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인성 2024.2.17.흙.



사람은 ‘사람’이야. 푸른별에 있는 모든 나라는 터전이 달라서, 이 다른 터전을 저마다 스스로 나타내는 말도 다르단다. ‘사람’은 어떤 목숨이나 빛이라는 뜻을 품는지 돌아보겠니? 너희는 ‘사람’이라는 ‘말(마음소리)’을 읽어내고 새길 수 있을 노릇이란다. ‘살다’라는 말과 ‘살림’이라는 말과 ‘사랑’이라는 말이 왜 소리가 조금씩 다른지 생각하고서 혀에 소리를 얹는다면, 눈길을 틔울 수 있어. 사람으로서 사람다우려면 ‘사람’이 무엇인지 알고 느끼고 보고 나누고 펼 일이란다. ‘인성 = 人性’일 텐데 ‘사람·결’이나 ‘사람·길’이야. 사람이라는 숨결이 있는지 살피고, 사람이라는 길을 가는지 곱씹으면서, ‘사람다움’을 짚는다고 여길 만해. 이름으로만 사람일 적에는 허울뿐이야. 겉모습으로 탈을 쓸 적에는 ‘사람척’이거나 ‘사람흉내’일 테지. 여우탈을 쓰면 여우척일 뿐인걸. 곰탈을 쓰면 곰시늉일 뿐이야. 그러니까 “사람답지 않은” 모습인 “인성이 덜된” 모습이란, 사람탈을 쓴 껍데기에 눈속임이라는 뜻이지. 말로는 읊지만, 마음에는 없거나 몸으로는 안 움직이면, 거짓말에 눈가림일 테지. 입으로 읊지 않아도 마음으로 펼 노릇이고, 몸으로 할 일이야. 말은 안 해도 되고, 글은 안 써도 돼. 마음을 세우면 되고, 삶으로 보이면 돼. 네가 늘 사람으로서 사람길을 가는 사랑이라면 아름다워. 네가 늘 사람답게 생각하고, 하늘과 땅 사이에서 숲을 품기에 사랑스러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환대 2023.7.9.



머리맡에 꽃을 놓으면

가까이에서 번지면서

환하게 올라와 물드는

반가운 기운


밭기슭에 나무 심으면

무럭무럭 자라더니

꽃에 열매에 그늘에

즐거운 숨결


너랑 같이 걸으면

언제 어디에 가더라도

수다에 얘기에 놀이에

신나는 웃음


여름에 골짜기에서

겨울에 바닷가에서

봄가을에 들길에서

기쁘게 누리는 하루


ㅅㄴㄹ


한자 ‘환(歡)’을 넣는 ‘환영·환호·환희’는 하나같이 ‘기쁜’ 마음을 드러냅니다. ‘환대(歡待)’는 “기쁘게 맞아 넉넉히 모심”을 뜻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뜻과 결을 나타내는 우리말이 있어요. 바로 ‘반갑다·반기다’입니다. ‘반’이라는 우리말은 ‘반하다’처럼 쓰기도 합니다. 누구를 보거나 무엇을 마주하면서 마음속에서 차츰차츰 기쁜 물결이 일어나서 확 달아오른다고 할 적에 ‘반하다’입니다. 낮에는 다들 못 느끼기 일쑤이지만, 밤이 오면 둘레를 밝히는 빛을 느낄 만해요. 바로 별입니다. 낮에 뜨는 해는 ‘환하다’고 합니다. 밤에 돋는 별은 ‘밝다’고 합니다. 밤처럼 빛이 사라졌다고 여기는 곳이나 때를 ‘밝힌다’고 하기에 별이요, 이러한 빛줄기를 둘레에 퍼뜨리거나 스스로 일으키는 결을 ‘반갑다·반기다’라는 낱말로 그립니다. 밝게 웃기에 슬픔도 생채기도 씻습니다. 밝게 노래하기에 지치거나 고된 몸에 새롭게 기운을 일으킵니다. 밝게 맞이하고 이야기하는 사이에, 어느새 앙금을 풀고서 어깨동무를 합니다. 두 팔을 벌려 반겨요. 두 팔로 포근히 안으면서 즐거워요. 우리는 서로 손을 잡고서 신나게 들판을 달립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직업 2023.7.21.



