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공습경보



 공습경보가 발동되었다 → 알림불이 터졌다

 공습경보가 나자 혼비백산하여 → 벼락불이 나자 허둥지둥


공습경보(空襲警報) : 적의 항공기가 공습하여 왔을 때 위험을 알리는 경보. 사이렌, 종, 깃발, 육성 따위의 신속한 통신 수단을 이용한다 ≒ 청색경보



  하늘에서 벼락을 치듯 펑펑 터뜨린다고 알릴 적에는 ‘벼락·벼락치다·벼락불’이나 ‘벼락알림’이라 할 만합니다. ‘불·불나다·불붙다·불지르다’로 나타낼 수 있고, ‘알림불’이라 해도 되어요. ㅍㄹㄴ



수시로 폭격이 일어나고 공습경보가 빈번한 혼란스러운 도시 런던을 점점 더 멀리하게 되었다

→ 걸핏하면 터지고 벼락불이 잦아 어지러운 고장 런던을 더 멀리하였다

→ 노상 펑펑대고 알림불이 잦아 어수선한 고장 런던을 더욱 멀리하였다

《작가의 집》(프란체스카 프레몰리 드룰레·에리카 레너드/이세진 옮김, 윌북, 2009) 161쪽


공습경보처럼 다급하게 훑고 지나간 소나기

→ 벼락불처럼 부랴부랴 훑고 지나간 소나비

→ 벼락알림처럼 가쁘게 훑고 지나간 소나기

《기계라도 따뜻하게》(표성배, 문학의전당, 2013) 2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냉혈 冷穴


 냉혈(冷穴)에 든 시신이라서 → 찬뫼에 든 주검이라서

 냉혈(冷穴)에 모셨는지 → 찬굴에 모셨는지


  ‘냉혈(冷穴)’은 “땅의 찬 습기가 스민 무덤 속”을 가리킨다고 하는데, ‘찬굴’이나 ‘찬뫼·찬무덤’으로 고쳐씁니다. 수수하게 ‘무덤·님뫼·님무덤’이나 ‘뫼·묏등·묏자리’로 고쳐써도 되어요. ㅍㄹㄴ



때론 시퍼렇고 때론 냉혈(冷穴) 속 같은

→ 때론 시퍼렇고 때론 찬굴 같은

→ 때론 시퍼렇고 때론 무덤 같은

《기계라도 따뜻하게》(표성배, 문학의전당, 2013) 2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당당 堂堂


 당당한 말씨 → 떳떳한 말씨 / 씩씩한 말씨 / 의젓한 말씨

 자신의 권리를 당당하게 주장하다 → 제 몫를 떳떳하게 외치다

 기세가 당당하다 → 기운이 세다 / 기운차다

 당당히 걷다 → 안차게 걷다 / 당차게 걷다

 당당히 겨루다 → 어른스레 겨루다 / 듬직히 겨루다


  ‘당당(堂堂)’은 “남 앞에서 내세울 만큼 떳떳한 모습이나 태도”를 가리킨다 하지요. ‘당당하다 = 떳떳하다’라는 뜻풀이라 할 텐데, ‘떳떳하다’를 찾아보면 “굽힐 것이 없이 당당하다”로 풀이합니다. 돌림풀이입니다. ‘가슴펴다·거리낌없다·거침없다·고개를 들다·얼굴들다·어깨펴다·허리펴다’나 ‘괄괄하다·말괄량이·기운차다·힘차다’나 ‘굳다·굳은넋·굳은길·굳세다·씩씩하다’로 고쳐씁니다. ‘세다·거세다·드세다·억세다·부라퀴’나 ‘다부지다·단단하다·딴딴하다·탄탄하다·튼튼하다’로 고쳐쓸 만합니다. ‘당차다·안차다·아름차다·헌걸차다’나 ‘암팡지다·옴팡지다·야멸지다·야멸차다·야무지다·야물다’로 고쳐쓰면 돼요. ‘대견하다·듬직하다·든직하다·속·속힘·속심’이나 ‘대놓고·도지다·뚝심·배짱·뱃심·엄두’나 ‘떳떳하다·망설임없다·반듯하다·번듯하다·버젓하다’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보람있다·보람차다·빛나다·빛있다·빛접다’나 ‘어른·어르신·어른같다·어른답다·어른스럽다’로 고쳐쓰지요. ‘어엿하다·스스럼없다·의젓하다’로 고쳐쓰고요. ‘오달지다·오지다·올차다·올되다’나 ‘자랑·자랑하다·자랑꽃·자랑빛’이나 ‘짙푸르다·푸르다·좋다·찰지다·차지다’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당당’이 두 가지 나오는데, 모두 털어내야겠습니다. ㅍㄹㄴ



