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가 필요해 창비청소년문학 77
박성우 지음 / 창비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5.7.17.

노래책시렁 504


《사과가 필요해》

 박성우

 창비

 2017.2.10.



  그림책은 그림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엮되, 아이부터 누구나 삶을 새롭게 바라보고 읽는 길잡이입니다. 노래책(시집)은 노래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여미되, 어린이부터 누구나 살림길을 다시 마주하고 읽는 길동무입니다. 이 얼거리는 그저 마땅하면서 쉬운데, 막상 이 일거리를 잊거나 뒤틀거나 팽개치는 붓잡이가 무척 많습니다. 그림책에 억지로 가르침·생각(교훈·철학)을 욱여넣으려 한다든지, 노래책에 어거지로 굴레·실마리(억압현실·갈등해소)를 집어넣으려 하더군요. 《사과가 필요해》에 ‘청소년시집’이라고 이름이 붙는데, ‘입시지옥 서울 중고등학생’ 입맛에 맞춘 글장난과 같다고 느낍니다. ‘필요’는 일본한자말이기도 합니다만, ‘사과’라는 다른 한자말로 장난을 치는군요. 글쓴이가 장난질을 아예 마음에 안 담았다면 “사과 먹을래”나 “사과 먹고 싶어”쯤으로 책이름을 붙였을 테지요. 이 《사과가 필요해》를 보면, 어느 꼭지조차 ‘푸른철(열넷∼열아홉)’에 무엇을 바라보며 스스로 빛날 길인지 어림조차 못 하는구나 싶어요. 푸른철은 푸름이 스스로 살림에 눈뜨면서 삶을 가꾸는 길로 한 발짝 나아가는 때입니다. 〈티처스〉라는 풀그림에 나오는 아이들을 보면 하나같이 집안일을 안 할 뿐 아니라 아예 모르는데, 오늘날 ‘청소년시집’도 집에서 ‘집일·집살림’부터 손수 익히면서 손빛으로 앞길을 그리는 꼭지를 찾아볼 수 없기 일쑤입니다. 어린이하고 읽는 노래에도 말장난은 삼갈 노릇이요, 푸른노래라면 더더욱 말장난을 끝내야 합니다. 그리고 ‘사랑’ 아닌 ‘살곶이’나 ‘짝짓기’에 얽매거나 밀어넣으면서 “그래, 너희들 마음을 알아.” 하는 매무새도 덧없는 쳇바퀴일 뿐입니다.


ㅍㄹㄴ


카스텔라 교실에서는 초코카스텔레 분단 애들이랑 딸기카스텔레 분단 애들이 초코맛과 딸기맛을 바꿔 즐기며 쉬는 시간을 보내, 으음 좋겠지 (카스텔라 교실/12쪽)


하늘도 파랗고 / 날도 제법 풀렸는데 쉬는 날 / 집에만 있자니 몸이 찌뿌둥해져 왔다 / 그래, 강변에서 자전거나 타자 (밀착 자전거/16쪽)


아빠가 화난 목소리로 말할 때 좀 짜증을 내면 / ―어쭈, 너 앞으로 용돈이고 뭐고 없을 줄 알아! (어쩌라고요 2/19쪽)


시험을 망치고 나니 어질어질 머리가 띵해 (머리가 띵해/28쪽)


내 성기가 어떻게 / 생겼는지도 모른다는 게 / 더 이상하지 않아? (봤니? 나는 봤어/51쪽)


+


《사과가 필요해》(박성우, 창비, 2017)


나랑 같이 셔플 댄스 안 출래?

→ 나랑 같이 발바닥춤 안 할래?

→ 나랑 같이 발끌이춤 안 할래?

11쪽


속이 없는 게 아니야. 속을 비워 두는 거야!

→ 속이 없지 않아. 속을 비워!

→ 속이 있어. 속을 비워 둬!

13쪽


스프링처럼 튕겨져 나가겠지

→ 튕겨나가겠지

→ 튕기겠지

14쪽


하늘 위로 날아오를 거야

→ 하늘로 날아올라

→ 하늘로 날아오를래

15쪽


원래 내가 발표하려고 했던 말들이 줄줄이 생각나

→ 내가 하려던 말이 줄줄이 생각나

→ 내가 하고픈 말이 줄줄이 생각나

23쪽


너를 좋아하게 된 뒤로

→ 너를 좋아하면서

→ 너를 좋아한 날부터

32쪽


내 성기가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른다는 게 더 이상하지 않아?

