 풀면서 굴레를 벗어나리라 본다. 그러나 둘은 아직 마음을 감추거나 가린다. 또는 마음을 들여다보려 하지 않는다. ‘내 마음’부터 읽지 않는데, ‘남 마음’을 어찌 읽을 수 있을까? 나부터 스스로 마음을 털어놓으려 하지 않는다면, 둘레에서 누가 마음을 털어놓을까? 다만 둘은 아직 머나먼 어느 곳으로 가야 한다. 이 삶도 보고 저 살림도 마주하면서 천천히 자라나려고 한다. 자라려니 아직 마음을 덜 드러낼 만하고, 느긋이 모든 바람을 마실 수 있다.


ㅅㄴㄹ


‘다이고 님은 도망치려던 두 사람을 도우려 했구나. 빈껍데기인데도, 사나 님과 함께 도망치려 한 자신을, 기억하고 있던 게 아닐까?’ (28쪽)


이 돌의 불길이 오오토리 가의 술사에게 힘을 내려준다. 즉 사용하는 자가 마음먹기에 따라, 이것은 구원의 불길도, 지옥의 불길도 될 수 있다. (117쪽)


“저기, 그 사람들 햣카의 진짜 친척인 거지? 이대로 헤어져도 괜찮아?” “뭐? 내가 어떻게 나서라고. 하즈키는 두 번 다시 나 같은 놈과 엮여선 안 돼. 평범하게 살아가고 행복해진다면, 그걸로 족해.” (188쪽)


#たかはしるみこ #高橋留美子 #MAO


+


나에게 다이고는 기분 나쁜 존재였다

→ 나는 다이고가 싫었다

→ 나는 다이고가 못마땅했다

24쪽


무슨 계략을 꾸미고 있지?

→ 무슨 짓을 꾸미지?

→ 뭘 꾸미지?

31쪽


실은 1년쯤 전에 일하던 중에 나는 사나운 개에 쫓기고 있었어

→ 그런데 한 해쯤 앞서 일하다가 사나운 개한테 쫓겼어

66쪽


이 불초한 것들을 태워 죽여버리십시오

→ 이 못난이를 태워 죽여버리십시오

→ 이 멍청이를 태워 죽여버리십시오

74쪽


오오토리 가의 피를 강하게 이어받은 불의 술사

→ 오오토리 집안 피를 짙게 이어받은 불잡이

→ 오오토리 집 피를 굳게 이어받은 불지기

75쪽


신고할 턱이 있나요

→ 알릴 턱이 있나요

→ 말할 턱이 있나요

8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박애주의



 사랑을 헌신적으로 실천하는 박애주의자이다 → 사랑을 온몸으로 펴며 너그럽다

 박애주의적인 면이 부각되었다 → 다솜빛이 도드라진다

 분단을 초월한 박애주의 정신 → 금을 뛰어넘는 사랑


박애주의(博愛主義) : [철학] 인종에 대한 편견이나 국가적 이기심 또는 종교적 차별을 버리고 인류 전체의 복지 증진을 위하여 온 인류가 서로 평등하게 사랑하여야 한다는 주의.≒사해동포주의



  온누리나 온사람을 따스하게 품는 길은 빛납니다. 그리고 ‘곱다·너그럽다’로 나타냅니다. 이러한 마음은 ‘따뜻하다·따사롭다·따스하다’나 ‘다솜·다솜빛·다솜꽃’으로 나타낼 만하고, ‘포근하다·폭신하다·푸근하다·푹신하다·후덥다’로 나타내어도 어울려요. 따뜻하고 너그러우니 ‘도와주다·돕다·-랑·-과·-하고·부축·서로돕다’라 할 만한 빛이요, ‘사람·사람결·사람됨·사람길’이나 ‘사람빛·사람꽃·사람답다’라 할 만합니다. 수수하개 ‘사랑·살내음·살내’라 할 테고, ‘아름답다·아름길·아름꽃·아름빛’이라 할 수 있어요. ‘어깨동무·이바지·이웃사랑·이웃빛·팔짱’이나 ‘착하다·참되다·참답다·참하다’로도 나타낼 만한 살림빛입니다. ㅅㄴㄹ



박애주의 단체의 회원들은 농부들의 죽음이 미국정부 내에 있는 자기 동포들이 지원한 무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을까

→ 이웃사랑 모임 사람들은 미국에 있는 제 겨레가 돈을 댄 총칼에 논밭지기가 죽은 줄 알까

《체 게바라 자서전》(체 게바라/박지민 옮김, 황매, 2004) 22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버드피딩Bird Feeding



버드피딩 : x

Bird Feeding : x

バ-ド·フィ-ジング : x



우리는 먼 옛날부터 새하고 밥을 나누었습니다. 여느 짐승을 돌볼 적에는 ‘먹다’라는 낱말을 살려서 ‘먹이’라 했고, 새한테는 따로 ‘모이’라 했어요. 그래서 새가 누릴 밥인 ‘새밥’을 준다고 할 적에는 ‘먹이주기·모이주기’라 하면 되고, ‘밥주기·새밥주기’라 하면 됩니다. ㅅㄴㄹ



나도 버드피딩(Bird Feeding) 해볼까

→ 나도 새밥주기 해볼까

→ 나도 모이주기 해볼까

→ 나도 먹이주기 해볼까

《1일 1새 방구석 탐조기》(방윤희, 생각정원, 2023) 3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