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17.

숨은책 890


《韓國의 女像 (梅篇)》

 진원규 엮음

 중외출판사

 1972.8.13.



  모든 사람은 어머니하고 아버지가 있어야 태어납니다. 사람뿐 아니라 풀꽃나무도, 벌나비도, 새도, 짐승도, 헤엄이도, 벌레도, 암수가 맺을 적에 알을 낳아요. 우리말을 보면 ‘어버이·암수’처럼 ‘어머니·암컷’을 앞에 놓습니다. ‘아버지·수컷’은 뒤따라요. 이와 달리 한자말은 ‘부모·남녀’처럼 사내를 앞세웁니다.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숱한 한문책은 오롯이 ‘사내 발자취’입니다. 사내끼리 돌려먹고 우려먹고 해먹은 나날을 새깁니다. 사내인 몸도, 가시내인 몸도, 어머니하고 아버지가 함께 있기에 태어나는데, 조선 오백 해는 너무 외곬로 치달으면서 억누르고 갈랐습니다. 《韓國의 女像 (梅篇)》을 넘기다가 생각합니다. 순이살림(여성 역사·문화)은 글로 거의 안 남기다시피 했기에 따로 꾸려야 하는구나 싶고, 모처럼 순이살림을 담더라도 틀에 박힌 줄거리를 못 벗어나곤 합니다. 이 꾸러미조차 이름·돈·힘을 거느린 이들을 앞세웁니다. 그래도 “부인 밤 줍기대회 20년만에 부활 1959.9.20.” 같은 토막글은 재미있는데, 순이가 어떤 넋으로 온삶을 짓고 온길을 걸었는지까지는 못 다뤄요. 이 꾸러미 앞자락에는 “結婚記念 1973.4.2. 新郞 陳元圭·新婦 崔重熙 드림” 같은 글씨가 있습니다. 엮은이가 꽃잔치를 열면서 둘레에 두툼한 책을 베풀었다니 놀라워요. 한 발짝 새로 떼려는 길이었겠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17.

숨은책 889


《統率力, 사람을 움직이다》

 D.카아네기 글

 송길섭 옮김

 동양사

 1975.5.25.



  곰곰이 보면 1990년 언저리까지는 영어를 되도록 풀이해서 들여오려고 애썼고, 이즈음부터 영어를 굳이 풀이하지 않고서 그냥 쓰려는 사람이 늘어납니다. 우리 나름대로 헤아려서 우리말로 풀이한 사람이 있고, 일본에서는 어떤 낱말로 옮겼나 살펴서 우리말로 풀이한 사람이 있어요. 《統率力, 사람을 움직이다》는 미국에서 1936년에 처음 나온 뒤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판으로 나옵니다. 사람을 사귀는 길을 들려주고, 마음을 건네는 길을 밝힙니다. 서로 동무로 지내는 마음을 짚어요. 그나저나 영어를 옮긴 판이 몇이나 될는지 모르겠습니다. 일본에서 일본글로 옮긴 판을 슬쩍 옮긴 판이 수두룩해요. 영어를 바로 옮기면 우리 나름대로 헤아리겠지요. 일본글을 다시 옮기면, 일본사람이 옮긴 말씨 가운데 한자말은 그냥 따오더군요. 우리나라는 영어나 스웨덴말이나 여러 이웃말을 바로 옮기는 터전이 아직 얕습니다. 애써 옮겼더라도 우리글답게 추스르거나 매만지는 터전은 더욱 얕아요. 곰곰이 보면, 옮김말을 스스로 못 세우기도 하지만, 이야기부터 우리 스스로 못 세우는 밑동입니다. 우리는 서로 어떻게 사귈 적에 동무라고 할까요? 책이름에 붙은 ‘Influence’를 안 옮기고서 그냥 쓴다면, 스스로 말빛이 얕다고 드러내는 셈입니다.


ㅅㄴㄹ


#How to Win Friends & Influence People 

#데일카네기 #인간관계론 #DaleCarnegie

1936년


전대미문(前代未聞)의 일대 수색이 벌어졌다

→ 둘레를 어마어마하게 헤집었다

→ 이제껏 없이 엄청나게 뒤집었다

10쪽


끊임없이 발포했다

→ 끊임없어 쏘았다

10쪽


내 육신 속에 간직되어 있는 마음은 지쳐 있지만 그것은 또 어진 마음이다

→ 내 몸에 간직한 마음은 지쳤지만 또 어질기도 하다

11쪽


이렇게 고백한 것은 미국의 위대한 실업가 죤 워너메이커였다

→ 미국에서 빛나는 일지기 죤 워너메이커는 이렇게 밝혔다

13쪽


남의 흉을 잡는다는 것은 아무 소용도 없는 것이다

→ 남을 흉잡는 짓은 부질없다

→ 남을 흉잡아 보아야 덧없다

13쪽


사람을 움직이는 데는 상대자가 원하는 것을 주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 사람을 움직이려면 그이가 바라는 대로 주면 된다

→ 바라는 만큼 주면 그 사람을 움직일 수 있다

27쪽


중요감(重要感)을 가지게 하다

→ 크게 느끼도록 이끌다

→ 크다고 느끼도록 북돋다

27쪽


이것은 비극일까

→ 슬플까

→ 안타까울까

35쪽


남의 입장에서 관찰하라

→ 다른 눈으로 보라

→ 남은 어떻게 보는가

219쪽


귀관은 절대적인 자신을 가지고 있는데

→ 그대는 스스로 엄청나게 믿는데

→ 자네는 스스로 대단히 믿는데

25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4.1.3.