당당(??) : 눈을 휘둥그렇게 뜨고 똑바로 보는 모양

당당(??) : 1. 북이나 징 따위를 치는 소리 2. 울림이 크게 나는 소리



당당하게 새순처럼 일어서고 있다

→ 씩씩하게 새싹처럼 일어선다

《참된 시작》(박노해, 창비, 1993) 108쪽


왕궁으로 통하는 큰 길을 당당히 걸어가자 모두들

→ 임금집으로 난 큰길로 거침없이 걸어가자 모두들

→ 너른집으로 이은 큰길로 힘차게 걸어가자 모두들

→ 우람집으로 가는 큰길로 대놓고 걸어가자 모두들

→ 큰집으로 뻗은 큰길로 고개들고 걸어가자 모두들

《진짜 도둑》(윌리엄 스타이그/홍연미 옮김, 베틀북, 2002) 82쪽


눈을 맞으며 바람 속을 당당히 걸어갔어요

→ 눈을 맞으며 바람을 당차게 뚫었어요

→ 눈이랑 바람을 맞으며 씩씩하게 걸어요

→ 눈이랑 바람을 맞으며 다부지게 걸어요

→ 눈을 맞으며 바람을 의젓이 헤쳤어요

→ 눈을 맞으며 바람을 씩씩히 갈랐어요

《다니엘의 특별한 그림 이야기》(바바라 매클린톡/정서하 옮김, 베틀북, 2009) 17쪽


이리 왕 로보의 당당한 죽음 회색 곰 와프의 죽음이 좋아요

→ 이리 임금 로보 의젓한 죽음 잿빛곰 와프 죽음이 멋져요

→ 이리 꼭두 로보 다부진 죽음 잿곰 와프 죽음이 아름다워요

《시튼 동물기》(고은·한병호, 바우솔, 2012) 8쪽


어제까지 보무(步武)도 당당하던 기계가 출근해 보니 흔적 없이 사라졌다

→ 어제까지 자랑스럽던 틀인데 아침에 보니 깨끗하게 사라졌다

→ 어제까지 다부지던 틀인데 아침에 나오니 깔끔하게 사라졌다

《기계라도 따뜻하게》(표성배, 문학의전당, 2013) 48쪽


군악대를 따라 당당하게 행진을 했답니다

→ 불꽃노래꾼을 따라 씩씩하게 갔답니다

→ 불밭노래꾼을 따라 당차게 걸었답니다

→ 싸움노래꾼을 따라 의젓하게 걸었답니다

《카시탄카》(안톤 체호프/우시경 옮김, 살림어린이, 2015) 


당당하게 소방차로 걸어갔어요

→ 씩씩하게 불끔이로 걸어갔어요

→ 의젓하게 불잡이로 걸어갔어요

→ 다부지게 불잡이로 걸어갔어요

《꿀벌이 이사 가요》(정란희·임유정, 크레용하우스, 2015) 26쪽


우리도 당당하게 떳떳하게 살아갈 수 있다고

→ 우리도 떳떳하게 살아갈 수 있다고

→ 우리도 당차거나 떳떳하게 살아갈 수 있다고

→ 우리도 씩씩하거나 떳떳하게 살아갈 수 있다고

《젊은 날의 시인에게》(김명환, 갈무리, 2017) 79쪽


당당한 모습에서 관록도 느껴졌어

→ 당찬 모습에서 굳은살도 느꼈어

→ 힘찬 모습에서 뼈대도 느꼈어

→ 다부진 모습에서 힘줄도 느꼈어

《공전 노이즈의 공주 3》(토우메 케이/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9) 49쪽


당당한 노브라 족이었거든

→ 떳떳이 맨가슴이었거든

《모유 수유가 처음인 너에게》(최아록, 샨티, 2020) 59쪽


스스로에게 부끄럽지 않고 사심을 가지고 사리사욕을 채운 것이 없다면 당당하게 고난을 헤쳐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스스로 부끄럽지 않고 멋대로 밥그릇을 채우지 않았다면 꿋꿋하게 가시밭을 헤쳐 나갈 수 있다고 봅니다

→ 스스로 부끄럽지 않고 함부로 돈에 눈멀지 않았다면 의젓하게 가시밭길을 헤쳐 나갈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움은 아무에게나 생기지 않습니다》(유영하 엮음, 가로세로연구소, 2021) 5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민간인통제구역·민통선