→ 내 샅이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른다면 더 뜬금없지 않아?

→ 내 밑이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른다면 더 어이없지 않아?

51쪽


불똥이 괜한 나한테로 튀었어

→ 불똥이 엉뚱히 나한테 튀었어

55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영어] 셔플댄스shuffle dance



셔플댄스 : x

shuffle dance : x

シャッフルダンス : 셔플 댄스

shuffle : 1. 발을 (질질) 끌며 걷다 2. (어색하거나 당황해서 발을) 이리저리 움직이다 3. 발을 끌며 느릿느릿 걷기 4. (게임 전에 카드를) 섞기



우리 낱말책뿐 아니라 영어 낱말책에도 없는 ‘셔플댄스’입니다. 발을 바닥에 대고서 가볍게 끌듯 짓는 춤사위라면 ‘발끌이춤’이라 할 만합니다. 수수하게 ‘발바닥춤’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나랑 같이 셔플 댄스 안 출래?

→ 나랑 같이 발바닥춤 안 할래?

→ 나랑 같이 발끌이춤 안 할래?

《사과가 필요해》(박성우, 창비, 2017) 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시혜적


 시혜적 지원은 지양하는 바이다 → 내려보내지 않으려 한다

 시혜적인 접근이 아니다 → 베풀려고 하지 않는다

 구시대적이고 시혜적인 관점이다 → 낡았고 해준다는 눈길이다


  ‘시혜적’은 낱말책에 없습니다. ‘시혜(施惠)’는 “은혜를 베풂. 또는 그 은혜”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베풀다’나 ‘내리다·내려보내다·주다·내주다·사주다’나 ‘드리다·하다·해주다’로 고쳐씁니다. ‘사랑·손길·빛·볕·볕살’이나 ‘돕다·도와주다’나 ‘빚·빚지다’로 고쳐써도 되어요. ㅍㄹㄴ



완전 시혜적인 태도잖아요

→ 아주 베푸는 눈이잖아요

→ 그저 내주겠다잖아요

《지하철에서 옆자리에 흑인이 앉았다》(예롱, 뿌리와이파리, 2019) 23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스프링spring



스프링(spring) : = 용수철

용수철(龍鬚鐵) : 늘고 주는 탄력이 있는 나선형으로 된 쇠줄 ≒ 스프링·출렁쇠

spring : 1. 용수철 2. 봄, 스프링 3. 탄력, 탄성 4. 샘 5. 생기, 활기 6. 휙 뛰어 오름

スプリング(spring) : 1. 스프링 2. 용수철 (= ばね) 3. 춘화(春畵) (=春本)



낱말책을 보면 ‘스프링’은 한자말 ‘용수철’로 고쳐쓰라고 나옵니다. 우리말로 ‘출렁쇠’가 있다고 해요. 비슷한 얼개로 ‘출렁이’를 쓸 만하고, 어떤 몸짓을 나타내는 자리라면 ‘출렁이다·튀다·튀어오르다·튕기다’를 쓸 만합니다. ‘꽈배기쇠·띵띵이·띵띵쇠·뿅뿅이·뿅뿅쇠’나 ‘멋대로·제멋대로’라 해도 어울립니다. “스프링처럼 튀어올라” 같은 말씨라면 ‘통통·불쑥·불현듯·문득·갑자기’로 손볼 수 있어요. ㅍㄹㄴ



스프링처럼 튕겨져 나가겠지

→ 튕겨나가겠지

→ 튕기겠지

《사과가 필요해》(박성우, 창비, 2017) 14쪽


참아온 질문이 스프링처럼 제멋대로 튀어올라 이따금 나를 놀라게 했다

→ 참아온 물음이 통통 제멋대로 튀어올라 이따금 나도 모르게 놀랐다

→ 참아온 물음이 불쑥 제멋대로 튀어나와 이따금 놀랐다

→ 참아온 말이 불현듯 제멋대로 튀어나와 이따금 놀랐다

→ 참아온 말이 갑자기 제멋대로 튀어나와 이따금 놀랐다

→ 참아온 얘기가 문득 제멋대로 튀어나와 이따금 놀랐다

→ 참아온 얘기가 제멋대로 튀어나와 이따금 놀랐다

《오늘, 책방을 닫았습니다》(송은정, 효형출판, 2018) 12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기계라도 따뜻하게 - 표성배 시집 문학의전당 시인선 153
표성배 지음 / 문학의전당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5.7.16.

노래책시렁 503


《기계라도 따뜻하게》

 표성배

 문학의전당

 2013.5.6.



