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6.24.


《생강밭에서 놀다가 해가 진다》

 서와 글, 상추쌈, 2020.11.25.



가랑비를 맞으면서 옆마을로 걷는다. 오늘로 넉걸음째 ‘영남초등학교 어린이와 노래쓰기(시창작수업)’를 잇는다. 시골이 왜 시골인지 모를 뿐 아니라, 앞으로도 시골사람으로서 살아갈 꿈이 없어 보이는 뭇아이를 헤아리다가 ‘잠(자다)’이라는 낱말을 바탕으로 우리가 스스로 마음에 담을 생각씨앗인 ‘꿈’이란 무엇인지 풀어내어 들려준다. 남이 해줄 수 없는 일을, 내가 손수 하면 넉넉한 놀이를, 사람을 비롯한 뭇숨결이 나란히 있기에 ‘우리’인 줄 알아보는 눈길을 틔우기를 바란다. 낮에 읍내에서 동강면 이웃님을 만나서 한참 이야기했다. ‘최악’을 막아야 하기에 ‘차선’을 뽑아야 한다고 말씀하시기에, 우리가 ‘차선’을 뽑을 적에는 오히려 ‘차악’을 뽑는 셈이라서, 이 ‘차악’이 이윽고 ‘최악’으로 곤두박을 친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여태 이 나라는 ‘최악·차악’인 우두머리가 갈마들었을 뿐이다. 우리는 늘 꽃(최선)을 바라보면서 꽃님을 일꾼으로 두어야 한다. 꽃이 아닌 놈이라면 어느 누구라도 손사래를 칠 줄 알아야 비로소 바꿀 수 있다.


《생강밭에서 놀다가 해가 진다》를 돌아본다. 글멋을 덜어낸다면 아름다웠으리라 보는데, 글님 스스로 앞으로 손발로 이 땅을 마주하는 나날이 깊어가면 저절로 ‘글살림’으로 바뀌리라 본다. 참말로 온나라 붓잡이는 글멋·붓멋·그림멋에 사로잡힌다. 멋을 부리려고 하면 꿈하고 먼, ‘멍’하니 구경하는 길로 빠지면서 ‘멍청’하게 구르기 쉽다. 멋이 아닌 ‘맛’을 찾겠다는 붓잡이도 수두룩한데, 맛을 붙잡으려고 하니 ‘망가진’다.


말은 물과 같아서 모름지기 맑다. 말을 말 그대로 담아내려는 마음이라면, 이 말은 물빛 그대로 맑을 뿐 아니라 밝게 빛날 수 있다. 글멋이나 글맛이 아닌, 글빛과 글씨를 헤아리려고 할 적에 비로소 글살림이다. 생강밭에서 놀다가 해가 지는 줄 느낀다면, 이제는 생강밭에서 노래하며 해를 바라보는 하루로 갈마들 만하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약자 弱者


 약자 편에 서다 → 어린이 쪽에 서다

 강자가 약자를 괴롭히다 → 센놈이 여린이를 괴롭히다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하다 → 세면 여리고, 여리면 세다


  ‘약자(弱者)’는 “힘이나 세력이 약한 사람이나 생물. 또는 그런 집단”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여리다·여린이·여린꽃·여린씨·여린나라·여린누리’나 ‘가냘프다·고삭부리·골골·비실비실·빌빌’로 손질합니다. ‘꼬마·꼬마둥이·꼬맹이·꼬마나라·꼬마누리’나 ‘낮은길·낮은걸음·낮은자리·낮은벼슬’로 손질하고요. ‘어린이·작다·작은자리’로 손질할 만하지요. ‘작은이·작은님·작은사람·작은별·작은빛·작은숲’이나 ‘작은나무·작은겨레·작은나라·작은누리·작은벼슬’로 손질해도 어울려요. ‘다치다·다친이·몸앓이·아프다’나 ‘병아리·햇병아리’로 손질해도 되고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역자’를 둘 더 싣는데 다 털어냅니다. 줄인 낱말은 ‘준말·줄인말’이라 하면 됩니다. ㅍㄹㄴ



약자(弱子) : 1. 나이가 적은 아이 2. 몸이 허약한 어린이

약자(略字) : 1. 복잡한 글자의 점이나 획 따위의 일부를 생략하여 간략하게 한 글자 ≒ 반자 2. 여러 글자로 된 말의 일부를 생략하여 만든 글자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폭력

