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9.15.


《어떤 동사의 멸종》

 한승태 글, 시대의창, 2024.6.17.



옆마을로 걸어간다. 한가위를 앞두고 시골에 쇳덩이도 사람도 늘어난다. 읍내로 가는 시골버스는 텅 비지만, 가게는 그야말로 미어터진다. 시끌벅적한 소리도 사람도 쇳덩이하고도 등지면서 ‘우리말로 노래밭’ 열넉걸음을 편다. 한가위란 무엇일까. 삶과 사람은 무엇일까. 왜 설과 한가위에만 시골집으로 돌아오는가. 왜 여느때에는 서울에서 바글바글 쳇바퀴로 살아야 하는가. 왜 한가위랑 설에는 시골도 시끄러워야 할까. 《어떤 동사의 멸종》을 읽으면서 한참 갸웃했다. “일한 나날과 자취”를 담은 글은 뜻있되, “글로 쓰려고 굳이 일한 티”가 물씬 난다. 삶을 밝히려고 일하지 않고, 살림을 지으려고 일하지 않고, 사랑을 배우고 펴려고 일하지 않는다면, 어느 곳에서 어떤 일을 하든 늘 괴롭고 힘겹고 고단하면서 지치게 마련이다. ‘힘듦’으로 따지면 안 힘든 일이 없다. 왜 그럴까? 모든 일에는 “힘을 들여”야 하기에 ‘힘들’ 수밖에 없다. 그런데 힘을 들여야 한대서 ‘힘듦’만 쳐다본다면, ‘일’이 왜 ‘일’인지 못 본다. ‘일·일다·일으키다·일어서다’는 같은 낱말이다. ‘잇다·있다·이·임(님)·이곳·이제’도 밑동이 같다. 먼저 삶·살림·사랑을 품고 나누려는 뜻으로 즐겁게 일하고서, 글은 한참 뒤에 쓰시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에게 닿기를 번외편 ∼운명의 사람∼ 1 (일반판)
시이나 카루호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1.21.

만화책시렁 697


《너에게 닿기를 번외편 운명의 사람 1》

 시이나 카루호

 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20.1.15.



  《너에게 닿기를》을 다섯걸음까지 보다가 내려놓았습니다. 마음과 마음을 잇는 사이를 따뜻하게 담아내는구나 하고 느끼다가도 밀당에 너무 치우친다고 느꼈어요.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사이라면 끝없이 밀당이 있게 마련입니다. 밀면서 나한테 다가오기를 바라고, 당기면서 살짝 틈을 두면서 다른 데로는 눈을 못 두면서 오직 이쪽만 쳐다보라고 꾀하는 얼거리입니다. 그런데 ‘좋다’고 여기는 마음을 ‘사랑’으로 잇지 않고서 밀당만 한다면 서로 지쳐요. 붓끝을 사랑으로 펴지 않고서 자꾸자꾸 밀당으로 끌어간다면 줄거리는 얼마든지 늘릴 테지만, 이밖에 아무것이 없습니다. 《너에게 닿기를 번외편 운명의 사람 1》을 보는데, 덤(번외편)도 똑같이 밀당입니다. 덤만큼은 다르게 풀 수 있지 않을까 싶지만, 이 그림꽃을 서른걸음이나 밀당으로 엮었으니, 덤마저 밀당에 그칠 만하겠지요. 밀기에 당기는 이 얼거리란, 치면서 받는 굴레입니다. 치고받는 굴레란, 싸우고 다투면서 응어리를 맺다가 살살 녹이면서 아무는 쳇바퀴입니다. 사랑이라면, 가르거나 나누지 않기에, 품고 달래면서 녹이고 피어나는 길입니다. 반할 수 있고 설렐 수 있는데, “그래서 그다음은?”을 들려줄 때라야 비로소 앞으로 나아갑니다.