 민간인통제구역인데 → 아무나 못 가는데 / 여느사람은 막아서는데

 민간인통제구역을 방문하였다 → 비움터를 찾아갔다 / 고요터를 다녀갔다


민간인통제구역 : x

민통선 : x

민간인(民間人) : 관리나 군인이 아닌 일반 사람. 흔히 보통 사람을 군인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통제구역(統制區域) : 1. [군사] 군사적인 목적에 따라 출입을 제한하거나 제약하는 구역 2. [교통] 항공 교통을 제한하거나 제약하는 일정한 공간



  영어로는 ‘디엠지(DMZ)’라 이르는 곳이 있습니다. 일본스런 한자말로 ‘민간인통제구역·민통선’이나 ‘비무장지대’라 일컫는데, 앞으로 이곳이 바뀌어야 한다는 마음을 담아서 ‘비움터·빈터·빈판’이나 ‘벌·벌판·텅빈곳’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고요터’나 ‘허허벌·허허벌판·허허들·허허땅·허허판’이라 할 만합니다. 아직은 좀 먼 듯싶어도 이제는 ‘따뜻터·따뜻자리·따뜻땅·따뜻골’이나 ‘아늑터·아늑자리’에 ‘포근터·포근자리·포근땅’으로 바뀌어야지 싶습니다. ㅍㄹㄴ



민간인은 걸어서 통과할 수 없는 민통선을 군인 한 사람 대동하고 들어설 때의 그 감격이란! 나는 보무도 당당하게 들어갔다

→ 여느 사람은 걸어서 지날 수 없는 고요터를 싸움이 한 사람 이끌고 들어서는 기쁨이란! 나는 힘차게 걸어갔다

→ 아무나 걸어서 지날 수 없는 비움터를 싸울아비 한 사람하고 들어서니 벅차다! 나는 씩씩하게 들어갔다

《내 나이가 어때서?》(황안나, 샨티, 2005) 19쪽


한편, 민통선 안의 저수지와 한탄강은 사람과 천적으로부터 새들을 보호해 주는 귀한 잠자리가 된다

→ 그리고, 고요터에 있는 못과 한탄강은 사람과 맞잡이한테서 새를 지켜주는 고마운 잠자리이다

→ 또한, 허허땅에 있는 못과 한탄강은 사람과 목숨앗이한테서 새를 감싸주는 고마운 잠자리이다

《새, 풍경이 되다》(김성현·김진한·최순규, 자연과생태, 2013) 9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정권교체



 정권교체는 아직 요망하다 → 갈아엎기는 아직 멀다

 정권교체에의 희망의 끈을 놓지 않다 → 뒤엎을 실낱꿈을 놓지 않다

 금번에 정권교체를 성공했다 → 이제 나라를 새로세웠다


정권교체 : x

정권(政權) : 정치상의 권력. 또는 정치를 담당하는 권력 ≒ 부가·정병

교체(交替/交遞) : 사람이나 사물을 다른 사람이나 사물로 대신함



  나라가 그대로 가면 안 된다고 여길 적에 ‘정권교체’를 한다고 말합니다. 이 일본말씨는 ‘갈다·갈아들다·갈아서다·갈아대다·갈음·갈이’나 ‘갈아엎다·갈아입다·갈아치우다’로 손볼 만합니다. ‘겉갈이·겉바꾸기·물갈이·판갈이·틀깨기’나 ‘사람갈이·옷갈이·옷바꾸기’로 손볼 수 있어요. ‘고꾸라뜨리다·거꾸러뜨리다·무너뜨리다·허물다’나 ‘고치다·고쳐쓰다·바꾸다·바꿔치기·맞바꾸다’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달리하다·돌리다·손바꾸다·얼굴바꾸기’나 ‘뒤엎다·뒤집어엎다·엎다·엎지르다’로 손볼 수 있고, ‘새사람·잎갈이·자리바꿈·자리옮김’이나 ‘새로서다·새로쓰다·새로하다’로 손보아도 되어요. ㅍㄹㄴ



정권교체의 날이 가까워진다

→ 갈아엎을 날이 가깝다

→ 고꾸라뜨릴 날이 가깝다

→ 허물 날이 가깝다

→ 엎을 날이 가깝다

《동물의사 Dr.스쿠르 1》(사사키 노리코/해외단행본기획팀 옮김, 대원씨아이, 2002) 146쪽


얼굴과 당 이름만 바뀌는 정권교체가 아니라 새로운 세상의 기준과 윤리를 세우고 싶어

→  얼굴과 두레 이름만 바뀌는 물갈이가 아니라 새나라 틀과 참길을 세우고 싶어

→  얼굴과 모임 이름만 바꾸는 겉치레가 아니라 새틀과 참길을 세우고 싶어

《꿈꾸는 소리 하고 자빠졌네》(송경동, 창비, 2022) 16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