→ 어린이와 작은이한테 막짓

→ 여린님과 작은님한테 주먹

《아시아의 낯선 희망들》(이유경, 인물과사상사, 2007) 173쪽


인권 사각지대에 있는 약자들을 취재할 때

→ 구석에 몰린 힘없는 이를 만날 때

→ 구석자리에 몰린 여린이를 만날 때

→ 길꽃이 없는 곳에서 낮은이를 만날 때

→ 빛살 빈틈에 있는 작은이를 만날 때

《정은진의 희망분투기》(정은진, 홍시, 2010) 12쪽


약자를 배려한다, 스포츠 정신이다, 말들은 많아도 그냥 메달에 굶주린 사람들 같아

→ 꼬마를 헤아린다, 겨룸넋이다, 말은 많아도 그냥 목걸이에 굶주린 사람들 같아

→ 작은이를 살핀다, 놀이넋이다, 말은 많아도 그냥 자랑꽃에 굶주린 사람들 같아

《여고생 미지의 빨간약》(김병섭·박창현, 양철북, 2015) 193쪽


사회·경제적 약자들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 낮고 가난한 사람이 늘어나지 않고

→ 여리고 가난한 사람이 늘어나지 않고

《성노동자, 권리를 외치다》(연희·밀사·지승호, 철수와영희, 2015) 25쪽


특히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짓누른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로

→ 더욱이 여린이를 짓누른다는 대목을 보여주는 오랜 보기로

→ 더구나 힘없는 사람을 짓누른다는 대목을 보여주는 오랜 보기로

《언어는 인권이다》(이건범, 피어나, 2017) 32쪽


강자와 약자의 길이 알지 못하는 새 길이다

→ 센길과 여린길이 알지 못하는 새길이다

→ 웃길과 낮은길이 알지 못하는 새길이다

《동무론》(김영민, 최측의농간, 2018) 160쪽


세상의 거의 모든 변화는 소수자나 약자들이 기존의 주류 질서와 가치에 의문을 던지고 이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데서 시작되었습니다

→ 온누리는 작고 여린 사람들이 낡은 틀과 굴레에 고개를 갸우뚱하고 움직이면서 바꾸어 왔습니다

→ 이 땅은 낮고 힘없는 이들이 고리타분한 틀과 굴레를 따지고 일어서면서 고쳐 왔습니다

《크다! 작다!》(장성익, 분홍고래, 2018) 108쪽


약자의 편에서 살아가는 사람의 입장을 뒷받침하는 윤리적 근거가 있다

→ 여린이 쪽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뜻을 뒷받침하는 바른넋이 있다

→ 작은곳에서 살아가는 사람을 뒷받침하는 참눈이 있다

→ 낮게 살아가는 사람을 뒷받침하는 아름길이 있다 

《생명을 만들어도 괜찮을까》(시마조노 스스무/조혜선 옮김, 갈마바람, 2018) 67쪽


언론에서 올바름은 ‘목소리 없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것’ 또는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것’이에요

→ 올바른 붓은 ‘목소리 없는 사람들한테 목소리가 되기’ 또는 ‘여린이 목소리가 되기’예요

→ 붓은 ‘목소리 없는 사람들 곁에 있기’ 또는 ‘여린이 목소리를 내기’여야 올발라요

《선생님 미디어가 뭐예요?》(손석춘, 철수와영희, 2019) 45쪽


약자는 방출의 대상이고, 강자는 희생으로서 물러남을 선택한다

→ 여리면 쫓겨나고, 세면 기꺼이 물러난다

→ 힘없으면 내쫓기고, 힘세면 스스로 물러난다

《취미로 직업을 삼다》(김욱, 책읽는고양이, 2019) 88쪽


사회적으로나 신체적으로나 상대적 약자인 여성으로서, 인종보다 중요한 건 안전이야

→ 삶터로나 몸으로나 여린 순이로서, 사람씨보다 아늑하느냐가 큰일이야

→ 마을에서나 몸으로나 작은 쪽인 순이로서, 갈래보다 든든하냐가 큰일이야

《지하철에서 옆자리에 흑인이 앉았다》(예롱, 뿌리와이파리, 2019) 84쪽


이 일을 하면서 No키즈존이 약자 혐오라고 확신하게 되었고

→ 이 일을 하면서 ‘아이 싫어’가 여린이를 밟는다고 여겼고

→ 이 일을 하면서 ‘아이 막음’이 작은이를 찧는다고 느꼈고

《급식 드라이빙》(조교, 인디펍, 2021) 158쪽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도시’라고 해서 약자들의 눈높이에서 최대한 장애물이 없는 도시입니다