ㅅㄴㄹ


“저기, 내가 선택해서 간 거야! 누가 뭐랬든 결국 그러기로 선택한 건 나니까! 책임은 나한테 있어!” (25쪽)


“와주면 좋겠다고 생각은 했지. 그래서 가급적 거절하기 힘들게 연락한 거고.” (70쪽)


“용건이 없어도 별일 아닌 일로 연락할 수 있으면 좋겠다 싶어서.” (129쪽)


#しいなかるほ #椎名軽穂

#君に届け #番外編運命の人


+


《너에게 닿기를 번외편 운명의 사람 1》(시이나 카루호/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20)


내가 선택해서 간 거야

→ 내가 가고 싶어 갔어

→ 내가 가려고 했어

25쪽


용건이 없어도 별일 아닌 일로 연락할 수 있으면 좋겠다 싶어서

→ 볼일이 없어도 그냥 물어볼 수 있으면

12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이리 3 - S코믹스 S코믹스
이와아키 히토시 원작, 무로이 다이스케 그림, 김봄 옮김 / ㈜소미미디어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1.21.

책으로 삶읽기 967


《레이리 3》

 이와아키 히토시 글

 무로이 다이스케 그림

 김봄 옮김

 소미미디어

 2019.8.1.



《레이리 3》(이와아키 히토시·무로이 다이스케/김봄 옮김, 소미미디어, 2019)을 읽었다. 일본에서는 이미 2019년에 여섯걸음으로 매듭을 지은 줄 아는데, 석걸음째 내놓고서 넷∼여섯걸음은 감감하다. 설마 이대로 더 안 내려나? 그래도 석걸음까지 한글판으로 만났으니 고맙게 여겨야 할까? 무로이 다이스케 씨가 선보인 그림꽃은 한글판이 나올 날이 있을까? 이도 저도 다 알 길이 없다. 다만, 《레이리 3》을 돌아본다면, 이제 줄거리가 무르익으려고 한다. 칼을 쥔 여러 사람이 저마다 바보스레 칼질을 해대면서 ‘나라를 움켜쥔다’느니 ‘싸움솜씨가 있다’느니 떠벌이는, 이러면서 사람들을 칼로 윽박지르고 스스로 숨결을 갉아먹는 지난날을 보여준다. 지난날에는 칼부림이라면, 오늘날에는 총부림에 돈부림이다. 그리고 ‘글부림’하고 ‘감투부림’이 새삼스레 있고, ‘끈부림(학력차별)’도 새삼스럽다. 부려먹으려는 허튼짓이 아닌, 부드럽게 어울리는 붓끝은 어디 있는가. 보드랍게 보살피려는 봄눈은 어디 있을까.


ㅅㄴㄹ


‘난 곧 죽어! 죽은 뒤의 일 따위 알 바 아냐!’ (49쪽)


“소리만 듣고 있으니, 꼭 전쟁터구나.” (76쪽)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가령, 온 세상의 비웃음을 받으며 많은 영지를 빼앗기더라도, 지금 당장 목이 잘리는 것보단 낫지요.” (183쪽)


#岩明均 #レイリ #室井大資


+


이런 천한 잡놈들, 좀도둑놈들에게 겁먹어서야

→ 이런 못난놈들, 좀도둑을 두려워해서야

84쪽


우리는 실력이 출중해서 말이지, 돈으로 고용됐을 뿐이다

→ 우리는 재주가 빼어나서 말이지, 돈으로 뽑혔을 뿐이다

→ 우리는 솜씨가 뛰어나서 말이지, 돈으로 부렸을 뿐이다

12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얀거탑 1 - 만화
안도 지로 지음, 야마사키 토요코 원작 / 대원씨아이(만화)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1.21.

책으로 삶읽기 966


《하얀 거탑 1》

 야마사키 토요코 글

 안도 지로 그림

 허윤 옮김

 대원씨아이

 2024.3.31.