바람이 일지 않는 날은

숨죽인 채 시든다

바람이 일어나는 날은

숨돌리며 살랑인다


바다가 일지 않는 곳은

구름이 없이 마른다

바다가 일렁이는 곳은

비구름 생겨 씻는다


가볍게 거들거나

심부름 맡더라도

스스로 나설 때라야

일손으로 여겨


삶을 일궈서 일이야

살림을 이뤄 일이지

사랑을 이야기하는 일이고

사람 사이를 잇는 일이다


ㅅㄴㄹ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는 따로 없는 ‘직업(職業)’일 텐데, 이 한자말은 “집안을 꾸리며 먹고살려고 돈을 버는 일”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배움터를 다니는 사람은 따로 ‘돈벌이’를 안 하게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살림이 안 넉넉하기에 짬을 내어 돈벌이를 할 수 있어요. 이른바 ‘곁일·짬일·틈새일·틈일·사잇일(아르바이트·알바)’이라고 하겠지요. ‘직업 = 돈벌이’인 터라, 집안일을 도맡는 사람은 마치 “직업이 없다”고 여겨 왔습니다. 한집안을 이루는 사람 가운데 집에서 살림을 꾸리는 쪽한테는 갖가지 일손을 맡기면서, 돈하고 멀 뿐 아니라 실업자(직업이 없는 사람)으로 삼기 일쑤였는데, 밥하고 빨래하고 치우고 아기를 돌보는 일을 남한테 맡기려면 돈을 꽤 치러야 합니다. 여러 학원도 “집에서 가르칠 수 있는 일을 집에서 안 가르치고 남한테 맡기기”에 목돈이 들어갑니다. 가만히 보면 수수하게 ‘일’을 하는 사람은 돈하고 멀 수 있습니다. 아니, 우리말 ‘일’은 스스로 물결을 일으키듯 즐겁게 맡는 길을 가리키면서, 돈을 버는 길도 나란히 가리켜요. 벌잇감 못지않게 일자리와 살림부터 챙길 적에 하루가 빛납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괜찮다(공연찮다) 2023.7.24.



‘나쁘지 않다’면

‘좋다’기보다는 ‘좀 나쁘다’야

‘좋지 않다’면

‘나쁘다’기보다는 ‘조금만 좋다’야


걱정하지 않기보다는

오늘 걸을 길을 본다

근심씻기 안 나쁘지만

같이 지을 꿈을 본다


그럭저럭 해도 안 나쁘겠지

썩 볼 만할 수 있겠지

그런데

네 마음은 어디에 있니?


내가 하려는 뜻을 돌아본다

네가 가는 까닭을 곱씹는다

서로 만나는 일을 생각한다

즐겁게 빚을 이야기 그린다


ㅅㄴㄹ


흔히 쓰는 ‘괜찮다’는 ‘공연하지 않다’를 줄인 말씨입니다. ‘공연하다(空然-)’는 “아무 까닭이나 실속이 없다”를 뜻합니다. ‘괜찮다·공연찮다·공연하지 않다’는 “그다지 나쁘지 않다”나 “그럭저럭 걱정할 일이 없다”를 가리킨다고 하겠습니다. 곰곰이 보면, 나쁘지 않으니 “나쁘지 않다”일 테고, 이는 “썩 좋다고 하기 어렵다”를 나타내는 셈입니다. 마음을 담는 말인데, ‘괜찮다’는 여러모로 돌리는 결입니다. 마음에 안 들지만, 마음에 안 든다는 티를 덜 내면서 “나쁘지는 않아” 하고 가볍게 손사래를 치고 싶은 결입니다. 그럭저럭 할 만한 일이란, 그다지 안 하고 싶지만, 해도 아주 나쁘지는 않으니까, 좀 참거나 견디면서 한다는 뜻입니다. 썩 할 만하지 않을 적에 억지로 참으면 오히려 덧나기 쉽습니다. “썩 할 만한” 일이 아닌, “할 만한” 일을 찾아야겠지요. 바로바로 드러내기가 수월하지 않은 자리라서 자꾸자꾸 참다 보면 차츰차츰 고단하고 지칩니다. 마음을 느긋이 두면서 즐겁게 나아갈 길을 찾아야지 싶습니다. 마음을 환하게 밝히면서 기쁘게 할 일을 품어야지 싶어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쌓아서 2022.11.9.물.



피어나기에 지고, 지기에 피어나지. 일어나기에 앉거나 눕거나 가라앉아서 쉬고, 이윽고 새로 일어서서 활짝 피어나고. 봄은 여름을 어서 오라 부르고, 여름은 가을더러 얼른 오라 부르고, 가을은 겨울한테 곧 오라 부르고, 겨울은 봄을 가만히 오라 부르지. 쌓으면 짐이고, 짐이면 무거워. 나무 곁에 가랑잎이 그렇게 쌓이더라도 모두 몸을 내려놓고서 땅한테 스며드는 새흙으로 거듭나. 새흙은 나무 곁에서 포근히 자다가 풀한테 깃들어 풀잎으로 태어나기도 하고, 나무한테 찾아가 잎·꽃·열매·씨앗으로 거듭나기도 해. 이 풀잎·꽃·열매를 너희가 몸으로 받아들이면서 “아! 풀꽃나무랑 흙이랑 숲이랑 땅이랑 비랑 바람이랑 바다랑 하늘이랑 햇빛이랑 별빛이 이와 같구나!” 하고 느끼곤 해. ‘몸으로 받아들인다’고 할 적에는 ‘밥으로 먹기’만 가리키지 않아. 눈으로 보고 코로 맡고 귀로 듣고 손으로 만지고 살갗으로 느껴도 네 온몸으로 고루 받아들인단다. 그리고 뚝딱터(공장)에서 찍어내는 것을 밥으로 삼거나, 쇳덩이(자동차·기차·배·비행기)에 몸을 실을 적에는 이 ‘공산품’이나 ‘쇳덩이’가 나오기까지 거친 모든 길을 너희 온몸으로 보고 느끼고 읽지. 그래서 공산품이나 쇳덩이나 잿집(아파트)에서 오래 머물거나 내내 깃든다면, 너희 눈코귀입에 살갗에 마음은 풀꽃나무·들숲바다·해바람비를 아주 잊거나 등지고 말아. 바람빛도 햇빛도 별빛도 너희 몸에 쌓이다가 녹아들어. 잿빛도 죽음빛도 먼지빛도 너희 몸에 쌓이다가 고스란히 스며들지. 그래서 늘 생각을 하고 하늘을 볼 노릇이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