→ ‘빗장열기 마을’이라고 해서 작은이 눈높이로 걸림돌을 치운 곳입니다

→ ‘길턱없는 마을’이라고 해서 어린이 눈높이로 막음돌을 걷어낸 곳입니다

《어린이의 눈으로 안전을 묻다》(배성호와 다섯 사람, 철수와영희, 2023) 112쪽


교통 약자들의 편의를 위해 노력해 달라는 원론적인 말을 하는 데 그쳤다

→ 뚜벅이를 헤아려 주십사 하는 말을 하다가 그친다

→ 걸음꽃을 살펴 주십사 하는 말만 하고서 그친다

《너무나 정치적인 시골살이》(양미, 동녘, 2024) 8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네가 있어서 보통날의 그림책 8
한여름과 한겨울 지음, 권남희 옮김 / 책읽는곰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7.16.

그림책시렁 1602


《네가 있어서》

 한여름과 한겨울

 권남희 옮김

 책읽는곰

 2025.7.4.



  깨어나려면 틀을 깨야 합니다. ‘불길(분노)’을 일으키는 마음이라면 못 깨어나는데, ‘여기만 불길(선택적 분노)’인 마음이라면 다같이 안 깨어나기를 바라는 굴레라고 할 만합니다. 깨어나려면 ‘불길’이 아닌 ‘풀길(푸른길)’일 노릇입니다. 온누리를 푸르게 살리는 숨빛인 ‘풀’을 품는 길인 풀길일 때라야 비로소 굴레를 깨트려 잠을 깨웁니다.


  《네가 있어서》는 얼핏 “내 곁에 있는 너”를 그리고 아끼는 줄거리인 듯하지만, 오히려 ‘너·나·우리’라고 하는 숨빛을 하나도 안 헤아린 얼개라고 느낍니다. 31쪽에 나오는 “이 세상에는 스스로 원해서 태어난 생명은 하나도 없어. 어떤 생명도 자기 의지로 이 세상에 태어난 건 아냐” 같은 대목은 도무지 말이 안 됩니다. 터무니없어요. 온누리 모든 숨빛은 스스로 바라기에 이 별에서 태어납니다. 사람도 벌레도 새도 짐승도 푸나무도 헤엄이도 고래도, 저마다 스스로 꿈을 그리면서 ‘첫걸음(아기)’을 떼는 몸을 입어요. 어설프게 ‘토닥임(위로·위안·치유·환대·힐링)’이라는 허울을 내걸지 않기를 바랍니다. 더구나 어린이한테까지 ‘짝짓기(연애)’를 밀어붙이지 않기를 빕니다.


  어린이는 신나게 땀흘려 뛰놀기에 스스로 모든 앙금을 풀고 맺을 줄 압니다. 어린이는 어른 곁에서 소꿉살림을 짓고 익히면서 스스로 일어서는 새길을 엽니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어른답게 일하고 살림하면서 사랑을 속삭이면 넉넉합니다. 글책도 그림책도 ‘뜬구름’이 아니라, 발바닥을 땅바닥에 대는 ‘삶자리’로 돌아와야 하지 않을까요?


ㅍㄹㄴ


《네가 있어서》(한여름과 한겨울/권남희 옮김, 책읽는곰, 2025)