숲집놀이터 287. 좋아하지 마



이렇게 하거나 저렇게 하지 말라고 할 까닭은 없지만, 으레 몇 가지는 들려준다. 첫째, “좋아하지 말고, 싫어하지 마.” 둘째, “사랑하면 돼.” 셋째, “오늘 하루를 꿈으로 그려서 천천히 걸어.” 넷째, “스스로 숲으로 피어나면서 노래하고 춤추자.” 다섯째, “나부터 스스로 돌아보고 바라볼 줄 알면 돼.” 어느 하나를 좋아하면, 이 하나를 뺀 다른 모두를 싫어하거나 등지기 쉽다. 좋아하는 어느 곳을 바라보는 동안, 둘레를 제대로 못 보거나 잘못 보기까지 하고, 더욱이 ‘좋아하는 것이나 곳’조차 속빛을 못 보거나 잘못 보곤 한다. 좋은말이나 좋은책은 오히려 안 좋다고 여길 만하다. 나쁜말이나 나쁜책은 곰곰이 보면 그리 나쁘지 않기 일쑤이다. 속내를 보아야 할 일이다. 겉모습을 보거나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사람은 속마음을 안 보거나 못 보거나 잘못 보거나 넘겨짚는다. 속마음을 바라보고 돌아보고 헤아리는 사람은, 어떤 겉모습이어도 스스럼없다. 말 한 마디도, 삶 한 자락도, 온나라에서 터지는 갖가지 말썽거리도, 겉이 아닌 속을 보면 누구나 스스로 깨닫는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3.12.17.

숲집놀이터 286. 밑바닥 아기꽃



아기가 줄어들며 할매할배가 늘어난다. 사랑받으면서 신나게 뛰놀 터전하고 동떨어지니까 아기가 태어나기 어렵다. 어릴 적에 한결같이 빛나는 사랑을 듬뿍 누리면서 자라는 사람이 어른으로 선다면, 으레 사랑짝을 만나서 아기를 낳고 보금자리를 돌보겠지. 오늘날 어린이하고 푸름이를 보라. 잿더미에 사슬터 같은 배움터에 갇혀서 쳇바퀴를 돌 뿐이다. 겨우 스무 살에 이르러도 마침종이를 새로 거머쥐어야 하느라 갑갑하고, 애써 마침종이를 거머쥐어도 아늑하다고 여길 일자리를 찾느라 숨막힌다. 어느 틈에 사랑을 찾거나 만나거나 속삭일까? 더구나 어릴 적에 맨발에 맨손에 맨몸으로 나무타기를 하거나 달리기를 하면서 풀밭에서 뛰어놀지 못 한 나날이라면, 나중에 짝을 만나서 아기를 낳더라도 어떻게 같이 놀거나 보살펴야 하는 줄 까맣게 모른다. 천기저귀를 어떻게 채우거나 삶아야 하는지 본 적도 겪은 적도 배운 적도 없다면, 열 살부터 스무 살까지 집에서 손수 밥을 차려서 먹거나 빨래를 하거나 쓸고닦기를 해본 적 없다면, 철없이 몸뚱이만 큰 나이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밑바닥 아기꽃(최악의 출산율)’일 수밖에 없다. 아기를 반기고 싶다면, 틀에 박힌 배움터를 걷어내야지. 꿈을 키우고 사랑을 속삭이는 배움마당에 보금자리로 바꾸어야지. 뛰놀며 기쁘게 웃는 어린 나날이 없는 나라로 이어간다면, 아기꽃은 새로 피어나지 않는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3.12.17.

숲집놀이터 285. 학생인권조례



배움터 막짓이 자꾸 불거지면서, 또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어른 아닌 꼰대’를 흉내내면서 사납짓까지 일삼으면서, ‘학생인권조례’가 흔들린다.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배움터에서 사람값을 누리도록 아주 조그맣게 밑동 구실을 할 학생인권조례일 텐데, 안타깝지만 적잖은 ‘어린이·푸름이 아닌 사납이’가 바보짓을 자꾸 저지른다. 스스로 어린이 넋을 잊고, 스스로 푸른이 얼을 버린다면, 이 딱하고 안타까운 아이들을 어떻게 달래야 할까? 곰곰이 보면 ‘어른 아닌 꼰대’ 멍청짓을 흉내내는 ‘어린이·푸름이 아닌 사납이’가 말썽일 수 있으면서, 배움수렁(입시지옥)부터 말썽을 일으키는 불씨이다. 모든 배움터가 집살림과 옷살림과 밥살림을 스스로 짓는 길을 가르치고 배우는 터전이라면, 어떤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멍텅구리라는 굴레로 치달을까? 배움터에서 사랑을 못 가르치거나 안 가르치면서 다그치는 쳇바퀴이기에 아이들이 엇나간다고 느낀다. 무엇보다도 배움터 바깥을 이루는 터전에서 숱한 사람들이 ‘어른 아닌 꼰대’로 나뒹군다. 아이들이 저지르는 모든 멍청짓은 ‘어른 아닌 꼰대’가 늘 아무 데서나 저지르는 막짓이게 마련이다. 아이들이 무엇을 보았겠는가? 아이들이 누구한테서 보고 따라하겠는가? 배움터에서는 어린이(학생)하고 어른(교사)이 나란히 제 몫(인권)을 누릴 노릇이다. 앞으로는 ‘학생인권’과 ‘교사인권’이 나란히 서는 ‘학교평화조례’로 거듭나야 하리라 본다. 섣불리 학생인권조례를 팽개치려 하지 말고, 어린이도 어른도 그야말로 어린이답고 어른스러울 수 있도록 북돋우는 ‘학교평화조례’로 달라지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