《하얀 거탑 1》(야마사키 토요코·안도 지로/허윤 옮김, 대원씨아이, 2024)를 읽었다. 꽤 오랜 일본 이야기인데, 오늘이라고 썩 달라 보이지 않는다. 우리도 매한가지이다. 아프거나 앓는 이를 돌본다는 일이라고 앞세우지만, 정작 적잖은 돌봄이(의사)는 돈으로 움직이면서 이름을 드날리고 싶어한다고 느낀다. 곰곰이 보면 그들뿐 아니라, 숱한 벼슬과 감투는 돈·이름·힘 세 가지로 굴러간다. 서로 한통속에 끼리끼리 춤춘다. 시골 돌봄터에야말로 돌봄이가 스스로 나서서 가야 할 테지만, 하나같이 서울에 남는 민낯을 들여다볼 노릇이다. 하기는, 시골지기(군수)도 시골마을에서 안 산다. 한때 살짝 머물며 돈·이름·힘을 긁어모으고서는 슬그머니 서울이며 큰고장으로 달아난다.


ㅅㄴㄹ


“아즈마 선생님이 교수회의 표를 잘 조종하셔야죠. 선거를 통해, 자이젠을 정식으로 떨어뜨리는 겁니다.” (115쪽)


“그에 비해 교수들은 얼마나 욕심이 뒤룩뒤룩한지, 지난달에 아즈마 교수는 차에 선물 실을 때 사무일 보는 여자애를 시키더라니까. 우가이 교수 집에 갔던 내과 녀석이 그러는데, 백중 선물 상자가 복도 끝까지 쌓여 있더래.” (95쪽)


+


낙향으로 인한 슬픔이 가시는 것 같아요

→ 시골로 가서 슬픈 마음이 가시는 듯해요

49쪽


각자 생각하는 바가 달라지기 마련이니까요

→ 다들 생각하는 바라 다르게 마련이니까요

67쪽


사무일 보는 여자애를 시키더라니까

→ 일하는 아이를 시키더라니까

9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11.21.

오늘말. 넘실거리다


이 고개를 넘으면 저 고비가 훅 나타날는지 모릅니다. 저 고빗사위를 지나니 그 잿마루가 크게 보일 때가 있습니다. 겨우 꼭대기에 올랐더니 숱한 재가 저 앞에 넘실거리기도 합니다. 얼핏 까마득한 길입니다. 드디어 숱한 재를 다 넘고 보니, 이제는 가시밭이 잇기도 하지요. 끝없이 흐드러지는 자갈길에 지칠 만하고, 언제쯤 빛나는 꽃밭을 만나려나 아득하다고 여길 만합니다. 도무지 신바람길이란 없이, 아름날조차 없이, 찌릿찌릿 고달프다고 여기기도 합니다. 삶이란 모두 한고비일까요? 이도 저도 아닌 가운데에 덩그러니 서면 될까요? 물결치는 구름바다를 헤치고 나아가다가 숨을 돌립니다. 바삐 가야 할 길이 아니기에 봄꽃을 바라보고 여름꽃을 들여다봅니다. 가을꽃을 쓰다듬고 겨울꽃 곁에서 눈송이를 맞습니다. 기쁘기에 사랑잔치를 펼 날이 있어요. 슬프기에 새삼스레 눈물잔치를 열 날이 있어요. 불꽃튀게 달리기만 하느라 지칠 날이 있어요. 이제 그만 멈춰서 나무를 올려다봅니다. 아름드리로 뻗은 우듬지에 까치가 집을 지었습니다. 새는 저렇게 높은 데에 둥지를 트는구나 싶은데, 오직 한마음으로 둘레를 보려는 살림길일 테지요.


ㅅㄴㄹ


고개·고비·고빗사위·한고비·재·잿마루·가운데·가운꽃·가장·꼭대기·꼭두·머리·우듬지·마루·머드러기·높다·크다·으뜸·잘나가다·잘되다·하나·한가득·바야흐로·드디어·한창·한철·한물·흐드러지다·흘러넘치다·너울거리다·넘실거리다·넘어서다·넘치다·차고 넘치다·물결치다·물오르다·불꽃튀다·피끓다·피튀다·판치다·피다·피어나다·무지개·구름·구름바다·봄·봄철·봄꽃·빛·빛길·빛나다·기쁘다·잔치·사랑잔치·아름잔치·살판·신바람길·아름날·좋은날·짜릿하다·찌릿하다 ← 클라이맥스(climax)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