별안간 네가 나를 안아 주었을 때, 온 우주의 별빛이 내게로 쏟아졌어

→ 네가 문득 나를 안을 때, 온누리 별빛이 나한테 쏟아져

→ 네가 불현듯 나를 안으니, 온누리 별빛이 나한테 쏟아져

11


이 세상에 살아 있다는 것이 너무나 기뻤어

→ 이렇게 살아가기에 무척 기뻐

→ 이곳에 있기만 해도 그저 기뻐

→ 이 땅에서 사니 더없이 기뻐

11


그렇게 살아가는 것에 관해 눈을 감고 생각해 봤어. 그건 정말 정말 지루한 나날이었어

→ 이렇게 살아가는 길을 눈을 감고 그려 봤어. 이러면 참말 참말 따분한 나날이야

→ 이런 삶을 눈을 감고 헤아려 봤어. 이런 삶은 참말 참말 심심해

12


네가 괜찮아질 수 있도록

→ 네가 나아갈 수 있도록

→ 네가 달가울 수 있도록

→ 네가 거뜬할 수 있도록

16


이 세상에는 스스로 원해서 태어난 생명은 하나도 없어. 어떤 생명도 자기 의지로 이 세상에 태어난 건 아냐

→ 스스로 바라서 태어난 목숨은 하나도 없어. 제맘대로 태어나지 않아

→ 누구도 스스로 바라서 태어나지 않아. 스스로 뜻해서 태어나지 않아

30


모두 저마다의 세계에서, 저마다의 속도로 서로 스쳐 가고 있는 거야

→ 모두 저마다 다른 곳에서 저마다 다른 걸음으로 서로 스쳐가

→ 우리는 저마다 다른 곳에서 저마다 다르게 걸으며 서로 스쳐가

63


세계가 겹친 순간, 서로의 세계를 껴안는 그 순간이 정말 멋진 거야

→ 두 곳을 겹치면, 서로서로 껴안는 이때가 참으로 멋져

→ 두 빛을 겹치면, 서로 다른 빛을 껴안는 때가 참말 멋져

63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29 : 건 좋 노인 건


나이가 드는 건 좋은데 노인이 되는 건 두렵다

→ 나이가 들면 기쁜데 늙으면 두렵다

→ 나이가 드니 즐거운데 늙자니 두렵다

《어떤 어른》(김소영, 사계절, 2024) 307쪽


나이만 먹기에 늙는다고 합니다. 나이를 먹기에 어른이라고 합니다. 나이란 ‘나 + 이’인 얼개인데, ‘나’는 ‘나다·낳다’를 바탕으로 ‘날다·나무·남다’처럼 여러 낱말로 퍼집니다. 해가 갈수록 나를 가만히 들여다보면서 너를 마주하는 눈빛을 밝히기에 어질고 슬기롭습니다. 해는 가지만 나를 안 들여다보고 너를 안 마주하기에 갇히고 막혀서 고이다가 곪아요. 고인물과 고름이 바로 늙음이면서 죽음입니다. 철든 어른이건 철없는 늙은네이건 누구나 스스로 고릅니다. 이쪽이 좋거나 저쪽이 나쁘다고 여기면서 두려워하기에 스스로 늙어요. 어른스럽게 어진 눈망울로 나아가자면 해마다 새로 찾아드는 철을 기쁘게 맞이하면서 숨결을 헤아릴 노릇입니다. ㅍㄹㄴ


노인(老人) :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 ≒ 구로·기수·노창·백수·숙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30 : 지금 평등 토크


지금 가는 ‘평등 토크’는

→ 오늘 가는 ‘나란수다’는

→ 이제 가는 ‘나너마당’은

→ 오늘 가는 ‘다솜놀이’는

→ 이제 가는 ‘들꽃얘기’는

《어떤 어른》(김소영, 사계절, 2024) 206쪽


나란하게 서는 길이란, 나너가 어울리는 들꽃자리라고 할 만합니다. 키가 다르건 나이가 다르건 돈·이름·힘이 다르건 나란히 앉아서 이야기꽃을 피울 적에 비로소 사랑스럽고 따사롭고 다솜이라 할 만합니다. 오늘부터 바꿀 수 있어요. 이제부터 가꿀 수 있습니다. 작은씨앗 한 톨로 숲을 일구듯, 작은말 한 마디를 가만히 일으킵니다. ㅍㄹㄴ


지금(只今) : 말하는 바로 이때

평등(平等) : 권리, 의무, 자격 등이 차별 없이 고르고 한결같음

talk : 1. 말하다, 이야기하다, 수다를 떨다 2. (보통 심각하거나 중요한 문제에 대해) 대화[논의/상의]하다 3. (어떤 언어로) 말을 하다 4. (양식 있는 말허튼소리 등을) 하다[지껄이다] 5. ∼라고 이야기하다(금액일의 심각성 등을 강조하는 뜻으로 씀) 6. (남의 사생활에 대해) 이러쿵저러쿵하다, 험담을 하다 7. (특히 마지못해서 정보를 알려주는) 말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