  보려고 하는 마음이라면, 눈을 감든 뜨든 온빛을 맞아들입니다. 들으려고 하는 마음이라면, 귀를 닫든 열든 온숨을 받아들입니다. 보려는 마음이 없기에 못 보고, 들으려는 마음이 없으니 못 들어요. 비가 내리면서 사람한테 들려주려는 얘기가 있으나 빗방울을 안 보면서 빗소리를 안 듣는 분이 수두룩합니다. 종이도 신발도 옷가지도 사람한테 들려주려는 말이 있지만 “사람도 아닌데 무슨 말을 해?” 하면서 코웃음치는 분이 숱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사람끼리도 말을 안 섞거나 등지기 일쑤입니다. 찬찬히 마주하고 차분히 바라보면서 마음을 나누기보다는 “우리 쪽이냐 아니냐?” 하고 따지기부터 합니다. 《기계라도 따뜻하게》는 땀지기(노동자)로 일하는 동안 늘 마주하는 여러 틀(기계)하고 말을 섞고 마음을 나누기도 하는 하루란 무엇일까 하고 돌아보는 줄거리입니다. 날마다 닦고 기름을 먹이고 토닥일 적에는 오래오래 가는 틀입니다. 마구 다루거나 안 닦거나 팽개칠 적에는 얼마 안 가서 망가지는 틀입니다. 온누리 모든 세간에도 숨이 깃듭니다. 책과 붓 한 자락에도 숨결이 흐릅니다. 돌멩이한테도 모래알한테도 숨빛이 있어요. 숨소리를 들을 때에 비로소 노래합니다. 숨소리를 안 듣는 채 끼적거린다면 흉내에 거짓글입니다.


ㅍㄹㄴ


누구라도 좋으니 / 내 말 좀 들어주었으면 하던 때가 있었다 / 차갑게 침묵하는 기계만이 / 유일한 친구였던 때가 있었다 (기계라도 따뜻하게/22쪽)


아늑하기도 하지만 / 정작 꽃 한 송이 피우지 못하지만 / 그래도 기계는 숲이다 (기계의 숲/28쪽)


졸릴 때는 졸아야 한다 / (그게 주어진 졸림에 대한 예의다) / 사실 사십이 지나도록 / 예의에 대해 모르고 살았다 / 망치에 대한 예의 / 프레스에 대한 예의 / 그라인더에 대한 돌에 대한 나무에 대한 / 물에 대한 바위에 대한 흙에 대한 (졸릴 때는 졸아야 한다/80쪽)


지금 한창 용접하고 있는 / 정식이 자리는 만수 자리였다 / 성호 자리였다 / 이름이 잘 기억나지 않는 / 정씨 자리였다 / 박씨 자리였다 (자리/88쪽)


아침 일 시작 전 이리저리 기계를 살피다 툭 어깨를 쳐주자 기계도 따라 내 어깨를 툭 치고는 싱긋 웃는다 (사이에/102쪽)


+


《기계라도 따뜻하게》(표성배, 문학의전당, 2013)


때론 시퍼렇고 때론 냉혈(冷穴) 속 같은

→ 때론 시퍼렇고 때론 찬굴 같은

→ 때론 시퍼렇고 때론 무덤 같은

23쪽


공습경보처럼 다급하게 훑고 지나간 소나기

→ 벼락불처럼 부랴부랴 훑고 지나간 소나비

→ 벼락알림처럼 가쁘게 훑고 지나간 소나기

25쪽


배식구를 향해 나아가는

→ 밥길로 나아가는

→ 밥줄로 나아가는

33쪽


그럴 때마다 장인정신(匠人精神)을 떠올려 본다

→ 그럴 때마다 일빛을 떠올려 본다

→ 그럴 때마다 일넋을 떠올려 본다

34쪽


어제까지 보무(步武)도 당당하던 기계가 출근해 보니 흔적 없이 사라졌다

→ 어제까지 자랑스럽던 틀인데 아침에 보니 깨끗하게 사라졌다

→ 어제까지 다부지던 틀인데 아침에 나오니 깔끔하게 사라졌다

48쪽


졸릴 때는 졸아야 한다. 그게 주어진 졸림에 대한 예의다

→ 졸릴 때는 졸아야 한다. 졸림을 모실 노릇이다

→ 졸릴 때는 졸아야 한다. 졸리면 따를 일이다

→ 졸릴 때는 졸아야 한다. 졸리면 자야 맞다

80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